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유학생 비자 인터뷰 일시 중단…SNS 심사 의무화 추진
입력 2025.05.28 (06:34)
수정 2025.05.28 (10: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전 세계 미국 공관에 유학생 비자 인터뷰를 일시 중단하라는 지시를 내렸습니다.
인터뷰 대상자의 소셜미디어 심사를 의무화하기 위한 조치로 외국인 학생들과 학자들의 방미 문턱이 높아질 전망입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 정부가 모든 외국인 유학생의 미국 입국을 위한 비자 인터뷰를 일시 중단하도록 했습니다.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 등 외신에 따르면, 마코 루비오 미 국무부 장관은 소셜미디어 심사와 검증 확대를 준비하기 위한 조치라며 이같이 지시했습니다.
[태미 브루스/미 국무부 대변인 : "우리는 이 나라에 들어오고자 하는 모든 사람을 심사하기 위해 우리가 가진 모든 수단을 총동원합니다."]
대상은 학생과 교환 방문 비자 등입니다.
이 조치는 즉시 발효되며 추가 지침이 발표될 때까지 비자 인터뷰 일정을 추가할 수 없습니다.
다만, 이미 예약된 인터뷰는 예정대로 진행하도록 했습니다.
소셜미디어 검증에서 무엇을 심사할지는 직접 언급되진 않았지만, 테러리스트 차단과 반유대주의 대응을 목표로 한 행정명령들이 언급됐습니다.
지난 3월에도 루비오 장관은 학생 비자 신청자의 소셜미디어를 조사해 반유대주의 성향 여부를 확인하도록 지시했습니다.
주로 이스라엘 규탄 시위 등에 참여한 학생들이 대상이었는데, 3월 말까지 3백 명 넘는 유학생의 비자가 취소되기도 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대의 유학생 유치 자격을 취소하고 지원금을 삭감하는 등 압박을 높이고 있는 가운데 나왔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와 체결한 1,370억 원 규모의 정부 계약도 전부 취소할 방침입니다.
이번 조치로 유학생 비자 발급 시간뿐 아니라 발급률도 크게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또, 외국인 학생에 의존해 재정적인 수익을 확보하는 미국 대학에도 적잖은 타격을 줄 전망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양의정/그래픽:이호영/자료조사:박은진 김나영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전 세계 미국 공관에 유학생 비자 인터뷰를 일시 중단하라는 지시를 내렸습니다.
인터뷰 대상자의 소셜미디어 심사를 의무화하기 위한 조치로 외국인 학생들과 학자들의 방미 문턱이 높아질 전망입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 정부가 모든 외국인 유학생의 미국 입국을 위한 비자 인터뷰를 일시 중단하도록 했습니다.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 등 외신에 따르면, 마코 루비오 미 국무부 장관은 소셜미디어 심사와 검증 확대를 준비하기 위한 조치라며 이같이 지시했습니다.
[태미 브루스/미 국무부 대변인 : "우리는 이 나라에 들어오고자 하는 모든 사람을 심사하기 위해 우리가 가진 모든 수단을 총동원합니다."]
대상은 학생과 교환 방문 비자 등입니다.
이 조치는 즉시 발효되며 추가 지침이 발표될 때까지 비자 인터뷰 일정을 추가할 수 없습니다.
다만, 이미 예약된 인터뷰는 예정대로 진행하도록 했습니다.
소셜미디어 검증에서 무엇을 심사할지는 직접 언급되진 않았지만, 테러리스트 차단과 반유대주의 대응을 목표로 한 행정명령들이 언급됐습니다.
지난 3월에도 루비오 장관은 학생 비자 신청자의 소셜미디어를 조사해 반유대주의 성향 여부를 확인하도록 지시했습니다.
주로 이스라엘 규탄 시위 등에 참여한 학생들이 대상이었는데, 3월 말까지 3백 명 넘는 유학생의 비자가 취소되기도 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대의 유학생 유치 자격을 취소하고 지원금을 삭감하는 등 압박을 높이고 있는 가운데 나왔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와 체결한 1,370억 원 규모의 정부 계약도 전부 취소할 방침입니다.
이번 조치로 유학생 비자 발급 시간뿐 아니라 발급률도 크게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또, 외국인 학생에 의존해 재정적인 수익을 확보하는 미국 대학에도 적잖은 타격을 줄 전망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양의정/그래픽:이호영/자료조사:박은진 김나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유학생 비자 인터뷰 일시 중단…SNS 심사 의무화 추진
-
- 입력 2025-05-28 06:34:12
- 수정2025-05-28 10:35:25

[앵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전 세계 미국 공관에 유학생 비자 인터뷰를 일시 중단하라는 지시를 내렸습니다.
인터뷰 대상자의 소셜미디어 심사를 의무화하기 위한 조치로 외국인 학생들과 학자들의 방미 문턱이 높아질 전망입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 정부가 모든 외국인 유학생의 미국 입국을 위한 비자 인터뷰를 일시 중단하도록 했습니다.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 등 외신에 따르면, 마코 루비오 미 국무부 장관은 소셜미디어 심사와 검증 확대를 준비하기 위한 조치라며 이같이 지시했습니다.
[태미 브루스/미 국무부 대변인 : "우리는 이 나라에 들어오고자 하는 모든 사람을 심사하기 위해 우리가 가진 모든 수단을 총동원합니다."]
대상은 학생과 교환 방문 비자 등입니다.
이 조치는 즉시 발효되며 추가 지침이 발표될 때까지 비자 인터뷰 일정을 추가할 수 없습니다.
다만, 이미 예약된 인터뷰는 예정대로 진행하도록 했습니다.
소셜미디어 검증에서 무엇을 심사할지는 직접 언급되진 않았지만, 테러리스트 차단과 반유대주의 대응을 목표로 한 행정명령들이 언급됐습니다.
지난 3월에도 루비오 장관은 학생 비자 신청자의 소셜미디어를 조사해 반유대주의 성향 여부를 확인하도록 지시했습니다.
주로 이스라엘 규탄 시위 등에 참여한 학생들이 대상이었는데, 3월 말까지 3백 명 넘는 유학생의 비자가 취소되기도 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대의 유학생 유치 자격을 취소하고 지원금을 삭감하는 등 압박을 높이고 있는 가운데 나왔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와 체결한 1,370억 원 규모의 정부 계약도 전부 취소할 방침입니다.
이번 조치로 유학생 비자 발급 시간뿐 아니라 발급률도 크게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또, 외국인 학생에 의존해 재정적인 수익을 확보하는 미국 대학에도 적잖은 타격을 줄 전망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양의정/그래픽:이호영/자료조사:박은진 김나영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전 세계 미국 공관에 유학생 비자 인터뷰를 일시 중단하라는 지시를 내렸습니다.
인터뷰 대상자의 소셜미디어 심사를 의무화하기 위한 조치로 외국인 학생들과 학자들의 방미 문턱이 높아질 전망입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 정부가 모든 외국인 유학생의 미국 입국을 위한 비자 인터뷰를 일시 중단하도록 했습니다.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 등 외신에 따르면, 마코 루비오 미 국무부 장관은 소셜미디어 심사와 검증 확대를 준비하기 위한 조치라며 이같이 지시했습니다.
[태미 브루스/미 국무부 대변인 : "우리는 이 나라에 들어오고자 하는 모든 사람을 심사하기 위해 우리가 가진 모든 수단을 총동원합니다."]
대상은 학생과 교환 방문 비자 등입니다.
이 조치는 즉시 발효되며 추가 지침이 발표될 때까지 비자 인터뷰 일정을 추가할 수 없습니다.
다만, 이미 예약된 인터뷰는 예정대로 진행하도록 했습니다.
소셜미디어 검증에서 무엇을 심사할지는 직접 언급되진 않았지만, 테러리스트 차단과 반유대주의 대응을 목표로 한 행정명령들이 언급됐습니다.
지난 3월에도 루비오 장관은 학생 비자 신청자의 소셜미디어를 조사해 반유대주의 성향 여부를 확인하도록 지시했습니다.
주로 이스라엘 규탄 시위 등에 참여한 학생들이 대상이었는데, 3월 말까지 3백 명 넘는 유학생의 비자가 취소되기도 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대의 유학생 유치 자격을 취소하고 지원금을 삭감하는 등 압박을 높이고 있는 가운데 나왔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와 체결한 1,370억 원 규모의 정부 계약도 전부 취소할 방침입니다.
이번 조치로 유학생 비자 발급 시간뿐 아니라 발급률도 크게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또, 외국인 학생에 의존해 재정적인 수익을 확보하는 미국 대학에도 적잖은 타격을 줄 전망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양의정/그래픽:이호영/자료조사:박은진 김나영
-
-
김지숙 기자 jskim84@kbs.co.kr
김지숙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