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총선기획조사] 응답자 절반 “현역 아닌 정치 신인에 투표하겠다”

입력 2019.12.27 (16:02) 수정 2020.01.15 (11: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여론조사(전국) 바로가기

☞ 여론조사(서울) 바로가기

유권자들은 내년 총선에서는 '현 정부 실정 심판론'과 '보수 야당 심판론' 중에 어느 주장에 지지를 보낼까.

KBS 2020총선기획 조사(1차)에서는 보수 야당 심판론에 찬성하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내년 4월 총선 때 지역구에서 어느 정당 후보에게 투표할 것이냐는 질문에 더불어민주당 후보(30.5%)가 가장 많았고, 자유한국당(18.3%)-정의당(3.1%)-바른미래당(1.7%) 순이었다.

정치 신인과 현직 정치인이 나온다면 누구에게 투표할 것이냐는 질문에 정치신인(49.2%)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현직 정치인(30.3%)이라고 답한 사람보다 훨씬 많았다. 내년 총선에서 반드시 투표할 의향을 밝힌 적극적 투표 의향층은 75.9%로 나타났지만 19~29세 연령층에서는 이 비율이 59%에 그쳤다.

이런 결과는 KBS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12월18일부터 22일까지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2,000명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른 것이다.

국정운영평가: 긍정평가(50.7%)〉부정평가(45.9%)

이번 조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 평가를 묻는 질문에 긍정평가(50.7%)가 부정평가(45.9%) 보다 높았다. 연령별로는 결과가 좀 달랐다. 30~49세 연령층에서는 긍정평가 비율이 60%를 넘은 반면, 19~29세 연령층과 50대, 60세 이상 연령층에서는 과반이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이번 조사에서 나온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평가 비율(50.7%)은 지난해 12월 실시한 '2019 신년조사' (55.2%)에 비해 5%p 가량 떨어진 것이지만, 지난 9월에 실시한 '2019 추석 조사'에 비하면 5%p 가량 올라간 것이다.


정책 분야별로 복지정책은 긍정응답(64.4%)이 가장 높았다. 반면 부동산 정책은 부정응답(65.2%)이 훨씬 높았다. 일자리 정책(60.9%)과 소득주도 성장정책(51.5%) 도 과반이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총선 인식 및 투표 의향: 정부 실정 심판 〈 보수 야당 심판

'내년 총선에서 문재인 정부의 실정을 심판하기 위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 표를 주지 말아야 한다'는 정부 실정 심판에는 찬성응답(매우+대체로) 비율은 36.4%였던 반면, 반대응답(대체로+매우) 비율은 54.3%였다.

반대로 '자기 반성 없이 정부의 발목만 잡는 보수 야당에게 표를 주지 말아야 한다'는 보수 야당 심판에 대해선 찬성응답(매우+대체로) 비율은 과반(58.8%)인 반면, 반대 응답(대체로+매우) 비율은 31.8%였다.


내년 총선 투표 의향을 묻는 질문에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의향을 밝힌 응답은 75.9%, 소극적 투표의향('아마 투표할 것이다')을 보인 사람은 11.3%였다. 연령별로는 19~29세 연령층의 적극적 투표의향(59%)이 다른 연령층보다 많이 낮아 젊은층의 정치 무관심 현상을 보여줬다. (30대와 40대, 50대 모두 적극적 투표의향층 비율이 70% 중후반대를 기록. 60세 이상은 80%를 넘음)


투표 시 어떤 기준으로 후보를 뽑을 것인가. '능력과 경력'(27.4%)를 보고 결정하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그 뒤로는 '이념과 공약'(22.4%), '도덕성'(21.5%), '소속 정당'(19.4%)순이었다. 다른 정당 지지자와 비교했을 때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 지지지 들 가운데서 '소속 정당'을 기준으로 투표하겠다는 응답이 높았다.


총선에서 정치 신인과 현직 정치인이 나온다면 누구에게 투표할 것인가. '정치신인'(49.2%)에게 투표하겠다는 응답이 '현직 정치인'(30.3%)보다 높았다. 기성 정치인에 대한 불신과 정치권 물갈이 여론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어떤 정당에 투표할까

내년 4월 총선에서 어느 당에 표를 던질 것인가.

지역구 투표 정당을 물어보니 더불어민주당을 꼽은 응답이 30.5%로 1위, 자유한국당이 18.3%로 2위였다. 정의당(3.1%), 바른미래당(1.7%) 순이었다. 아직 결정하지 않았거나 투표할 정당이 없다는 응답도 43.6%나 됐다. 투표할 비례대표 정당으로도 더불어민주당이 25.2%로 1위, 자유한국당이 18.6%로 2위였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지역구와 비례대표 지지 비율의 격차다.

자유한국당의 경우는 지역구 투표와 비례대표 투표에서 엇비슷한 응답 비율이 나왔지만(18%대), 더불어민주당은 비례대표 투표에서 5%p가량 낮아졌다.(지역구 30.5%→비례대표 25.2%) 반면 정의당은 투표할 비례대표 정당으로 꼽힌 비율이 12%나 돼, 지역구 투표 응답(3.1%)에 비해 4배 가까이 증가했다.

내년 총선에서 '적극적으로 투표하겠다'는 답을 한 사람(적극적 투표의사층)만으로 투표할 정당을 집계해 보면 결과는 달라질까.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의 격차가 벌어졌다. 지역구 투표정당으로 더불어민주당(35.3%)이 가장 많았고, 자유한국당(21.5%)-정의당(3%)-바른미래당(1.6%)순이었다. 적극적 투표 의사층에서 투표할 비례대표 정당을 물어보니 더불어민주당(27.9%)-자유한국당(21.7%)-정의당(13.9%)-바른미래당(2.4%)순으로 투표하겠다는 응답이 많았다.

즉 적극적 투표의사층에서 지역구 투표는 14%p 정도 더불어민주당이 자유한국당 보다 많았지만, 비례대표 투표로는 격차가 6%p 정도로 줄어들었다. 정의당은 적극적 투표층에서 비례대표 지지율이 14%에 육박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치현안: 공수처 신설, 찬성(63.2%) 〉반대(29.3%)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골자로 한 선거법 개정안에 대해 '찬성(매우+대체로)' 응답이 41.9%로 '반대(대체로+매우)응답'인 35.7%보다 많았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신설에 대해서는 '찬성(매우+대체로)' 비율이 63.2%로 높았고, '반대(대체로+매우)' 비율은 29.3%로 낮았다.



선거전 보수 야당의 통합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필요하다(매우+대체로)'는 응답이 53.1%로, '필요하지 않다(대체로+매우)'는 응답(38.6%)보다 높았다. 특히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 지지자들은 70% 이상이 선거전 보수야당 간 통합 필요성을 제기했다.

정당 지지도: 더불어민주당(43.9%)〉자유한국당(21.2%)

정당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이 43.9%로 가장 높았다. 이어서 자유한국당(21.2%)-정의당(8.5%)-바른미래당(5%)순이었다. 지지정당이 없다는 응답이 12.9%고, 모름/무응답은 1.9%였다.


더불어민주당의 정당지지도는 지난해 12월 조사(2019년 신년조사)때인 41.1%에 비해 2.8%p 오른 것이고, 지난 9월에 했던 2019년 추석조사(33.7%)에 비교하면 10%p 이상 오른 것이다. 자유한국당의 경우는 지난해 12월 조사(2019년 신년조사)보다는 8%p가량 오른 것이지만, 지난 9월에 했던 2019년 추석조사(22.7%)보다는 소폭 하락했다.


지난 6개월 동안 집회시위에 참여한 사람은 얼마나 될까.

전체 13.3%가 경험이 있다고 대답했다. 특히 40대에서는 19.1%가 집회 시위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19~29 연령층에서는 이 비율이 7.8%에 불과했다.

특히 자유한국당 지지자(19.5%)의 집회시위 참여 경험이 높은 반면 더불어민주당(13.5%)과 정의당(13%) 지지자는 참여 경험이 많지 않았다.

서울지역 조사: 타타금지법, 찬성(22.7%)〈 반대(54.6%)

이번 조사에서는 서울 시민들을 상대로 서울 지역 현안에 관한 조사도 실시했다.

우선 12.16 부동산 대책에 포함된 15억 원 이상 아파트 담보 대출금지에 대해 물었다. 그 결과 '오르는 집값을 잡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는 응답이 53.5%로 과반이었다. '개인의 재산권을 과도하게 제한하는 조치는 41%에 그쳤다.

하지만 지지 정당에 따라 부동산 정책에 대한 평가는 달랐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자(78.6%)와 정의당 지지자(66.15)는 '불가피한 조치'라는 응답이 많았던 반면, 자유한국당 지지자(72.6%)와 바른미래당 지지자(61.1%)는 '개인의 재산권을 제한하는 조치'라는 답을 많이 했다.


타타금지법에 대한 찬반을 묻는 질문에 반대한다(매우+대체로)가 54.6%로 과반이었고, 찬성한다(매우+대체로)는 22.7%로 낮았다. 특히 19~49세 연령층에서 반대 의견이 60%를 웃돌았다.


2020 총선기획조사는?

KBS는 내년 4.15총선 때까지 총 6회의 심층 여론조사를 실시한다. 2000 명 샘플 규모의 전국조사, 1,000명 샘플 규모의 권역 조사(서울, 경기인천,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대전강원, 광주전남전북 각 1회), 1,500명 샘플 규모의 패널조사(동일 대상을 반복조사하는 것)가 시행된다.

조사 결과는 KBS <정치합시다_당신의 삶을 바꾸는 토크쇼>를 통해 자세히 소개된다. <정치합시다>는 총선 때까지 매달 2회 편성(매회 1시간)으로, 총 10회 방영 예정인 파일럿 프로그램이다.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 박형준 동아대 교수, 정한울 한국리서치, 박성민 정치컨설턴트 등의 전문가 패널이 출연해 총선 민심을 분석하고 정치의 본질에 대해서 묻고 답한다. 27일 밤 10시부터 KBS 1TV를 통해 1, 2회가 연속 방송된다.




[연관 기사][정치합시다] 민주당, 전국 선거 4연승 가능할까?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020총선기획조사] 응답자 절반 “현역 아닌 정치 신인에 투표하겠다”
    • 입력 2019-12-27 16:02:28
    • 수정2020-01-15 11:39:52
    취재K
☞ 여론조사(전국) 바로가기 ☞ 여론조사(서울) 바로가기 유권자들은 내년 총선에서는 '현 정부 실정 심판론'과 '보수 야당 심판론' 중에 어느 주장에 지지를 보낼까. KBS 2020총선기획 조사(1차)에서는 보수 야당 심판론에 찬성하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내년 4월 총선 때 지역구에서 어느 정당 후보에게 투표할 것이냐는 질문에 더불어민주당 후보(30.5%)가 가장 많았고, 자유한국당(18.3%)-정의당(3.1%)-바른미래당(1.7%) 순이었다. 정치 신인과 현직 정치인이 나온다면 누구에게 투표할 것이냐는 질문에 정치신인(49.2%)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현직 정치인(30.3%)이라고 답한 사람보다 훨씬 많았다. 내년 총선에서 반드시 투표할 의향을 밝힌 적극적 투표 의향층은 75.9%로 나타났지만 19~29세 연령층에서는 이 비율이 59%에 그쳤다. 이런 결과는 KBS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12월18일부터 22일까지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2,000명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른 것이다. 국정운영평가: 긍정평가(50.7%)〉부정평가(45.9%) 이번 조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 평가를 묻는 질문에 긍정평가(50.7%)가 부정평가(45.9%) 보다 높았다. 연령별로는 결과가 좀 달랐다. 30~49세 연령층에서는 긍정평가 비율이 60%를 넘은 반면, 19~29세 연령층과 50대, 60세 이상 연령층에서는 과반이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이번 조사에서 나온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평가 비율(50.7%)은 지난해 12월 실시한 '2019 신년조사' (55.2%)에 비해 5%p 가량 떨어진 것이지만, 지난 9월에 실시한 '2019 추석 조사'에 비하면 5%p 가량 올라간 것이다. 정책 분야별로 복지정책은 긍정응답(64.4%)이 가장 높았다. 반면 부동산 정책은 부정응답(65.2%)이 훨씬 높았다. 일자리 정책(60.9%)과 소득주도 성장정책(51.5%) 도 과반이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총선 인식 및 투표 의향: 정부 실정 심판 〈 보수 야당 심판 '내년 총선에서 문재인 정부의 실정을 심판하기 위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 표를 주지 말아야 한다'는 정부 실정 심판에는 찬성응답(매우+대체로) 비율은 36.4%였던 반면, 반대응답(대체로+매우) 비율은 54.3%였다. 반대로 '자기 반성 없이 정부의 발목만 잡는 보수 야당에게 표를 주지 말아야 한다'는 보수 야당 심판에 대해선 찬성응답(매우+대체로) 비율은 과반(58.8%)인 반면, 반대 응답(대체로+매우) 비율은 31.8%였다. 내년 총선 투표 의향을 묻는 질문에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의향을 밝힌 응답은 75.9%, 소극적 투표의향('아마 투표할 것이다')을 보인 사람은 11.3%였다. 연령별로는 19~29세 연령층의 적극적 투표의향(59%)이 다른 연령층보다 많이 낮아 젊은층의 정치 무관심 현상을 보여줬다. (30대와 40대, 50대 모두 적극적 투표의향층 비율이 70% 중후반대를 기록. 60세 이상은 80%를 넘음) 투표 시 어떤 기준으로 후보를 뽑을 것인가. '능력과 경력'(27.4%)를 보고 결정하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그 뒤로는 '이념과 공약'(22.4%), '도덕성'(21.5%), '소속 정당'(19.4%)순이었다. 다른 정당 지지자와 비교했을 때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 지지지 들 가운데서 '소속 정당'을 기준으로 투표하겠다는 응답이 높았다. 총선에서 정치 신인과 현직 정치인이 나온다면 누구에게 투표할 것인가. '정치신인'(49.2%)에게 투표하겠다는 응답이 '현직 정치인'(30.3%)보다 높았다. 기성 정치인에 대한 불신과 정치권 물갈이 여론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어떤 정당에 투표할까 내년 4월 총선에서 어느 당에 표를 던질 것인가. 지역구 투표 정당을 물어보니 더불어민주당을 꼽은 응답이 30.5%로 1위, 자유한국당이 18.3%로 2위였다. 정의당(3.1%), 바른미래당(1.7%) 순이었다. 아직 결정하지 않았거나 투표할 정당이 없다는 응답도 43.6%나 됐다. 투표할 비례대표 정당으로도 더불어민주당이 25.2%로 1위, 자유한국당이 18.6%로 2위였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지역구와 비례대표 지지 비율의 격차다. 자유한국당의 경우는 지역구 투표와 비례대표 투표에서 엇비슷한 응답 비율이 나왔지만(18%대), 더불어민주당은 비례대표 투표에서 5%p가량 낮아졌다.(지역구 30.5%→비례대표 25.2%) 반면 정의당은 투표할 비례대표 정당으로 꼽힌 비율이 12%나 돼, 지역구 투표 응답(3.1%)에 비해 4배 가까이 증가했다. 내년 총선에서 '적극적으로 투표하겠다'는 답을 한 사람(적극적 투표의사층)만으로 투표할 정당을 집계해 보면 결과는 달라질까.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의 격차가 벌어졌다. 지역구 투표정당으로 더불어민주당(35.3%)이 가장 많았고, 자유한국당(21.5%)-정의당(3%)-바른미래당(1.6%)순이었다. 적극적 투표 의사층에서 투표할 비례대표 정당을 물어보니 더불어민주당(27.9%)-자유한국당(21.7%)-정의당(13.9%)-바른미래당(2.4%)순으로 투표하겠다는 응답이 많았다. 즉 적극적 투표의사층에서 지역구 투표는 14%p 정도 더불어민주당이 자유한국당 보다 많았지만, 비례대표 투표로는 격차가 6%p 정도로 줄어들었다. 정의당은 적극적 투표층에서 비례대표 지지율이 14%에 육박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치현안: 공수처 신설, 찬성(63.2%) 〉반대(29.3%)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골자로 한 선거법 개정안에 대해 '찬성(매우+대체로)' 응답이 41.9%로 '반대(대체로+매우)응답'인 35.7%보다 많았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신설에 대해서는 '찬성(매우+대체로)' 비율이 63.2%로 높았고, '반대(대체로+매우)' 비율은 29.3%로 낮았다. 선거전 보수 야당의 통합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필요하다(매우+대체로)'는 응답이 53.1%로, '필요하지 않다(대체로+매우)'는 응답(38.6%)보다 높았다. 특히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 지지자들은 70% 이상이 선거전 보수야당 간 통합 필요성을 제기했다. 정당 지지도: 더불어민주당(43.9%)〉자유한국당(21.2%) 정당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이 43.9%로 가장 높았다. 이어서 자유한국당(21.2%)-정의당(8.5%)-바른미래당(5%)순이었다. 지지정당이 없다는 응답이 12.9%고, 모름/무응답은 1.9%였다. 더불어민주당의 정당지지도는 지난해 12월 조사(2019년 신년조사)때인 41.1%에 비해 2.8%p 오른 것이고, 지난 9월에 했던 2019년 추석조사(33.7%)에 비교하면 10%p 이상 오른 것이다. 자유한국당의 경우는 지난해 12월 조사(2019년 신년조사)보다는 8%p가량 오른 것이지만, 지난 9월에 했던 2019년 추석조사(22.7%)보다는 소폭 하락했다. 지난 6개월 동안 집회시위에 참여한 사람은 얼마나 될까. 전체 13.3%가 경험이 있다고 대답했다. 특히 40대에서는 19.1%가 집회 시위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19~29 연령층에서는 이 비율이 7.8%에 불과했다. 특히 자유한국당 지지자(19.5%)의 집회시위 참여 경험이 높은 반면 더불어민주당(13.5%)과 정의당(13%) 지지자는 참여 경험이 많지 않았다. 서울지역 조사: 타타금지법, 찬성(22.7%)〈 반대(54.6%) 이번 조사에서는 서울 시민들을 상대로 서울 지역 현안에 관한 조사도 실시했다. 우선 12.16 부동산 대책에 포함된 15억 원 이상 아파트 담보 대출금지에 대해 물었다. 그 결과 '오르는 집값을 잡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는 응답이 53.5%로 과반이었다. '개인의 재산권을 과도하게 제한하는 조치는 41%에 그쳤다. 하지만 지지 정당에 따라 부동산 정책에 대한 평가는 달랐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자(78.6%)와 정의당 지지자(66.15)는 '불가피한 조치'라는 응답이 많았던 반면, 자유한국당 지지자(72.6%)와 바른미래당 지지자(61.1%)는 '개인의 재산권을 제한하는 조치'라는 답을 많이 했다. 타타금지법에 대한 찬반을 묻는 질문에 반대한다(매우+대체로)가 54.6%로 과반이었고, 찬성한다(매우+대체로)는 22.7%로 낮았다. 특히 19~49세 연령층에서 반대 의견이 60%를 웃돌았다. 2020 총선기획조사는? KBS는 내년 4.15총선 때까지 총 6회의 심층 여론조사를 실시한다. 2000 명 샘플 규모의 전국조사, 1,000명 샘플 규모의 권역 조사(서울, 경기인천,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대전강원, 광주전남전북 각 1회), 1,500명 샘플 규모의 패널조사(동일 대상을 반복조사하는 것)가 시행된다. 조사 결과는 KBS <정치합시다_당신의 삶을 바꾸는 토크쇼>를 통해 자세히 소개된다. <정치합시다>는 총선 때까지 매달 2회 편성(매회 1시간)으로, 총 10회 방영 예정인 파일럿 프로그램이다.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 박형준 동아대 교수, 정한울 한국리서치, 박성민 정치컨설턴트 등의 전문가 패널이 출연해 총선 민심을 분석하고 정치의 본질에 대해서 묻고 답한다. 27일 밤 10시부터 KBS 1TV를 통해 1, 2회가 연속 방송된다. [연관 기사][정치합시다] 민주당, 전국 선거 4연승 가능할까?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