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도나도 AI…3대 강국 가능할까? [공약검증]
입력 2025.05.21 (21:37)
수정 2025.05.21 (21: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21일)은 대선 후보들이 모두 공을 들이고 있는 인공지능 공약을 살펴보겠습니다.
인공지능 분야에 100조 원을 투입하겠단 후보들도 있습니다만, 과연 이렇게만 하면 인공지능 강국이 될 수 있는 건지, 박진수 기자가 분석합니다.
[리포트]
대선 후보들은 인공지능, AI를 미래 먹거리로 꼽습니다.
미래 산업의 판도를 바꿀 도구이기 때문입니다.
한 대학의 AI 연구실.
AI에 정보를 입력하고 이후 학습 진행 상황을 점검합니다.
[박찬호/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연구원 : "전날 저녁에 돌려놓은 모델이나 실험 같은 결과를 여기 창에서 로그를 띄워서 학습이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밤새 실험을 수행한 건 그래픽처리장치, GPU입니다.
한 장당 가격은 4~5천만 원.
이 GPU를 얼마나 확보하고 있는지가 연구 경쟁력으로 이어집니다.
연구 개발진과 이런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전력망 등 기반 시설, 그리고 AI가 학습할 데이터도 AI 산업 성패의 필수 요소입니다.
이재명, 김문수 후보 모두 AI 세계 3대 강국을 목표로 100조 원을 쏟아붓겠다고 공약했습니다.
[최병호/고려대학교 AI 연구원 교수 : "토지도 있어야 하지, 물도 있어야 하지, 거기다 GPU도 있어야지. 아무것도 안 했는데 이것만 몇 조예요."]
AI의 핵심 요소인 기반 시설과 장비, 인재, 그리고 데이터, 후보들의 공약도 이 세 요소에 집중됩니다.
이재명 후보, GPU 5만 개 도입과 국내 데이터 기반의 한국형 AI 서비스 개발을 내세웁니다.
김문수 후보는 AI 청년 인재 20만 양성과 원전 비중 확대로 AI 전력망 확충을 약속했습니다.
이준석 후보는 연금 도입 등 과학기술인 예우, 데이터 저작권 관련 기준 마련을, 권영국 후보는 데이터 보안 등 규제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
당장 미국 엔비디아사가 독점 공급하는 GPU 도입부터 만만치 않습니다.
인재 양성도 누가, 무엇을 가르칠지 정해진 게 없습니다.
[최병호/고려대학교 AI 연구원 교수 : "원하는 시점에 사와야 할 거 아니에요. 그래서 이게 외교인지, 정치인지 헷갈릴 정도인 거죠. AI 연구라고 하는 건 어느 쪽을 좀 가야 되나. 커리큘럼이 존재해야 하거든요. 이건 진짜로 어려워요."]
'연금' 도입안은 가입자 기준을 놓고 논란이 생길 수 있습니다.
AI 학습을 위한 데이터 개방 문제는 먼저 사회적 합의가 도출돼야 합니다.
[이경석/KBS 공약검증 자문단/인천대학교 교수 : "공익적 차원에서의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것에 대해서 얼마만큼의 공감대가 형성되고 국민들이 그걸 지지하느냐의 문제인 건데…."]
현재 우리 AI 경쟁력은 미국, 중국보다 크게 뒤처져 있습니다.
AI 강국 도약을 위해선 미국 중국이 선점하지 못한 틈새 분야부터 공략하는 전략이 효과적이란 지적도 나옵니다.
KBS 뉴스 박진수입니다.
촬영기자:장세권 김철호 정민욱/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이호영 김지혜 서수민 최창준
오늘(21일)은 대선 후보들이 모두 공을 들이고 있는 인공지능 공약을 살펴보겠습니다.
인공지능 분야에 100조 원을 투입하겠단 후보들도 있습니다만, 과연 이렇게만 하면 인공지능 강국이 될 수 있는 건지, 박진수 기자가 분석합니다.
[리포트]
대선 후보들은 인공지능, AI를 미래 먹거리로 꼽습니다.
미래 산업의 판도를 바꿀 도구이기 때문입니다.
한 대학의 AI 연구실.
AI에 정보를 입력하고 이후 학습 진행 상황을 점검합니다.
[박찬호/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연구원 : "전날 저녁에 돌려놓은 모델이나 실험 같은 결과를 여기 창에서 로그를 띄워서 학습이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밤새 실험을 수행한 건 그래픽처리장치, GPU입니다.
한 장당 가격은 4~5천만 원.
이 GPU를 얼마나 확보하고 있는지가 연구 경쟁력으로 이어집니다.
연구 개발진과 이런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전력망 등 기반 시설, 그리고 AI가 학습할 데이터도 AI 산업 성패의 필수 요소입니다.
이재명, 김문수 후보 모두 AI 세계 3대 강국을 목표로 100조 원을 쏟아붓겠다고 공약했습니다.
[최병호/고려대학교 AI 연구원 교수 : "토지도 있어야 하지, 물도 있어야 하지, 거기다 GPU도 있어야지. 아무것도 안 했는데 이것만 몇 조예요."]
AI의 핵심 요소인 기반 시설과 장비, 인재, 그리고 데이터, 후보들의 공약도 이 세 요소에 집중됩니다.
이재명 후보, GPU 5만 개 도입과 국내 데이터 기반의 한국형 AI 서비스 개발을 내세웁니다.
김문수 후보는 AI 청년 인재 20만 양성과 원전 비중 확대로 AI 전력망 확충을 약속했습니다.
이준석 후보는 연금 도입 등 과학기술인 예우, 데이터 저작권 관련 기준 마련을, 권영국 후보는 데이터 보안 등 규제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
당장 미국 엔비디아사가 독점 공급하는 GPU 도입부터 만만치 않습니다.
인재 양성도 누가, 무엇을 가르칠지 정해진 게 없습니다.
[최병호/고려대학교 AI 연구원 교수 : "원하는 시점에 사와야 할 거 아니에요. 그래서 이게 외교인지, 정치인지 헷갈릴 정도인 거죠. AI 연구라고 하는 건 어느 쪽을 좀 가야 되나. 커리큘럼이 존재해야 하거든요. 이건 진짜로 어려워요."]
'연금' 도입안은 가입자 기준을 놓고 논란이 생길 수 있습니다.
AI 학습을 위한 데이터 개방 문제는 먼저 사회적 합의가 도출돼야 합니다.
[이경석/KBS 공약검증 자문단/인천대학교 교수 : "공익적 차원에서의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것에 대해서 얼마만큼의 공감대가 형성되고 국민들이 그걸 지지하느냐의 문제인 건데…."]
현재 우리 AI 경쟁력은 미국, 중국보다 크게 뒤처져 있습니다.
AI 강국 도약을 위해선 미국 중국이 선점하지 못한 틈새 분야부터 공략하는 전략이 효과적이란 지적도 나옵니다.
KBS 뉴스 박진수입니다.
촬영기자:장세권 김철호 정민욱/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이호영 김지혜 서수민 최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너도나도 AI…3대 강국 가능할까? [공약검증]
-
- 입력 2025-05-21 21:37:51
- 수정2025-05-21 21:52:17

[앵커]
오늘(21일)은 대선 후보들이 모두 공을 들이고 있는 인공지능 공약을 살펴보겠습니다.
인공지능 분야에 100조 원을 투입하겠단 후보들도 있습니다만, 과연 이렇게만 하면 인공지능 강국이 될 수 있는 건지, 박진수 기자가 분석합니다.
[리포트]
대선 후보들은 인공지능, AI를 미래 먹거리로 꼽습니다.
미래 산업의 판도를 바꿀 도구이기 때문입니다.
한 대학의 AI 연구실.
AI에 정보를 입력하고 이후 학습 진행 상황을 점검합니다.
[박찬호/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연구원 : "전날 저녁에 돌려놓은 모델이나 실험 같은 결과를 여기 창에서 로그를 띄워서 학습이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밤새 실험을 수행한 건 그래픽처리장치, GPU입니다.
한 장당 가격은 4~5천만 원.
이 GPU를 얼마나 확보하고 있는지가 연구 경쟁력으로 이어집니다.
연구 개발진과 이런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전력망 등 기반 시설, 그리고 AI가 학습할 데이터도 AI 산업 성패의 필수 요소입니다.
이재명, 김문수 후보 모두 AI 세계 3대 강국을 목표로 100조 원을 쏟아붓겠다고 공약했습니다.
[최병호/고려대학교 AI 연구원 교수 : "토지도 있어야 하지, 물도 있어야 하지, 거기다 GPU도 있어야지. 아무것도 안 했는데 이것만 몇 조예요."]
AI의 핵심 요소인 기반 시설과 장비, 인재, 그리고 데이터, 후보들의 공약도 이 세 요소에 집중됩니다.
이재명 후보, GPU 5만 개 도입과 국내 데이터 기반의 한국형 AI 서비스 개발을 내세웁니다.
김문수 후보는 AI 청년 인재 20만 양성과 원전 비중 확대로 AI 전력망 확충을 약속했습니다.
이준석 후보는 연금 도입 등 과학기술인 예우, 데이터 저작권 관련 기준 마련을, 권영국 후보는 데이터 보안 등 규제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
당장 미국 엔비디아사가 독점 공급하는 GPU 도입부터 만만치 않습니다.
인재 양성도 누가, 무엇을 가르칠지 정해진 게 없습니다.
[최병호/고려대학교 AI 연구원 교수 : "원하는 시점에 사와야 할 거 아니에요. 그래서 이게 외교인지, 정치인지 헷갈릴 정도인 거죠. AI 연구라고 하는 건 어느 쪽을 좀 가야 되나. 커리큘럼이 존재해야 하거든요. 이건 진짜로 어려워요."]
'연금' 도입안은 가입자 기준을 놓고 논란이 생길 수 있습니다.
AI 학습을 위한 데이터 개방 문제는 먼저 사회적 합의가 도출돼야 합니다.
[이경석/KBS 공약검증 자문단/인천대학교 교수 : "공익적 차원에서의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것에 대해서 얼마만큼의 공감대가 형성되고 국민들이 그걸 지지하느냐의 문제인 건데…."]
현재 우리 AI 경쟁력은 미국, 중국보다 크게 뒤처져 있습니다.
AI 강국 도약을 위해선 미국 중국이 선점하지 못한 틈새 분야부터 공략하는 전략이 효과적이란 지적도 나옵니다.
KBS 뉴스 박진수입니다.
촬영기자:장세권 김철호 정민욱/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이호영 김지혜 서수민 최창준
오늘(21일)은 대선 후보들이 모두 공을 들이고 있는 인공지능 공약을 살펴보겠습니다.
인공지능 분야에 100조 원을 투입하겠단 후보들도 있습니다만, 과연 이렇게만 하면 인공지능 강국이 될 수 있는 건지, 박진수 기자가 분석합니다.
[리포트]
대선 후보들은 인공지능, AI를 미래 먹거리로 꼽습니다.
미래 산업의 판도를 바꿀 도구이기 때문입니다.
한 대학의 AI 연구실.
AI에 정보를 입력하고 이후 학습 진행 상황을 점검합니다.
[박찬호/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연구원 : "전날 저녁에 돌려놓은 모델이나 실험 같은 결과를 여기 창에서 로그를 띄워서 학습이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밤새 실험을 수행한 건 그래픽처리장치, GPU입니다.
한 장당 가격은 4~5천만 원.
이 GPU를 얼마나 확보하고 있는지가 연구 경쟁력으로 이어집니다.
연구 개발진과 이런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전력망 등 기반 시설, 그리고 AI가 학습할 데이터도 AI 산업 성패의 필수 요소입니다.
이재명, 김문수 후보 모두 AI 세계 3대 강국을 목표로 100조 원을 쏟아붓겠다고 공약했습니다.
[최병호/고려대학교 AI 연구원 교수 : "토지도 있어야 하지, 물도 있어야 하지, 거기다 GPU도 있어야지. 아무것도 안 했는데 이것만 몇 조예요."]
AI의 핵심 요소인 기반 시설과 장비, 인재, 그리고 데이터, 후보들의 공약도 이 세 요소에 집중됩니다.
이재명 후보, GPU 5만 개 도입과 국내 데이터 기반의 한국형 AI 서비스 개발을 내세웁니다.
김문수 후보는 AI 청년 인재 20만 양성과 원전 비중 확대로 AI 전력망 확충을 약속했습니다.
이준석 후보는 연금 도입 등 과학기술인 예우, 데이터 저작권 관련 기준 마련을, 권영국 후보는 데이터 보안 등 규제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
당장 미국 엔비디아사가 독점 공급하는 GPU 도입부터 만만치 않습니다.
인재 양성도 누가, 무엇을 가르칠지 정해진 게 없습니다.
[최병호/고려대학교 AI 연구원 교수 : "원하는 시점에 사와야 할 거 아니에요. 그래서 이게 외교인지, 정치인지 헷갈릴 정도인 거죠. AI 연구라고 하는 건 어느 쪽을 좀 가야 되나. 커리큘럼이 존재해야 하거든요. 이건 진짜로 어려워요."]
'연금' 도입안은 가입자 기준을 놓고 논란이 생길 수 있습니다.
AI 학습을 위한 데이터 개방 문제는 먼저 사회적 합의가 도출돼야 합니다.
[이경석/KBS 공약검증 자문단/인천대학교 교수 : "공익적 차원에서의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것에 대해서 얼마만큼의 공감대가 형성되고 국민들이 그걸 지지하느냐의 문제인 건데…."]
현재 우리 AI 경쟁력은 미국, 중국보다 크게 뒤처져 있습니다.
AI 강국 도약을 위해선 미국 중국이 선점하지 못한 틈새 분야부터 공략하는 전략이 효과적이란 지적도 나옵니다.
KBS 뉴스 박진수입니다.
촬영기자:장세권 김철호 정민욱/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이호영 김지혜 서수민 최창준
-
-
박진수 기자 realwater@kbs.co.kr
박진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다시, 약속의 시간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