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지에선 버리는데…김 값이 ‘금값’
입력 2025.02.23 (21:19)
수정 2025.02.23 (21: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 마른 김 한장 값, 140원이 넘습니다.
평년 수준보다 40% 가까이 비쌉니다.
김밥집은 남는 게 없다고 할 정돕니다.
그런데 산지의 현실은 딴판입니다.
가격이 폭락했습니다.
김이 남아돕니다.
남아도는 것도 모자라 물김 6천 톤을 그냥 버렸습니다.
이게 어찌된 일일까요?
조은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0년째 김밥집을 운영 중인 이지연 씨.
한 달에 한 번 도매상에서 김 한 박스를 사는데, 2년 전만 해도 54만 원이던 게 올해 120만 원으로 올랐습니다.
두 배 넘게 오른 겁니다.
[이지연/김밥전문점 운영 : "(가게 운영을) 더 해야 되나 말아야 되나 할 정도로 지금 (김값이) 너무 많이 올라가지고 원재룟값도 많이 오르고 해서 남는 게 거의 없어요."]
그런데 산지에선 지난달에만 물김 6천 톤이 버려졌습니다.
전남과 충남 등지에선 올해 수온이 적당해 김 생산량이 급격히 늘었는데, 가공 업체들이 대부분 영세하다 보니 늘어난 양을 감당하지 못한 겁니다.
물김은 저장이 불가능해 바로 가공이 안 되면 폐기해야 합니다.
이러다 보니 산지에선 김이 남아돌아 물김 가격이 절반 이하로 떨어졌는데, 마른김 소매 가격은 40% 넘게 올랐습니다.
[조문성/진도군수협 회동사업소장 : "인건비도 상승하는데 지금 유류비도 못 건지고 인건비도 지금 못 건지고 있는 상태라 어민 여러분이 굉장히 힘듭니다."]
지난해 김값이 치솟고 수출도 늘면서 정부는 축구장 3800개 규모의 김 양식장을 새로 허가했습니다.
양식 면적이 4.2%가량 늘어난 건데 문제는 생산량 예측이 제대로 안 됐다는 겁니다.
[최봉학/한국김산업연합회장 : "우리가 몇 속을 생산할 것인가, 생산을 하면 수출 더하기 내수가 정확하게 이런 정도 양이면 될 것 같다, 예측을 정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산지 김값이 소비자 가격에 반영되는 것에 시차가 있다며 이달 말이면 가격이 안정될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조은애입니다.
촬영기자:김상하/영상편집:이형주/그래픽:강민수
요즘 마른 김 한장 값, 140원이 넘습니다.
평년 수준보다 40% 가까이 비쌉니다.
김밥집은 남는 게 없다고 할 정돕니다.
그런데 산지의 현실은 딴판입니다.
가격이 폭락했습니다.
김이 남아돕니다.
남아도는 것도 모자라 물김 6천 톤을 그냥 버렸습니다.
이게 어찌된 일일까요?
조은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0년째 김밥집을 운영 중인 이지연 씨.
한 달에 한 번 도매상에서 김 한 박스를 사는데, 2년 전만 해도 54만 원이던 게 올해 120만 원으로 올랐습니다.
두 배 넘게 오른 겁니다.
[이지연/김밥전문점 운영 : "(가게 운영을) 더 해야 되나 말아야 되나 할 정도로 지금 (김값이) 너무 많이 올라가지고 원재룟값도 많이 오르고 해서 남는 게 거의 없어요."]
그런데 산지에선 지난달에만 물김 6천 톤이 버려졌습니다.
전남과 충남 등지에선 올해 수온이 적당해 김 생산량이 급격히 늘었는데, 가공 업체들이 대부분 영세하다 보니 늘어난 양을 감당하지 못한 겁니다.
물김은 저장이 불가능해 바로 가공이 안 되면 폐기해야 합니다.
이러다 보니 산지에선 김이 남아돌아 물김 가격이 절반 이하로 떨어졌는데, 마른김 소매 가격은 40% 넘게 올랐습니다.
[조문성/진도군수협 회동사업소장 : "인건비도 상승하는데 지금 유류비도 못 건지고 인건비도 지금 못 건지고 있는 상태라 어민 여러분이 굉장히 힘듭니다."]
지난해 김값이 치솟고 수출도 늘면서 정부는 축구장 3800개 규모의 김 양식장을 새로 허가했습니다.
양식 면적이 4.2%가량 늘어난 건데 문제는 생산량 예측이 제대로 안 됐다는 겁니다.
[최봉학/한국김산업연합회장 : "우리가 몇 속을 생산할 것인가, 생산을 하면 수출 더하기 내수가 정확하게 이런 정도 양이면 될 것 같다, 예측을 정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산지 김값이 소비자 가격에 반영되는 것에 시차가 있다며 이달 말이면 가격이 안정될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조은애입니다.
촬영기자:김상하/영상편집:이형주/그래픽:강민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지에선 버리는데…김 값이 ‘금값’
-
- 입력 2025-02-23 21:19:15
- 수정2025-02-23 21:51:40

[앵커]
요즘 마른 김 한장 값, 140원이 넘습니다.
평년 수준보다 40% 가까이 비쌉니다.
김밥집은 남는 게 없다고 할 정돕니다.
그런데 산지의 현실은 딴판입니다.
가격이 폭락했습니다.
김이 남아돕니다.
남아도는 것도 모자라 물김 6천 톤을 그냥 버렸습니다.
이게 어찌된 일일까요?
조은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0년째 김밥집을 운영 중인 이지연 씨.
한 달에 한 번 도매상에서 김 한 박스를 사는데, 2년 전만 해도 54만 원이던 게 올해 120만 원으로 올랐습니다.
두 배 넘게 오른 겁니다.
[이지연/김밥전문점 운영 : "(가게 운영을) 더 해야 되나 말아야 되나 할 정도로 지금 (김값이) 너무 많이 올라가지고 원재룟값도 많이 오르고 해서 남는 게 거의 없어요."]
그런데 산지에선 지난달에만 물김 6천 톤이 버려졌습니다.
전남과 충남 등지에선 올해 수온이 적당해 김 생산량이 급격히 늘었는데, 가공 업체들이 대부분 영세하다 보니 늘어난 양을 감당하지 못한 겁니다.
물김은 저장이 불가능해 바로 가공이 안 되면 폐기해야 합니다.
이러다 보니 산지에선 김이 남아돌아 물김 가격이 절반 이하로 떨어졌는데, 마른김 소매 가격은 40% 넘게 올랐습니다.
[조문성/진도군수협 회동사업소장 : "인건비도 상승하는데 지금 유류비도 못 건지고 인건비도 지금 못 건지고 있는 상태라 어민 여러분이 굉장히 힘듭니다."]
지난해 김값이 치솟고 수출도 늘면서 정부는 축구장 3800개 규모의 김 양식장을 새로 허가했습니다.
양식 면적이 4.2%가량 늘어난 건데 문제는 생산량 예측이 제대로 안 됐다는 겁니다.
[최봉학/한국김산업연합회장 : "우리가 몇 속을 생산할 것인가, 생산을 하면 수출 더하기 내수가 정확하게 이런 정도 양이면 될 것 같다, 예측을 정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산지 김값이 소비자 가격에 반영되는 것에 시차가 있다며 이달 말이면 가격이 안정될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조은애입니다.
촬영기자:김상하/영상편집:이형주/그래픽:강민수
요즘 마른 김 한장 값, 140원이 넘습니다.
평년 수준보다 40% 가까이 비쌉니다.
김밥집은 남는 게 없다고 할 정돕니다.
그런데 산지의 현실은 딴판입니다.
가격이 폭락했습니다.
김이 남아돕니다.
남아도는 것도 모자라 물김 6천 톤을 그냥 버렸습니다.
이게 어찌된 일일까요?
조은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0년째 김밥집을 운영 중인 이지연 씨.
한 달에 한 번 도매상에서 김 한 박스를 사는데, 2년 전만 해도 54만 원이던 게 올해 120만 원으로 올랐습니다.
두 배 넘게 오른 겁니다.
[이지연/김밥전문점 운영 : "(가게 운영을) 더 해야 되나 말아야 되나 할 정도로 지금 (김값이) 너무 많이 올라가지고 원재룟값도 많이 오르고 해서 남는 게 거의 없어요."]
그런데 산지에선 지난달에만 물김 6천 톤이 버려졌습니다.
전남과 충남 등지에선 올해 수온이 적당해 김 생산량이 급격히 늘었는데, 가공 업체들이 대부분 영세하다 보니 늘어난 양을 감당하지 못한 겁니다.
물김은 저장이 불가능해 바로 가공이 안 되면 폐기해야 합니다.
이러다 보니 산지에선 김이 남아돌아 물김 가격이 절반 이하로 떨어졌는데, 마른김 소매 가격은 40% 넘게 올랐습니다.
[조문성/진도군수협 회동사업소장 : "인건비도 상승하는데 지금 유류비도 못 건지고 인건비도 지금 못 건지고 있는 상태라 어민 여러분이 굉장히 힘듭니다."]
지난해 김값이 치솟고 수출도 늘면서 정부는 축구장 3800개 규모의 김 양식장을 새로 허가했습니다.
양식 면적이 4.2%가량 늘어난 건데 문제는 생산량 예측이 제대로 안 됐다는 겁니다.
[최봉학/한국김산업연합회장 : "우리가 몇 속을 생산할 것인가, 생산을 하면 수출 더하기 내수가 정확하게 이런 정도 양이면 될 것 같다, 예측을 정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산지 김값이 소비자 가격에 반영되는 것에 시차가 있다며 이달 말이면 가격이 안정될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조은애입니다.
촬영기자:김상하/영상편집:이형주/그래픽:강민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