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연금 확대, GDP 0.5% 올려”…가입 늘리려면
입력 2025.05.15 (21:28)
수정 2025.05.15 (22: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집을 사려고 돈을 빌리는 건 '주택담보대출'이죠.
정반대가 '주택연금'입니다.
이미 산 집을 담보로 맡기고 생활비를 받는 겁니다.
평균 얼마나 받을까요?
매달 122만 원 정도입니다.
평균 65만 원 정도인 국민연금의 2배에 가깝습니다.
소득은 끊겼고 집 한 채가 전부인 고령자라면 도움이 될 금액인데요.
하지만 가입률은 1.9%에 불과합니다.
만 55세 이상 유주택자 100명 중 2명 정도만 이용한다는 건데요.
2007년 도입된 걸 감안하면 확산이 더딥니다.
급속한 고령화 속에 활성화가 시급한 상황인데요.
어떤 문턱을 낮춰줘야 할지 최인영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79살 강군모 씨는 12년 전에 주택연금에 가입했습니다.
한 달에 157만 원 씩 받습니다.
[강군모/주택연금 가입자 : "용돈도 주고 여행도 갈 데 있으면 좀 보태 쓰고…."]
매달 현금이 나오는 건 좋지만, 집값 오른 걸 생각하면 달라집니다.
서울 광진의 강 씨 아파트는 시가가 3배 정도 뛰었지만, 연금액은 가입 때 그대로입니다.
[강군모/주택연금 가입자 : "한 5억에서 15억. (아쉬운 건 없으셨어요?) 그거야 내가 처음에 이렇게 작정을 한 거고."]
주택연금이 집값 상승을 반영 안하진 않습니다.
과거 상승률만큼 미래에도 오를 거로 가정해 연금액을 산출합니다.
다만, 집값은 바뀌는데 연금액이 안 바뀌는 점이 거부감을 키우는 게 사실입니다.
'가입 의향이 있다'는 응답자가 55살 이상 유주택자 35% 정도지만, 가입률이 2%도 안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는 게 한국은행 진단입니다.
한은은 집값이 오를 때 연금액도 늘어나는 상품을 출시하자고 제안했습니다.
한국은행은 가입 희망자가 모두 주택연금에 든다면 노인빈곤율이 3~5% 포인트 떨어지고, 실질 GDP가 0.5~0.7% 정도 늘 거로 봤습니다.
[황인도/한국은행 경제연구원 금융통화연구실장 : "평생토록 매년마다 34.9조 원의 주택연금으로부터 나오는 소득액이 창출이 된다고 (분석 결과) 나왔습니다."]
1989년에 주택연금을 도입한 미국은 가입 가능한 집 값에 상한이 없는 반면, 우리는 공시가 12억 원 이하만 주택연금에 들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최인영입니다.
촬영기자:김상하 김현태/영상편집:한찬의/그래픽:이호영
집을 사려고 돈을 빌리는 건 '주택담보대출'이죠.
정반대가 '주택연금'입니다.
이미 산 집을 담보로 맡기고 생활비를 받는 겁니다.
평균 얼마나 받을까요?
매달 122만 원 정도입니다.
평균 65만 원 정도인 국민연금의 2배에 가깝습니다.
소득은 끊겼고 집 한 채가 전부인 고령자라면 도움이 될 금액인데요.
하지만 가입률은 1.9%에 불과합니다.
만 55세 이상 유주택자 100명 중 2명 정도만 이용한다는 건데요.
2007년 도입된 걸 감안하면 확산이 더딥니다.
급속한 고령화 속에 활성화가 시급한 상황인데요.
어떤 문턱을 낮춰줘야 할지 최인영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79살 강군모 씨는 12년 전에 주택연금에 가입했습니다.
한 달에 157만 원 씩 받습니다.
[강군모/주택연금 가입자 : "용돈도 주고 여행도 갈 데 있으면 좀 보태 쓰고…."]
매달 현금이 나오는 건 좋지만, 집값 오른 걸 생각하면 달라집니다.
서울 광진의 강 씨 아파트는 시가가 3배 정도 뛰었지만, 연금액은 가입 때 그대로입니다.
[강군모/주택연금 가입자 : "한 5억에서 15억. (아쉬운 건 없으셨어요?) 그거야 내가 처음에 이렇게 작정을 한 거고."]
주택연금이 집값 상승을 반영 안하진 않습니다.
과거 상승률만큼 미래에도 오를 거로 가정해 연금액을 산출합니다.
다만, 집값은 바뀌는데 연금액이 안 바뀌는 점이 거부감을 키우는 게 사실입니다.
'가입 의향이 있다'는 응답자가 55살 이상 유주택자 35% 정도지만, 가입률이 2%도 안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는 게 한국은행 진단입니다.
한은은 집값이 오를 때 연금액도 늘어나는 상품을 출시하자고 제안했습니다.
한국은행은 가입 희망자가 모두 주택연금에 든다면 노인빈곤율이 3~5% 포인트 떨어지고, 실질 GDP가 0.5~0.7% 정도 늘 거로 봤습니다.
[황인도/한국은행 경제연구원 금융통화연구실장 : "평생토록 매년마다 34.9조 원의 주택연금으로부터 나오는 소득액이 창출이 된다고 (분석 결과) 나왔습니다."]
1989년에 주택연금을 도입한 미국은 가입 가능한 집 값에 상한이 없는 반면, 우리는 공시가 12억 원 이하만 주택연금에 들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최인영입니다.
촬영기자:김상하 김현태/영상편집:한찬의/그래픽:이호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주택연금 확대, GDP 0.5% 올려”…가입 늘리려면
-
- 입력 2025-05-15 21:28:44
- 수정2025-05-15 22:08:40

[앵커]
집을 사려고 돈을 빌리는 건 '주택담보대출'이죠.
정반대가 '주택연금'입니다.
이미 산 집을 담보로 맡기고 생활비를 받는 겁니다.
평균 얼마나 받을까요?
매달 122만 원 정도입니다.
평균 65만 원 정도인 국민연금의 2배에 가깝습니다.
소득은 끊겼고 집 한 채가 전부인 고령자라면 도움이 될 금액인데요.
하지만 가입률은 1.9%에 불과합니다.
만 55세 이상 유주택자 100명 중 2명 정도만 이용한다는 건데요.
2007년 도입된 걸 감안하면 확산이 더딥니다.
급속한 고령화 속에 활성화가 시급한 상황인데요.
어떤 문턱을 낮춰줘야 할지 최인영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79살 강군모 씨는 12년 전에 주택연금에 가입했습니다.
한 달에 157만 원 씩 받습니다.
[강군모/주택연금 가입자 : "용돈도 주고 여행도 갈 데 있으면 좀 보태 쓰고…."]
매달 현금이 나오는 건 좋지만, 집값 오른 걸 생각하면 달라집니다.
서울 광진의 강 씨 아파트는 시가가 3배 정도 뛰었지만, 연금액은 가입 때 그대로입니다.
[강군모/주택연금 가입자 : "한 5억에서 15억. (아쉬운 건 없으셨어요?) 그거야 내가 처음에 이렇게 작정을 한 거고."]
주택연금이 집값 상승을 반영 안하진 않습니다.
과거 상승률만큼 미래에도 오를 거로 가정해 연금액을 산출합니다.
다만, 집값은 바뀌는데 연금액이 안 바뀌는 점이 거부감을 키우는 게 사실입니다.
'가입 의향이 있다'는 응답자가 55살 이상 유주택자 35% 정도지만, 가입률이 2%도 안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는 게 한국은행 진단입니다.
한은은 집값이 오를 때 연금액도 늘어나는 상품을 출시하자고 제안했습니다.
한국은행은 가입 희망자가 모두 주택연금에 든다면 노인빈곤율이 3~5% 포인트 떨어지고, 실질 GDP가 0.5~0.7% 정도 늘 거로 봤습니다.
[황인도/한국은행 경제연구원 금융통화연구실장 : "평생토록 매년마다 34.9조 원의 주택연금으로부터 나오는 소득액이 창출이 된다고 (분석 결과) 나왔습니다."]
1989년에 주택연금을 도입한 미국은 가입 가능한 집 값에 상한이 없는 반면, 우리는 공시가 12억 원 이하만 주택연금에 들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최인영입니다.
촬영기자:김상하 김현태/영상편집:한찬의/그래픽:이호영
집을 사려고 돈을 빌리는 건 '주택담보대출'이죠.
정반대가 '주택연금'입니다.
이미 산 집을 담보로 맡기고 생활비를 받는 겁니다.
평균 얼마나 받을까요?
매달 122만 원 정도입니다.
평균 65만 원 정도인 국민연금의 2배에 가깝습니다.
소득은 끊겼고 집 한 채가 전부인 고령자라면 도움이 될 금액인데요.
하지만 가입률은 1.9%에 불과합니다.
만 55세 이상 유주택자 100명 중 2명 정도만 이용한다는 건데요.
2007년 도입된 걸 감안하면 확산이 더딥니다.
급속한 고령화 속에 활성화가 시급한 상황인데요.
어떤 문턱을 낮춰줘야 할지 최인영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79살 강군모 씨는 12년 전에 주택연금에 가입했습니다.
한 달에 157만 원 씩 받습니다.
[강군모/주택연금 가입자 : "용돈도 주고 여행도 갈 데 있으면 좀 보태 쓰고…."]
매달 현금이 나오는 건 좋지만, 집값 오른 걸 생각하면 달라집니다.
서울 광진의 강 씨 아파트는 시가가 3배 정도 뛰었지만, 연금액은 가입 때 그대로입니다.
[강군모/주택연금 가입자 : "한 5억에서 15억. (아쉬운 건 없으셨어요?) 그거야 내가 처음에 이렇게 작정을 한 거고."]
주택연금이 집값 상승을 반영 안하진 않습니다.
과거 상승률만큼 미래에도 오를 거로 가정해 연금액을 산출합니다.
다만, 집값은 바뀌는데 연금액이 안 바뀌는 점이 거부감을 키우는 게 사실입니다.
'가입 의향이 있다'는 응답자가 55살 이상 유주택자 35% 정도지만, 가입률이 2%도 안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는 게 한국은행 진단입니다.
한은은 집값이 오를 때 연금액도 늘어나는 상품을 출시하자고 제안했습니다.
한국은행은 가입 희망자가 모두 주택연금에 든다면 노인빈곤율이 3~5% 포인트 떨어지고, 실질 GDP가 0.5~0.7% 정도 늘 거로 봤습니다.
[황인도/한국은행 경제연구원 금융통화연구실장 : "평생토록 매년마다 34.9조 원의 주택연금으로부터 나오는 소득액이 창출이 된다고 (분석 결과) 나왔습니다."]
1989년에 주택연금을 도입한 미국은 가입 가능한 집 값에 상한이 없는 반면, 우리는 공시가 12억 원 이하만 주택연금에 들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최인영입니다.
촬영기자:김상하 김현태/영상편집:한찬의/그래픽:이호영
-
-
최인영 기자 inyoung@kbs.co.kr
최인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