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산사태 취약지역’ 무용지물…공개도 않고 예방도 허술
입력 2025.07.22 (21:08)
수정 2025.07.22 (22: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에 인명 피해가 가장 컸던 경남 산청은 피해 지역이 이미 산사태 취약지역으로 지정돼 있었던 걸로 드러났습니다.
경상남도가 취약지역 2천3백여 곳을 다 파악해 놓고는, 이걸 알리지도 않고 예방 조처를 하지도 않았던 겁니다.
진정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19일 폭우로 3명이 숨진 경남 산청군 부리마을입니다.
마을 뒷산은 꼭대기부터 순식간에 무너져 내렸습니다.
지난해 5월 경상남도가 작성해 행안부에 제출한 '경남 산사태 취약지역' 보고서입니다.
2천 3백여 곳을 지정해 대피소까지 안내하고 있는데 피해가 컸던 부리마을도 포함돼 있습니다.
하지만 마을 주민들은 뒷산이 '산사태 취약지역'인지, 대피소는 어디인지 모르고 있습니다.
[주유숙/경남 산청군 부리마을 주민 : "그런(산사태) 걱정은 한 번도 안 해 봤어요. 왜냐하면 한 번도 여기 이쪽에서 산사태 같은 게 안 일어났으니까…."]
경상남도는 취약지역을 정리하고도 개인정보 노출, 땅값 영향 등을 이유로 제대로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경상남도 공무원/음성변조 : "산사태 정보 시스템이 공개가 안 되고 있는데, 재산상에 이걸(산사태 취약지역) 공개하면 땅값의 문제나 이런 게 있어서…."]
심지어 산청군 담당 공무원조차 지정 사실을 모르고 있었고, 이에 따른 예방 점검도 없었습니다.
[경남 산청군 공무원/음성변조 : "부리는 산사태 취약(지역) 지정한 데가 아니라는 겁니다. 일반 산을 다 점검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닙니다."]
이번 산청 집중호우로 숨진 12명 가운데 8명이 산사태로 무너진 집에서 발견된 상황, 인명피해가 발생한 5곳은 경상남도가 파악한 산사태 취약지역 일대였습니다.
KBS 뉴스 진정은입니다.
촬영기자:이하우 김대현
이번에 인명 피해가 가장 컸던 경남 산청은 피해 지역이 이미 산사태 취약지역으로 지정돼 있었던 걸로 드러났습니다.
경상남도가 취약지역 2천3백여 곳을 다 파악해 놓고는, 이걸 알리지도 않고 예방 조처를 하지도 않았던 겁니다.
진정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19일 폭우로 3명이 숨진 경남 산청군 부리마을입니다.
마을 뒷산은 꼭대기부터 순식간에 무너져 내렸습니다.
지난해 5월 경상남도가 작성해 행안부에 제출한 '경남 산사태 취약지역' 보고서입니다.
2천 3백여 곳을 지정해 대피소까지 안내하고 있는데 피해가 컸던 부리마을도 포함돼 있습니다.
하지만 마을 주민들은 뒷산이 '산사태 취약지역'인지, 대피소는 어디인지 모르고 있습니다.
[주유숙/경남 산청군 부리마을 주민 : "그런(산사태) 걱정은 한 번도 안 해 봤어요. 왜냐하면 한 번도 여기 이쪽에서 산사태 같은 게 안 일어났으니까…."]
경상남도는 취약지역을 정리하고도 개인정보 노출, 땅값 영향 등을 이유로 제대로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경상남도 공무원/음성변조 : "산사태 정보 시스템이 공개가 안 되고 있는데, 재산상에 이걸(산사태 취약지역) 공개하면 땅값의 문제나 이런 게 있어서…."]
심지어 산청군 담당 공무원조차 지정 사실을 모르고 있었고, 이에 따른 예방 점검도 없었습니다.
[경남 산청군 공무원/음성변조 : "부리는 산사태 취약(지역) 지정한 데가 아니라는 겁니다. 일반 산을 다 점검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닙니다."]
이번 산청 집중호우로 숨진 12명 가운데 8명이 산사태로 무너진 집에서 발견된 상황, 인명피해가 발생한 5곳은 경상남도가 파악한 산사태 취약지역 일대였습니다.
KBS 뉴스 진정은입니다.
촬영기자:이하우 김대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남 산사태 취약지역’ 무용지물…공개도 않고 예방도 허술
-
- 입력 2025-07-22 21:08:00
- 수정2025-07-22 22:06:31

[앵커]
이번에 인명 피해가 가장 컸던 경남 산청은 피해 지역이 이미 산사태 취약지역으로 지정돼 있었던 걸로 드러났습니다.
경상남도가 취약지역 2천3백여 곳을 다 파악해 놓고는, 이걸 알리지도 않고 예방 조처를 하지도 않았던 겁니다.
진정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19일 폭우로 3명이 숨진 경남 산청군 부리마을입니다.
마을 뒷산은 꼭대기부터 순식간에 무너져 내렸습니다.
지난해 5월 경상남도가 작성해 행안부에 제출한 '경남 산사태 취약지역' 보고서입니다.
2천 3백여 곳을 지정해 대피소까지 안내하고 있는데 피해가 컸던 부리마을도 포함돼 있습니다.
하지만 마을 주민들은 뒷산이 '산사태 취약지역'인지, 대피소는 어디인지 모르고 있습니다.
[주유숙/경남 산청군 부리마을 주민 : "그런(산사태) 걱정은 한 번도 안 해 봤어요. 왜냐하면 한 번도 여기 이쪽에서 산사태 같은 게 안 일어났으니까…."]
경상남도는 취약지역을 정리하고도 개인정보 노출, 땅값 영향 등을 이유로 제대로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경상남도 공무원/음성변조 : "산사태 정보 시스템이 공개가 안 되고 있는데, 재산상에 이걸(산사태 취약지역) 공개하면 땅값의 문제나 이런 게 있어서…."]
심지어 산청군 담당 공무원조차 지정 사실을 모르고 있었고, 이에 따른 예방 점검도 없었습니다.
[경남 산청군 공무원/음성변조 : "부리는 산사태 취약(지역) 지정한 데가 아니라는 겁니다. 일반 산을 다 점검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닙니다."]
이번 산청 집중호우로 숨진 12명 가운데 8명이 산사태로 무너진 집에서 발견된 상황, 인명피해가 발생한 5곳은 경상남도가 파악한 산사태 취약지역 일대였습니다.
KBS 뉴스 진정은입니다.
촬영기자:이하우 김대현
이번에 인명 피해가 가장 컸던 경남 산청은 피해 지역이 이미 산사태 취약지역으로 지정돼 있었던 걸로 드러났습니다.
경상남도가 취약지역 2천3백여 곳을 다 파악해 놓고는, 이걸 알리지도 않고 예방 조처를 하지도 않았던 겁니다.
진정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19일 폭우로 3명이 숨진 경남 산청군 부리마을입니다.
마을 뒷산은 꼭대기부터 순식간에 무너져 내렸습니다.
지난해 5월 경상남도가 작성해 행안부에 제출한 '경남 산사태 취약지역' 보고서입니다.
2천 3백여 곳을 지정해 대피소까지 안내하고 있는데 피해가 컸던 부리마을도 포함돼 있습니다.
하지만 마을 주민들은 뒷산이 '산사태 취약지역'인지, 대피소는 어디인지 모르고 있습니다.
[주유숙/경남 산청군 부리마을 주민 : "그런(산사태) 걱정은 한 번도 안 해 봤어요. 왜냐하면 한 번도 여기 이쪽에서 산사태 같은 게 안 일어났으니까…."]
경상남도는 취약지역을 정리하고도 개인정보 노출, 땅값 영향 등을 이유로 제대로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경상남도 공무원/음성변조 : "산사태 정보 시스템이 공개가 안 되고 있는데, 재산상에 이걸(산사태 취약지역) 공개하면 땅값의 문제나 이런 게 있어서…."]
심지어 산청군 담당 공무원조차 지정 사실을 모르고 있었고, 이에 따른 예방 점검도 없었습니다.
[경남 산청군 공무원/음성변조 : "부리는 산사태 취약(지역) 지정한 데가 아니라는 겁니다. 일반 산을 다 점검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닙니다."]
이번 산청 집중호우로 숨진 12명 가운데 8명이 산사태로 무너진 집에서 발견된 상황, 인명피해가 발생한 5곳은 경상남도가 파악한 산사태 취약지역 일대였습니다.
KBS 뉴스 진정은입니다.
촬영기자:이하우 김대현
-
-
진정은 기자 chris@kbs.co.kr
진정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