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서양 건넌 ‘금 대이동’…금값 폭등에 잇단 진풍경
입력 2025.02.21 (21:19)
수정 2025.02.22 (08: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엔 오름세가 멈추질 않고 있는 금 소식 전해드립니다.
국제 금값이 사상 처음 3천 달러를 뚫을 기세입니다.
이러다 보니 전례 없는 기현상과 진풍경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김준범 기자입니다.
[리포트]
세계 금 거래의 양대 산맥은 미국 뉴욕과 영국 런던입니다.
뉴욕은 주로 선물이, 런던은 현물이 거래되는데, 두 곳의 금값이 최근 벌어지고 있습니다.
오늘(21일) 기준으로 뉴욕은 온스당 2,945달러, 런던은 2,924달러.
격차가 20달러가 넘습니다.
최근 60달러 정도 벌어진 날도 있었습니다.
이러니 싼 런던의 금을 비싼 뉴욕으로 옮겨서 팝니다.
운송비를 빼도 남는 장사입니다.
투기꾼들의 한탕 수준이 아닙니다.
투자은행 JP모건 등 세계적 은행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최근 2달간 영국에서 미국으로 건너간 금이 390여 톤.
한국은행 금 보유량의 3배 이상입니다.
그야말로 '금 대이동'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도 이걸 더 부추깁니다.
원자재의 일종인 금에도 관세를 매길지 모르니 서두르잔 겁니다.
[황병진/NH투자증권 연구위원 : "관세 붙기 전에 빨리 금을 수입하자고 하는 부분들이 생기면서, 이게 결국은 미국 내에서 금 사재기가 먼저 일어나기 시작을 한 거죠."]
오늘 국제 금값은 온스당 3천 달러에 육박했습니다.
한 번도 본 적 없는 가격대입니다.
최근 10년 추이를 보면, 1,200달러 부근에서 3,000달러 부근까지 2.5배가 됐습니다.
최근 유독 급등했지만, 단기적 현상만은 아니란 얘깁니다.
국내 금값은 여기에 웃돈이 더 붙습니다.
국제 시세보다 비싼 이른바 '김치 프리미엄'이 지난주 20%를 넘었고, 다소 줄어든 이번 주도 10% 안팎입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촬영기자:김재현/영상편집:여동용/그래픽:여현수
이번엔 오름세가 멈추질 않고 있는 금 소식 전해드립니다.
국제 금값이 사상 처음 3천 달러를 뚫을 기세입니다.
이러다 보니 전례 없는 기현상과 진풍경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김준범 기자입니다.
[리포트]
세계 금 거래의 양대 산맥은 미국 뉴욕과 영국 런던입니다.
뉴욕은 주로 선물이, 런던은 현물이 거래되는데, 두 곳의 금값이 최근 벌어지고 있습니다.
오늘(21일) 기준으로 뉴욕은 온스당 2,945달러, 런던은 2,924달러.
격차가 20달러가 넘습니다.
최근 60달러 정도 벌어진 날도 있었습니다.
이러니 싼 런던의 금을 비싼 뉴욕으로 옮겨서 팝니다.
운송비를 빼도 남는 장사입니다.
투기꾼들의 한탕 수준이 아닙니다.
투자은행 JP모건 등 세계적 은행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최근 2달간 영국에서 미국으로 건너간 금이 390여 톤.
한국은행 금 보유량의 3배 이상입니다.
그야말로 '금 대이동'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도 이걸 더 부추깁니다.
원자재의 일종인 금에도 관세를 매길지 모르니 서두르잔 겁니다.
[황병진/NH투자증권 연구위원 : "관세 붙기 전에 빨리 금을 수입하자고 하는 부분들이 생기면서, 이게 결국은 미국 내에서 금 사재기가 먼저 일어나기 시작을 한 거죠."]
오늘 국제 금값은 온스당 3천 달러에 육박했습니다.
한 번도 본 적 없는 가격대입니다.
최근 10년 추이를 보면, 1,200달러 부근에서 3,000달러 부근까지 2.5배가 됐습니다.
최근 유독 급등했지만, 단기적 현상만은 아니란 얘깁니다.
국내 금값은 여기에 웃돈이 더 붙습니다.
국제 시세보다 비싼 이른바 '김치 프리미엄'이 지난주 20%를 넘었고, 다소 줄어든 이번 주도 10% 안팎입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촬영기자:김재현/영상편집:여동용/그래픽:여현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서양 건넌 ‘금 대이동’…금값 폭등에 잇단 진풍경
-
- 입력 2025-02-21 21:19:00
- 수정2025-02-22 08:22:01

[앵커]
이번엔 오름세가 멈추질 않고 있는 금 소식 전해드립니다.
국제 금값이 사상 처음 3천 달러를 뚫을 기세입니다.
이러다 보니 전례 없는 기현상과 진풍경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김준범 기자입니다.
[리포트]
세계 금 거래의 양대 산맥은 미국 뉴욕과 영국 런던입니다.
뉴욕은 주로 선물이, 런던은 현물이 거래되는데, 두 곳의 금값이 최근 벌어지고 있습니다.
오늘(21일) 기준으로 뉴욕은 온스당 2,945달러, 런던은 2,924달러.
격차가 20달러가 넘습니다.
최근 60달러 정도 벌어진 날도 있었습니다.
이러니 싼 런던의 금을 비싼 뉴욕으로 옮겨서 팝니다.
운송비를 빼도 남는 장사입니다.
투기꾼들의 한탕 수준이 아닙니다.
투자은행 JP모건 등 세계적 은행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최근 2달간 영국에서 미국으로 건너간 금이 390여 톤.
한국은행 금 보유량의 3배 이상입니다.
그야말로 '금 대이동'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도 이걸 더 부추깁니다.
원자재의 일종인 금에도 관세를 매길지 모르니 서두르잔 겁니다.
[황병진/NH투자증권 연구위원 : "관세 붙기 전에 빨리 금을 수입하자고 하는 부분들이 생기면서, 이게 결국은 미국 내에서 금 사재기가 먼저 일어나기 시작을 한 거죠."]
오늘 국제 금값은 온스당 3천 달러에 육박했습니다.
한 번도 본 적 없는 가격대입니다.
최근 10년 추이를 보면, 1,200달러 부근에서 3,000달러 부근까지 2.5배가 됐습니다.
최근 유독 급등했지만, 단기적 현상만은 아니란 얘깁니다.
국내 금값은 여기에 웃돈이 더 붙습니다.
국제 시세보다 비싼 이른바 '김치 프리미엄'이 지난주 20%를 넘었고, 다소 줄어든 이번 주도 10% 안팎입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촬영기자:김재현/영상편집:여동용/그래픽:여현수
이번엔 오름세가 멈추질 않고 있는 금 소식 전해드립니다.
국제 금값이 사상 처음 3천 달러를 뚫을 기세입니다.
이러다 보니 전례 없는 기현상과 진풍경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김준범 기자입니다.
[리포트]
세계 금 거래의 양대 산맥은 미국 뉴욕과 영국 런던입니다.
뉴욕은 주로 선물이, 런던은 현물이 거래되는데, 두 곳의 금값이 최근 벌어지고 있습니다.
오늘(21일) 기준으로 뉴욕은 온스당 2,945달러, 런던은 2,924달러.
격차가 20달러가 넘습니다.
최근 60달러 정도 벌어진 날도 있었습니다.
이러니 싼 런던의 금을 비싼 뉴욕으로 옮겨서 팝니다.
운송비를 빼도 남는 장사입니다.
투기꾼들의 한탕 수준이 아닙니다.
투자은행 JP모건 등 세계적 은행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최근 2달간 영국에서 미국으로 건너간 금이 390여 톤.
한국은행 금 보유량의 3배 이상입니다.
그야말로 '금 대이동'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도 이걸 더 부추깁니다.
원자재의 일종인 금에도 관세를 매길지 모르니 서두르잔 겁니다.
[황병진/NH투자증권 연구위원 : "관세 붙기 전에 빨리 금을 수입하자고 하는 부분들이 생기면서, 이게 결국은 미국 내에서 금 사재기가 먼저 일어나기 시작을 한 거죠."]
오늘 국제 금값은 온스당 3천 달러에 육박했습니다.
한 번도 본 적 없는 가격대입니다.
최근 10년 추이를 보면, 1,200달러 부근에서 3,000달러 부근까지 2.5배가 됐습니다.
최근 유독 급등했지만, 단기적 현상만은 아니란 얘깁니다.
국내 금값은 여기에 웃돈이 더 붙습니다.
국제 시세보다 비싼 이른바 '김치 프리미엄'이 지난주 20%를 넘었고, 다소 줄어든 이번 주도 10% 안팎입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촬영기자:김재현/영상편집:여동용/그래픽:여현수
-
-
김준범 기자 jbkim@kbs.co.kr
김준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