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자동차 관세 15%…쌀·소고기 시장 추가 개방 않기로”
입력 2025.07.31 (12:03)
수정 2025.07.31 (14: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를 이틀 앞두고 한미 관세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됐습니다.
상호관세는 당초 예정됐던 25%에서 15%로 낮춰졌고, 쌀과 소고기는 추가로 시장을 개방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대통령실 연결합니다.
방준원 기자!
협상 타결 직후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브리핑을 했는데 내용 전해주시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우리 시간으로 오늘 새벽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타결됐는데요.
대통령실도 긴급하게 김용범 정책실장이 브리핑을 열어 합의 내용을 설명했습니다.
우선, 미국이 내일부터 부과하기로 예고했던 상호관세는 25%에서 15%로 낮아졌습니다.
일본, EU가 미국과 합의한 것과 같은 수준입니다.
우리의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관세도 15%로 낮아졌다고 밝혔는데요.
김용범 정책실장은 FTA에 따라 12.5%를 주장했지만, 15%로 정해졌다며 아쉬운 부분이라고 말했습니다.
추후 부과가 예고된 반도체와 의약품은 다른 나라 대비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받게 될 거라는 게 정책실장의 설명입니다.
우리나라 대미 투자액은 3,500억 달러로 합의됐는데요.
미국과의 조선업 협력 확대 차원에서, 1500억 달러가 한미 조선협력 펀드로 조성됩니다.
선박 건조와 유지, 보수, 정비, 조선 기자재 등 조선업 전반을 포괄하게 되고, 우리 기업 수요에 기반해 구체적으로 투자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조선 분야 외에도, 반도체와 원전, 이차전지 바이오 등에 대한 대미 투자 펀드 역시 2천억 달러 조성될 예정입니다.
[앵커]
협상 과정에서 관심을 모았던 쌀과 소고기 시장 관련해선 추가 개방은 없을 거라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쌀과 소고기 시장은 추가로 개방하지 않기로 양국이 합의했습니다.
협상 과정에서 농축산물 시장에 대한 미국의 강한 개방 요구가 있었던 건 사실인데요.
식량 안보와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감안해 국내 쌀과 소고기 시장에 있어선 추가 양보는 하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농축산물도 포함해 완전 개방'이라고 자신의 SNS에 올린 것은 "실무적 합의 내용이 아니라 정치 지도자의 표현"이라는 게 대통령실 입장입니다.
지금까지 대통령실에서 KBS 뉴스 방준원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영상편집:이형주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를 이틀 앞두고 한미 관세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됐습니다.
상호관세는 당초 예정됐던 25%에서 15%로 낮춰졌고, 쌀과 소고기는 추가로 시장을 개방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대통령실 연결합니다.
방준원 기자!
협상 타결 직후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브리핑을 했는데 내용 전해주시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우리 시간으로 오늘 새벽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타결됐는데요.
대통령실도 긴급하게 김용범 정책실장이 브리핑을 열어 합의 내용을 설명했습니다.
우선, 미국이 내일부터 부과하기로 예고했던 상호관세는 25%에서 15%로 낮아졌습니다.
일본, EU가 미국과 합의한 것과 같은 수준입니다.
우리의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관세도 15%로 낮아졌다고 밝혔는데요.
김용범 정책실장은 FTA에 따라 12.5%를 주장했지만, 15%로 정해졌다며 아쉬운 부분이라고 말했습니다.
추후 부과가 예고된 반도체와 의약품은 다른 나라 대비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받게 될 거라는 게 정책실장의 설명입니다.
우리나라 대미 투자액은 3,500억 달러로 합의됐는데요.
미국과의 조선업 협력 확대 차원에서, 1500억 달러가 한미 조선협력 펀드로 조성됩니다.
선박 건조와 유지, 보수, 정비, 조선 기자재 등 조선업 전반을 포괄하게 되고, 우리 기업 수요에 기반해 구체적으로 투자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조선 분야 외에도, 반도체와 원전, 이차전지 바이오 등에 대한 대미 투자 펀드 역시 2천억 달러 조성될 예정입니다.
[앵커]
협상 과정에서 관심을 모았던 쌀과 소고기 시장 관련해선 추가 개방은 없을 거라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쌀과 소고기 시장은 추가로 개방하지 않기로 양국이 합의했습니다.
협상 과정에서 농축산물 시장에 대한 미국의 강한 개방 요구가 있었던 건 사실인데요.
식량 안보와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감안해 국내 쌀과 소고기 시장에 있어선 추가 양보는 하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농축산물도 포함해 완전 개방'이라고 자신의 SNS에 올린 것은 "실무적 합의 내용이 아니라 정치 지도자의 표현"이라는 게 대통령실 입장입니다.
지금까지 대통령실에서 KBS 뉴스 방준원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영상편집:이형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통령실 “자동차 관세 15%…쌀·소고기 시장 추가 개방 않기로”
-
- 입력 2025-07-31 12:03:13
- 수정2025-07-31 14:12:08

[앵커]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를 이틀 앞두고 한미 관세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됐습니다.
상호관세는 당초 예정됐던 25%에서 15%로 낮춰졌고, 쌀과 소고기는 추가로 시장을 개방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대통령실 연결합니다.
방준원 기자!
협상 타결 직후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브리핑을 했는데 내용 전해주시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우리 시간으로 오늘 새벽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타결됐는데요.
대통령실도 긴급하게 김용범 정책실장이 브리핑을 열어 합의 내용을 설명했습니다.
우선, 미국이 내일부터 부과하기로 예고했던 상호관세는 25%에서 15%로 낮아졌습니다.
일본, EU가 미국과 합의한 것과 같은 수준입니다.
우리의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관세도 15%로 낮아졌다고 밝혔는데요.
김용범 정책실장은 FTA에 따라 12.5%를 주장했지만, 15%로 정해졌다며 아쉬운 부분이라고 말했습니다.
추후 부과가 예고된 반도체와 의약품은 다른 나라 대비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받게 될 거라는 게 정책실장의 설명입니다.
우리나라 대미 투자액은 3,500억 달러로 합의됐는데요.
미국과의 조선업 협력 확대 차원에서, 1500억 달러가 한미 조선협력 펀드로 조성됩니다.
선박 건조와 유지, 보수, 정비, 조선 기자재 등 조선업 전반을 포괄하게 되고, 우리 기업 수요에 기반해 구체적으로 투자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조선 분야 외에도, 반도체와 원전, 이차전지 바이오 등에 대한 대미 투자 펀드 역시 2천억 달러 조성될 예정입니다.
[앵커]
협상 과정에서 관심을 모았던 쌀과 소고기 시장 관련해선 추가 개방은 없을 거라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쌀과 소고기 시장은 추가로 개방하지 않기로 양국이 합의했습니다.
협상 과정에서 농축산물 시장에 대한 미국의 강한 개방 요구가 있었던 건 사실인데요.
식량 안보와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감안해 국내 쌀과 소고기 시장에 있어선 추가 양보는 하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농축산물도 포함해 완전 개방'이라고 자신의 SNS에 올린 것은 "실무적 합의 내용이 아니라 정치 지도자의 표현"이라는 게 대통령실 입장입니다.
지금까지 대통령실에서 KBS 뉴스 방준원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영상편집:이형주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를 이틀 앞두고 한미 관세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됐습니다.
상호관세는 당초 예정됐던 25%에서 15%로 낮춰졌고, 쌀과 소고기는 추가로 시장을 개방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대통령실 연결합니다.
방준원 기자!
협상 타결 직후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브리핑을 했는데 내용 전해주시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우리 시간으로 오늘 새벽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타결됐는데요.
대통령실도 긴급하게 김용범 정책실장이 브리핑을 열어 합의 내용을 설명했습니다.
우선, 미국이 내일부터 부과하기로 예고했던 상호관세는 25%에서 15%로 낮아졌습니다.
일본, EU가 미국과 합의한 것과 같은 수준입니다.
우리의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관세도 15%로 낮아졌다고 밝혔는데요.
김용범 정책실장은 FTA에 따라 12.5%를 주장했지만, 15%로 정해졌다며 아쉬운 부분이라고 말했습니다.
추후 부과가 예고된 반도체와 의약품은 다른 나라 대비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받게 될 거라는 게 정책실장의 설명입니다.
우리나라 대미 투자액은 3,500억 달러로 합의됐는데요.
미국과의 조선업 협력 확대 차원에서, 1500억 달러가 한미 조선협력 펀드로 조성됩니다.
선박 건조와 유지, 보수, 정비, 조선 기자재 등 조선업 전반을 포괄하게 되고, 우리 기업 수요에 기반해 구체적으로 투자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조선 분야 외에도, 반도체와 원전, 이차전지 바이오 등에 대한 대미 투자 펀드 역시 2천억 달러 조성될 예정입니다.
[앵커]
협상 과정에서 관심을 모았던 쌀과 소고기 시장 관련해선 추가 개방은 없을 거라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쌀과 소고기 시장은 추가로 개방하지 않기로 양국이 합의했습니다.
협상 과정에서 농축산물 시장에 대한 미국의 강한 개방 요구가 있었던 건 사실인데요.
식량 안보와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감안해 국내 쌀과 소고기 시장에 있어선 추가 양보는 하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농축산물도 포함해 완전 개방'이라고 자신의 SNS에 올린 것은 "실무적 합의 내용이 아니라 정치 지도자의 표현"이라는 게 대통령실 입장입니다.
지금까지 대통령실에서 KBS 뉴스 방준원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영상편집:이형주
-
-
방준원 기자 pcbang@kbs.co.kr
방준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한미 관세협상 타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