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지사 “관세타결, 경제적 불확실성 해소가 가장 큰 성과”
입력 2025.07.31 (16:51)
수정 2025.07.31 (16: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 대해 “경제적 불확실성을 해소한 것이 가장 큰 성과”라고 밝혔습니다.
김 지사는 오늘(31일) ‘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 따른 경기도 특별지원대책회의’를 소집한 자리에서 “경제를 가장 어렵게 하는 것이 바로 불확실성”이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어 “다른 경쟁국보다 불리하지 않은 결과를 도출하겠다는 목표를 이뤄냈고, 시한 내 협상 결과를 도출해 시장에 안정감을 줬다”며 “무엇보다 쌀과 소고기 등 농축산물 비관세 장벽을 잘 방어해냈다”고 평가했습니다.
김 지사는 “도내 자동차 부품업체, K뷰티·K식품 등 소비재 수출 중소기업에 피해가 예상된다”며 “이들 기업에 긴급 안정지원 확대, 특례보증 한도 확대 등 특별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또 “중소기업의 수출 다변화를 위해 신시장 진출 기업에 바우처를 신설하고 피해 업종이 집중된 지역에는 맞춤형 지원대책도 추진하겠다”고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김 지사는 오늘(31일) ‘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 따른 경기도 특별지원대책회의’를 소집한 자리에서 “경제를 가장 어렵게 하는 것이 바로 불확실성”이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어 “다른 경쟁국보다 불리하지 않은 결과를 도출하겠다는 목표를 이뤄냈고, 시한 내 협상 결과를 도출해 시장에 안정감을 줬다”며 “무엇보다 쌀과 소고기 등 농축산물 비관세 장벽을 잘 방어해냈다”고 평가했습니다.
김 지사는 “도내 자동차 부품업체, K뷰티·K식품 등 소비재 수출 중소기업에 피해가 예상된다”며 “이들 기업에 긴급 안정지원 확대, 특례보증 한도 확대 등 특별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또 “중소기업의 수출 다변화를 위해 신시장 진출 기업에 바우처를 신설하고 피해 업종이 집중된 지역에는 맞춤형 지원대책도 추진하겠다”고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김동연 경기지사 “관세타결, 경제적 불확실성 해소가 가장 큰 성과”
-
- 입력 2025-07-31 16:51:13
- 수정2025-07-31 16:53:46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 대해 “경제적 불확실성을 해소한 것이 가장 큰 성과”라고 밝혔습니다.
김 지사는 오늘(31일) ‘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 따른 경기도 특별지원대책회의’를 소집한 자리에서 “경제를 가장 어렵게 하는 것이 바로 불확실성”이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어 “다른 경쟁국보다 불리하지 않은 결과를 도출하겠다는 목표를 이뤄냈고, 시한 내 협상 결과를 도출해 시장에 안정감을 줬다”며 “무엇보다 쌀과 소고기 등 농축산물 비관세 장벽을 잘 방어해냈다”고 평가했습니다.
김 지사는 “도내 자동차 부품업체, K뷰티·K식품 등 소비재 수출 중소기업에 피해가 예상된다”며 “이들 기업에 긴급 안정지원 확대, 특례보증 한도 확대 등 특별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또 “중소기업의 수출 다변화를 위해 신시장 진출 기업에 바우처를 신설하고 피해 업종이 집중된 지역에는 맞춤형 지원대책도 추진하겠다”고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김 지사는 오늘(31일) ‘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 따른 경기도 특별지원대책회의’를 소집한 자리에서 “경제를 가장 어렵게 하는 것이 바로 불확실성”이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어 “다른 경쟁국보다 불리하지 않은 결과를 도출하겠다는 목표를 이뤄냈고, 시한 내 협상 결과를 도출해 시장에 안정감을 줬다”며 “무엇보다 쌀과 소고기 등 농축산물 비관세 장벽을 잘 방어해냈다”고 평가했습니다.
김 지사는 “도내 자동차 부품업체, K뷰티·K식품 등 소비재 수출 중소기업에 피해가 예상된다”며 “이들 기업에 긴급 안정지원 확대, 특례보증 한도 확대 등 특별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또 “중소기업의 수출 다변화를 위해 신시장 진출 기업에 바우처를 신설하고 피해 업종이 집중된 지역에는 맞춤형 지원대책도 추진하겠다”고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송명희 기자 thimble@kbs.co.kr
송명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한미 관세협상 타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