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당 “이준석, 토론서 혐오·저주 쏟아내…국회 윤리위 제소”
입력 2025.05.28 (10:48)
수정 2025.05.28 (10: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당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가 대선 3차 TV 토론에서 온 국민을 모욕했다며 “즉각 사퇴만이 충격과 분노에 휩싸인 우리 국민에 대한 그나마 최소한의 도리라는 점을 분명히 경고한다”고 밝혔습니다.
진보당 홍성규 수석대변인은 오늘(28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준석 후보가 마지막 TV 토론에서 쏟아낸 혐오와 저주의 말들은 대선후보 토론이 아니라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의 그 어떤 자리에서도 절대 있을 수 없는, 있어서는 안 되는 말들이었다”고 비판했습니다.
홍 수석대변인은 “민주시민으로서 책무를 다하기 위해 토론을 경청했던 우리 모든 국민에 대한 끔찍한 모욕이자 참담한 능멸”이라며 “왜곡된 성 의식, 인권 의식에 대해 추상같은 자기 성찰을 못 하는 후보는 자격이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역대 최연소 대선후보에 대하여 일각에서 가졌을 법한 그나마 일말의 기대에 대하여 고작 내놓는다는 것이 이토록 끔찍한 혐오와 저주란 말이냐”며 “결국 그가 주창했던 퍼스트펭귄은 혐오와 저주의 퍼스트펭귄이었을 뿐”이라고 말했습니다.
홍 수석대변인은 또, “사전 투표를 눈앞에 두고서 마지막 토론에서라도 이른바 이준석 정치의 실체가 만천하에 드러나 그나마 다행”이라며 “정치개혁이라는 토론 주제에 대한 응답은 혐오와 저주의 퍼스트펭귄 이준석 퇴출로부터 시작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이준석 후보의 더러운 변명을 그대로 돌려드리겠다”며 “성범죄에 해당하는 비뚤어진 성 의식을 마주했을 때 지위고하나 멀고 가까운 관계를 떠나 국민이 읍참마속의 자세로 단호한 평가를 내릴 수 있어야 우리 대한민국이 바로 설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진보당은 이준석 후보를 국회 윤리위원회에 제소하기로 했습니다.
“국회의원은 차별·혐오·폭력적 표현을 지양해 우리 사회를 성평등 사회로 진전시켜야 할 책임이 있다”며 “이 후보의 발언을 용인하면 대한민국 성평등·인권 존중 사회는 바로 설 수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진보당 홍성규 수석대변인은 오늘(28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준석 후보가 마지막 TV 토론에서 쏟아낸 혐오와 저주의 말들은 대선후보 토론이 아니라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의 그 어떤 자리에서도 절대 있을 수 없는, 있어서는 안 되는 말들이었다”고 비판했습니다.
홍 수석대변인은 “민주시민으로서 책무를 다하기 위해 토론을 경청했던 우리 모든 국민에 대한 끔찍한 모욕이자 참담한 능멸”이라며 “왜곡된 성 의식, 인권 의식에 대해 추상같은 자기 성찰을 못 하는 후보는 자격이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역대 최연소 대선후보에 대하여 일각에서 가졌을 법한 그나마 일말의 기대에 대하여 고작 내놓는다는 것이 이토록 끔찍한 혐오와 저주란 말이냐”며 “결국 그가 주창했던 퍼스트펭귄은 혐오와 저주의 퍼스트펭귄이었을 뿐”이라고 말했습니다.
홍 수석대변인은 또, “사전 투표를 눈앞에 두고서 마지막 토론에서라도 이른바 이준석 정치의 실체가 만천하에 드러나 그나마 다행”이라며 “정치개혁이라는 토론 주제에 대한 응답은 혐오와 저주의 퍼스트펭귄 이준석 퇴출로부터 시작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이준석 후보의 더러운 변명을 그대로 돌려드리겠다”며 “성범죄에 해당하는 비뚤어진 성 의식을 마주했을 때 지위고하나 멀고 가까운 관계를 떠나 국민이 읍참마속의 자세로 단호한 평가를 내릴 수 있어야 우리 대한민국이 바로 설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진보당은 이준석 후보를 국회 윤리위원회에 제소하기로 했습니다.
“국회의원은 차별·혐오·폭력적 표현을 지양해 우리 사회를 성평등 사회로 진전시켜야 할 책임이 있다”며 “이 후보의 발언을 용인하면 대한민국 성평등·인권 존중 사회는 바로 설 수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진보당 “이준석, 토론서 혐오·저주 쏟아내…국회 윤리위 제소”
-
- 입력 2025-05-28 10:48:07
- 수정2025-05-28 10:52:01

진보당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가 대선 3차 TV 토론에서 온 국민을 모욕했다며 “즉각 사퇴만이 충격과 분노에 휩싸인 우리 국민에 대한 그나마 최소한의 도리라는 점을 분명히 경고한다”고 밝혔습니다.
진보당 홍성규 수석대변인은 오늘(28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준석 후보가 마지막 TV 토론에서 쏟아낸 혐오와 저주의 말들은 대선후보 토론이 아니라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의 그 어떤 자리에서도 절대 있을 수 없는, 있어서는 안 되는 말들이었다”고 비판했습니다.
홍 수석대변인은 “민주시민으로서 책무를 다하기 위해 토론을 경청했던 우리 모든 국민에 대한 끔찍한 모욕이자 참담한 능멸”이라며 “왜곡된 성 의식, 인권 의식에 대해 추상같은 자기 성찰을 못 하는 후보는 자격이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역대 최연소 대선후보에 대하여 일각에서 가졌을 법한 그나마 일말의 기대에 대하여 고작 내놓는다는 것이 이토록 끔찍한 혐오와 저주란 말이냐”며 “결국 그가 주창했던 퍼스트펭귄은 혐오와 저주의 퍼스트펭귄이었을 뿐”이라고 말했습니다.
홍 수석대변인은 또, “사전 투표를 눈앞에 두고서 마지막 토론에서라도 이른바 이준석 정치의 실체가 만천하에 드러나 그나마 다행”이라며 “정치개혁이라는 토론 주제에 대한 응답은 혐오와 저주의 퍼스트펭귄 이준석 퇴출로부터 시작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이준석 후보의 더러운 변명을 그대로 돌려드리겠다”며 “성범죄에 해당하는 비뚤어진 성 의식을 마주했을 때 지위고하나 멀고 가까운 관계를 떠나 국민이 읍참마속의 자세로 단호한 평가를 내릴 수 있어야 우리 대한민국이 바로 설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진보당은 이준석 후보를 국회 윤리위원회에 제소하기로 했습니다.
“국회의원은 차별·혐오·폭력적 표현을 지양해 우리 사회를 성평등 사회로 진전시켜야 할 책임이 있다”며 “이 후보의 발언을 용인하면 대한민국 성평등·인권 존중 사회는 바로 설 수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진보당 홍성규 수석대변인은 오늘(28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준석 후보가 마지막 TV 토론에서 쏟아낸 혐오와 저주의 말들은 대선후보 토론이 아니라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의 그 어떤 자리에서도 절대 있을 수 없는, 있어서는 안 되는 말들이었다”고 비판했습니다.
홍 수석대변인은 “민주시민으로서 책무를 다하기 위해 토론을 경청했던 우리 모든 국민에 대한 끔찍한 모욕이자 참담한 능멸”이라며 “왜곡된 성 의식, 인권 의식에 대해 추상같은 자기 성찰을 못 하는 후보는 자격이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역대 최연소 대선후보에 대하여 일각에서 가졌을 법한 그나마 일말의 기대에 대하여 고작 내놓는다는 것이 이토록 끔찍한 혐오와 저주란 말이냐”며 “결국 그가 주창했던 퍼스트펭귄은 혐오와 저주의 퍼스트펭귄이었을 뿐”이라고 말했습니다.
홍 수석대변인은 또, “사전 투표를 눈앞에 두고서 마지막 토론에서라도 이른바 이준석 정치의 실체가 만천하에 드러나 그나마 다행”이라며 “정치개혁이라는 토론 주제에 대한 응답은 혐오와 저주의 퍼스트펭귄 이준석 퇴출로부터 시작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이준석 후보의 더러운 변명을 그대로 돌려드리겠다”며 “성범죄에 해당하는 비뚤어진 성 의식을 마주했을 때 지위고하나 멀고 가까운 관계를 떠나 국민이 읍참마속의 자세로 단호한 평가를 내릴 수 있어야 우리 대한민국이 바로 설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진보당은 이준석 후보를 국회 윤리위원회에 제소하기로 했습니다.
“국회의원은 차별·혐오·폭력적 표현을 지양해 우리 사회를 성평등 사회로 진전시켜야 할 책임이 있다”며 “이 후보의 발언을 용인하면 대한민국 성평등·인권 존중 사회는 바로 설 수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이수민 기자 waterming@kbs.co.kr
이수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제 21대 대통령 선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