산불 상황도 분석…오늘 주불 진화 주요 원인은?

입력 2025.03.28 (21:27) 수정 2025.03.28 (22: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에는 재난방송 스튜디오를 연결해 산불 상황 정리하겠습니다.

신방실 기자, 먼저, 아직 계속되고 있는 산청 산불부터 봐야할 거 같습니다?

[기자]

네, 산불이 여전히 진행 중인, 경남 산청 상황 보겠습니다.

현재 진화율은 90% 이상 올라가 있고요.

산불 상황도를 보면 구곡산의 능선을 따라 붉은색의 화선이 남아있습니다.

오늘(28일) 밤 초속 5미터 안팎의 북서풍이 불고 있어, 남동쪽으로 불씨가 살아나 확산될 가능성도 주시해야 합니다.

이번에는 오늘 오후 주불 진화가 완료된 경북 북부를 보겠습니다.

지금은 노란색으로 산불이 모두 잡히고 잔불 정리 중입니다.

산불이 확산한 직선거리가 80km가 넘고요.

영향 면적은 4만 5천여ha를 기록해 역대 최악의 산불로 남게 됐습니다.

[앵커]

비가 큰 도움을 줬는데, 앞으로는 날씨가 어떻습니까?

[기자]

네, 경북 울진과 영양, 봉화 등지엔 오늘까지도 제법 굵은 빗줄기가 이어졌는데요.

울진 10mm를 최고로 영양과 의성에선 누적 강수량 5mm를 밑돌았습니다.

양은 적었지만 산불의 열기를 누그러트리고, 대기 중 습도를 높이는 역할을 했습니다.

실제로 비가 오기 전 습도는 붉은색으로 20%를 맴돌았지만, 어제(27일) 습도는 2배나 증가해 온통 파란색이었습니다.

습도가 높아질수록 산불 발생 건수는 뚝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서쪽에는 고기압, 동쪽에는 저기압이 위치하는 서고동저형으로 바뀐 것도 산불 진화에 도움이 됐습니다.

차가운 북서풍이 불어와 고온현상이 누그러진 것뿐 아니라 짙은 연기도 몰아내 헬기 진화의 효율이 높아졌습니다.

1주일여 길게 이어진 산불은 오늘 기세가 꺾였지만, 여전히 영남 지역을 중심으로 건조특보가 발효 중입니다.

내일(29일) 주말을 맞아 다시 추가 산불 위험이 커지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재난방송 스튜디오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불 상황도 분석…오늘 주불 진화 주요 원인은?
    • 입력 2025-03-28 21:27:45
    • 수정2025-03-28 22:09:45
    뉴스 9
[앵커]

이번에는 재난방송 스튜디오를 연결해 산불 상황 정리하겠습니다.

신방실 기자, 먼저, 아직 계속되고 있는 산청 산불부터 봐야할 거 같습니다?

[기자]

네, 산불이 여전히 진행 중인, 경남 산청 상황 보겠습니다.

현재 진화율은 90% 이상 올라가 있고요.

산불 상황도를 보면 구곡산의 능선을 따라 붉은색의 화선이 남아있습니다.

오늘(28일) 밤 초속 5미터 안팎의 북서풍이 불고 있어, 남동쪽으로 불씨가 살아나 확산될 가능성도 주시해야 합니다.

이번에는 오늘 오후 주불 진화가 완료된 경북 북부를 보겠습니다.

지금은 노란색으로 산불이 모두 잡히고 잔불 정리 중입니다.

산불이 확산한 직선거리가 80km가 넘고요.

영향 면적은 4만 5천여ha를 기록해 역대 최악의 산불로 남게 됐습니다.

[앵커]

비가 큰 도움을 줬는데, 앞으로는 날씨가 어떻습니까?

[기자]

네, 경북 울진과 영양, 봉화 등지엔 오늘까지도 제법 굵은 빗줄기가 이어졌는데요.

울진 10mm를 최고로 영양과 의성에선 누적 강수량 5mm를 밑돌았습니다.

양은 적었지만 산불의 열기를 누그러트리고, 대기 중 습도를 높이는 역할을 했습니다.

실제로 비가 오기 전 습도는 붉은색으로 20%를 맴돌았지만, 어제(27일) 습도는 2배나 증가해 온통 파란색이었습니다.

습도가 높아질수록 산불 발생 건수는 뚝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서쪽에는 고기압, 동쪽에는 저기압이 위치하는 서고동저형으로 바뀐 것도 산불 진화에 도움이 됐습니다.

차가운 북서풍이 불어와 고온현상이 누그러진 것뿐 아니라 짙은 연기도 몰아내 헬기 진화의 효율이 높아졌습니다.

1주일여 길게 이어진 산불은 오늘 기세가 꺾였지만, 여전히 영남 지역을 중심으로 건조특보가 발효 중입니다.

내일(29일) 주말을 맞아 다시 추가 산불 위험이 커지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재난방송 스튜디오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