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 필요성 강조하다 갑자기 “북한만 상대하는 건 아니고…” [이런뉴스]
입력 2025.05.17 (12: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 사령관이 현지 시각 15일, 미국이 중국과 러시아의 위협을 상대하는 데 있어서 한국에 주한미군을 계속 주둔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브런슨 사령관은 이날 하와이에서 열린 미국 육군협회 태평양 지상군 심포지엄에서 광활한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군사 작전을 어렵게 하는 "거리의 제약"(tyranny of distance)을 극복하는 데 있어서 한국에 주둔한 미군이 큰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한국의 지리적 위치가 전략적으로 중요하다면서 한국이 "베이징과 가장 가까운 동맹의 존재"이자 "일본과 중국 본토 사이에 떠 있는 섬이나 고정된 항공모함 같다"고 평가했습니다.
브런슨 사령관은 "한국에 주둔하는 미군은 북한, 러시아, 중국 지도부의 셈법을 바꾸고, 비용을 부과하며 어느 충돌에서든 우리나라의 가장 고위급 지도자들에게 선택지를 제공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주한미군의 활동 범위에 대해선 "북한을 격퇴하는 것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는다. 우리는 더 큰 인도태평양 전략의 작은 부분으로서 역내 작전, 활동과 투자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 견제를 위해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강조해 왔습니다.
만약 중국이 타이완을 침공하는 등의 위기 상황이 발생할 경우, 주한미군을 투입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는 상황입니다.
영상에 담았습니다.
브런슨 사령관은 이날 하와이에서 열린 미국 육군협회 태평양 지상군 심포지엄에서 광활한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군사 작전을 어렵게 하는 "거리의 제약"(tyranny of distance)을 극복하는 데 있어서 한국에 주둔한 미군이 큰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한국의 지리적 위치가 전략적으로 중요하다면서 한국이 "베이징과 가장 가까운 동맹의 존재"이자 "일본과 중국 본토 사이에 떠 있는 섬이나 고정된 항공모함 같다"고 평가했습니다.
브런슨 사령관은 "한국에 주둔하는 미군은 북한, 러시아, 중국 지도부의 셈법을 바꾸고, 비용을 부과하며 어느 충돌에서든 우리나라의 가장 고위급 지도자들에게 선택지를 제공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주한미군의 활동 범위에 대해선 "북한을 격퇴하는 것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는다. 우리는 더 큰 인도태평양 전략의 작은 부분으로서 역내 작전, 활동과 투자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 견제를 위해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강조해 왔습니다.
만약 중국이 타이완을 침공하는 등의 위기 상황이 발생할 경우, 주한미군을 투입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는 상황입니다.
영상에 담았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주한미군 필요성 강조하다 갑자기 “북한만 상대하는 건 아니고…” [이런뉴스]
-
- 입력 2025-05-17 12:00:19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 사령관이 현지 시각 15일, 미국이 중국과 러시아의 위협을 상대하는 데 있어서 한국에 주한미군을 계속 주둔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브런슨 사령관은 이날 하와이에서 열린 미국 육군협회 태평양 지상군 심포지엄에서 광활한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군사 작전을 어렵게 하는 "거리의 제약"(tyranny of distance)을 극복하는 데 있어서 한국에 주둔한 미군이 큰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한국의 지리적 위치가 전략적으로 중요하다면서 한국이 "베이징과 가장 가까운 동맹의 존재"이자 "일본과 중국 본토 사이에 떠 있는 섬이나 고정된 항공모함 같다"고 평가했습니다.
브런슨 사령관은 "한국에 주둔하는 미군은 북한, 러시아, 중국 지도부의 셈법을 바꾸고, 비용을 부과하며 어느 충돌에서든 우리나라의 가장 고위급 지도자들에게 선택지를 제공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주한미군의 활동 범위에 대해선 "북한을 격퇴하는 것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는다. 우리는 더 큰 인도태평양 전략의 작은 부분으로서 역내 작전, 활동과 투자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 견제를 위해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강조해 왔습니다.
만약 중국이 타이완을 침공하는 등의 위기 상황이 발생할 경우, 주한미군을 투입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는 상황입니다.
영상에 담았습니다.
브런슨 사령관은 이날 하와이에서 열린 미국 육군협회 태평양 지상군 심포지엄에서 광활한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군사 작전을 어렵게 하는 "거리의 제약"(tyranny of distance)을 극복하는 데 있어서 한국에 주둔한 미군이 큰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한국의 지리적 위치가 전략적으로 중요하다면서 한국이 "베이징과 가장 가까운 동맹의 존재"이자 "일본과 중국 본토 사이에 떠 있는 섬이나 고정된 항공모함 같다"고 평가했습니다.
브런슨 사령관은 "한국에 주둔하는 미군은 북한, 러시아, 중국 지도부의 셈법을 바꾸고, 비용을 부과하며 어느 충돌에서든 우리나라의 가장 고위급 지도자들에게 선택지를 제공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주한미군의 활동 범위에 대해선 "북한을 격퇴하는 것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는다. 우리는 더 큰 인도태평양 전략의 작은 부분으로서 역내 작전, 활동과 투자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 견제를 위해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강조해 왔습니다.
만약 중국이 타이완을 침공하는 등의 위기 상황이 발생할 경우, 주한미군을 투입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는 상황입니다.
영상에 담았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