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애플에 관세 압박 “소비자 아닌 애플이 부담해야”

입력 2025.05.28 (15:34) 수정 2025.05.28 (15: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케빈 해싯 미국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애플이 소비자에게 관세 부담을 전가하지 말고 직접 떠안아야 한다는 취지로 압박했습니다.

해싯 위원장은 현지 시각 27일 미국 방송 CNBC와 인터뷰에서 “지금 아주 작은 관세가 부과된다면 관세를 낮추기 위해 모두가 마치 큰 재앙인 것처럼 몰아가고 있다”며 “결국 어떻게 될지 두고 봐야겠지만 우리는 애플에 피해를 주고 싶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또 “애플이 어딘가에 공장을 두고 있고, 일정 수량의 아이폰을 생산해 무슨 일이 있어도 그걸 팔아야 한다면 애플이 그 관세를 부담하게 될 것이다. 소비자가 아니라. 왜냐하면 공급 탄력성 때문”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이 같은 발언에 대해 CNBC는 트럼프 행정부가 기업들에 관세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지 말고 스스로 부담하라고 압박하는 입장을 지속한 것이라고 풀이했습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3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서 “나는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이 인도 혹은 다른 나라가 아닌 미국에서 제조되기를 바란다고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에게 오래전 알린 바 있다”며 “그렇지 않다면, 애플은 최소 25%의 관세를 내야 할 것”이라고 압박했습니다.

애플이 궁극적으로 제조 기반을 미국으로 옮기지 않는다면 관세 폭탄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경고한 것으로 해석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동 순방 중이던 지난 15일에도 쿡 CEO와 통화했다며 “인도에 공장을 짓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고 전한 바 있습니다.

애플은 관세 전쟁 여파를 최소화하기 위해 중국 중심의 생산 공정을 인도 등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달 초 트럼프 대통령은 최대 유통기업 월마트가 관세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밖에 없다고 밝히자 “관세를 흡수하라”고 경고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시장조사업체 캐널리스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미국으로 출하된 인도산 아이폰은 300만대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76% 증가했지만, 중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출된 아이폰은 90만 대로 76% 감소했습니다.

1~2월만 해도 미국으로 수출된 인도산 아이폰의 비중은 중국산의 절반 정도에 머물렀지만, 3월 들어 인도산 아이폰이 중국산을 넘어선 데 이어 지난달에는 격차가 크게 벌어진 것입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2일 발표한 상호 관세 시행을 앞두고 애플이 재고 확보에 나섰기 때문입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11일 아이폰 등 전자제품을 상호 관세에서 면제하기로 했지만, 미국의 대중국 관세는 30%로 미국이 인도에 부과한 관세(10%)보다 높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백악관, 애플에 관세 압박 “소비자 아닌 애플이 부담해야”
    • 입력 2025-05-28 15:34:19
    • 수정2025-05-28 15:52:50
    국제
케빈 해싯 미국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애플이 소비자에게 관세 부담을 전가하지 말고 직접 떠안아야 한다는 취지로 압박했습니다.

해싯 위원장은 현지 시각 27일 미국 방송 CNBC와 인터뷰에서 “지금 아주 작은 관세가 부과된다면 관세를 낮추기 위해 모두가 마치 큰 재앙인 것처럼 몰아가고 있다”며 “결국 어떻게 될지 두고 봐야겠지만 우리는 애플에 피해를 주고 싶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또 “애플이 어딘가에 공장을 두고 있고, 일정 수량의 아이폰을 생산해 무슨 일이 있어도 그걸 팔아야 한다면 애플이 그 관세를 부담하게 될 것이다. 소비자가 아니라. 왜냐하면 공급 탄력성 때문”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이 같은 발언에 대해 CNBC는 트럼프 행정부가 기업들에 관세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지 말고 스스로 부담하라고 압박하는 입장을 지속한 것이라고 풀이했습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3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서 “나는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이 인도 혹은 다른 나라가 아닌 미국에서 제조되기를 바란다고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에게 오래전 알린 바 있다”며 “그렇지 않다면, 애플은 최소 25%의 관세를 내야 할 것”이라고 압박했습니다.

애플이 궁극적으로 제조 기반을 미국으로 옮기지 않는다면 관세 폭탄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경고한 것으로 해석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동 순방 중이던 지난 15일에도 쿡 CEO와 통화했다며 “인도에 공장을 짓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고 전한 바 있습니다.

애플은 관세 전쟁 여파를 최소화하기 위해 중국 중심의 생산 공정을 인도 등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달 초 트럼프 대통령은 최대 유통기업 월마트가 관세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밖에 없다고 밝히자 “관세를 흡수하라”고 경고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시장조사업체 캐널리스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미국으로 출하된 인도산 아이폰은 300만대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76% 증가했지만, 중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출된 아이폰은 90만 대로 76% 감소했습니다.

1~2월만 해도 미국으로 수출된 인도산 아이폰의 비중은 중국산의 절반 정도에 머물렀지만, 3월 들어 인도산 아이폰이 중국산을 넘어선 데 이어 지난달에는 격차가 크게 벌어진 것입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2일 발표한 상호 관세 시행을 앞두고 애플이 재고 확보에 나섰기 때문입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11일 아이폰 등 전자제품을 상호 관세에서 면제하기로 했지만, 미국의 대중국 관세는 30%로 미국이 인도에 부과한 관세(10%)보다 높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