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제적·유급 규모 공개…의대협, 교육부 차관 고발
입력 2025.05.09 (12:11)
수정 2025.05.09 (13: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의 증원 백지화 선언에도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이들에 대한 유급, 제적 규모를 오늘 확정해 발표합니다.
의대생 단체는 교육부 차관을 고발하는 등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성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교육부가 전국 40개 의대에서 취합한 유급, 제적 현황을 오늘 확정, 공개합니다.
'유급'은 일종의 학사 경고로, 유급이 누적되면 의대생 신분을 잃는 '제적' 처분을 받습니다.
규모와 명단이 확정되면, 되돌릴 수 있는 제도는 현재 없습니다.
전국의 의대생은 만 9천여 명.
현재 수업 참여율은 30% 정도에 그치는 것으로 파악되면서 제적, 유급 등 조치 대상이 만 명을 넘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집단 징계가 현실화하자, 의대생 협회는 오석환 교육부 차관 등을 공수처에 고발하며 맞대응에 나섰습니다.
의대생들이 낸 휴학계는 적법했는데도, 정부가 학교를 압박해 학생들에 대한 제적 처분 등을 강요했다는 겁니다.
또 의대생 제적이 확정될 경우 의대생 대표들이 자퇴서를 제출하겠다고도 했습니다.
제적 처분을 피하기 위해, 학교에 복귀했던 일부 의대생들까지 다시 수업을 거부하는 기륩니다.
을지대 의대 본과생 40여 명은 제적 위협에 복귀했지만 교육 준비가 되어있지 않았다며, 다시 수업을 거부하겠다고 했습니다.
차의과대, 인제대 의대 학생 수십 명도 마감 시점까지 돌아오지 않아 제적 대상이 됐습니다.
집단 징계가 확정되면서 유급된 24·25학번과 내년도 신입생이 함께 1학년 수업을 듣는 이른바 '트리플링' 은 불가피해졌단 분석입니다.
교육부는 상당수 결원이 발생하는 상황에 대비해, 의대 편입 규정을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영상편집:유지영
정부의 증원 백지화 선언에도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이들에 대한 유급, 제적 규모를 오늘 확정해 발표합니다.
의대생 단체는 교육부 차관을 고발하는 등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성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교육부가 전국 40개 의대에서 취합한 유급, 제적 현황을 오늘 확정, 공개합니다.
'유급'은 일종의 학사 경고로, 유급이 누적되면 의대생 신분을 잃는 '제적' 처분을 받습니다.
규모와 명단이 확정되면, 되돌릴 수 있는 제도는 현재 없습니다.
전국의 의대생은 만 9천여 명.
현재 수업 참여율은 30% 정도에 그치는 것으로 파악되면서 제적, 유급 등 조치 대상이 만 명을 넘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집단 징계가 현실화하자, 의대생 협회는 오석환 교육부 차관 등을 공수처에 고발하며 맞대응에 나섰습니다.
의대생들이 낸 휴학계는 적법했는데도, 정부가 학교를 압박해 학생들에 대한 제적 처분 등을 강요했다는 겁니다.
또 의대생 제적이 확정될 경우 의대생 대표들이 자퇴서를 제출하겠다고도 했습니다.
제적 처분을 피하기 위해, 학교에 복귀했던 일부 의대생들까지 다시 수업을 거부하는 기륩니다.
을지대 의대 본과생 40여 명은 제적 위협에 복귀했지만 교육 준비가 되어있지 않았다며, 다시 수업을 거부하겠다고 했습니다.
차의과대, 인제대 의대 학생 수십 명도 마감 시점까지 돌아오지 않아 제적 대상이 됐습니다.
집단 징계가 확정되면서 유급된 24·25학번과 내년도 신입생이 함께 1학년 수업을 듣는 이른바 '트리플링' 은 불가피해졌단 분석입니다.
교육부는 상당수 결원이 발생하는 상황에 대비해, 의대 편입 규정을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영상편집:유지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의대생 제적·유급 규모 공개…의대협, 교육부 차관 고발
-
- 입력 2025-05-09 12:11:21
- 수정2025-05-09 13:22:23

[앵커]
정부의 증원 백지화 선언에도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이들에 대한 유급, 제적 규모를 오늘 확정해 발표합니다.
의대생 단체는 교육부 차관을 고발하는 등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성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교육부가 전국 40개 의대에서 취합한 유급, 제적 현황을 오늘 확정, 공개합니다.
'유급'은 일종의 학사 경고로, 유급이 누적되면 의대생 신분을 잃는 '제적' 처분을 받습니다.
규모와 명단이 확정되면, 되돌릴 수 있는 제도는 현재 없습니다.
전국의 의대생은 만 9천여 명.
현재 수업 참여율은 30% 정도에 그치는 것으로 파악되면서 제적, 유급 등 조치 대상이 만 명을 넘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집단 징계가 현실화하자, 의대생 협회는 오석환 교육부 차관 등을 공수처에 고발하며 맞대응에 나섰습니다.
의대생들이 낸 휴학계는 적법했는데도, 정부가 학교를 압박해 학생들에 대한 제적 처분 등을 강요했다는 겁니다.
또 의대생 제적이 확정될 경우 의대생 대표들이 자퇴서를 제출하겠다고도 했습니다.
제적 처분을 피하기 위해, 학교에 복귀했던 일부 의대생들까지 다시 수업을 거부하는 기륩니다.
을지대 의대 본과생 40여 명은 제적 위협에 복귀했지만 교육 준비가 되어있지 않았다며, 다시 수업을 거부하겠다고 했습니다.
차의과대, 인제대 의대 학생 수십 명도 마감 시점까지 돌아오지 않아 제적 대상이 됐습니다.
집단 징계가 확정되면서 유급된 24·25학번과 내년도 신입생이 함께 1학년 수업을 듣는 이른바 '트리플링' 은 불가피해졌단 분석입니다.
교육부는 상당수 결원이 발생하는 상황에 대비해, 의대 편입 규정을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영상편집:유지영
정부의 증원 백지화 선언에도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이들에 대한 유급, 제적 규모를 오늘 확정해 발표합니다.
의대생 단체는 교육부 차관을 고발하는 등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성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교육부가 전국 40개 의대에서 취합한 유급, 제적 현황을 오늘 확정, 공개합니다.
'유급'은 일종의 학사 경고로, 유급이 누적되면 의대생 신분을 잃는 '제적' 처분을 받습니다.
규모와 명단이 확정되면, 되돌릴 수 있는 제도는 현재 없습니다.
전국의 의대생은 만 9천여 명.
현재 수업 참여율은 30% 정도에 그치는 것으로 파악되면서 제적, 유급 등 조치 대상이 만 명을 넘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집단 징계가 현실화하자, 의대생 협회는 오석환 교육부 차관 등을 공수처에 고발하며 맞대응에 나섰습니다.
의대생들이 낸 휴학계는 적법했는데도, 정부가 학교를 압박해 학생들에 대한 제적 처분 등을 강요했다는 겁니다.
또 의대생 제적이 확정될 경우 의대생 대표들이 자퇴서를 제출하겠다고도 했습니다.
제적 처분을 피하기 위해, 학교에 복귀했던 일부 의대생들까지 다시 수업을 거부하는 기륩니다.
을지대 의대 본과생 40여 명은 제적 위협에 복귀했지만 교육 준비가 되어있지 않았다며, 다시 수업을 거부하겠다고 했습니다.
차의과대, 인제대 의대 학생 수십 명도 마감 시점까지 돌아오지 않아 제적 대상이 됐습니다.
집단 징계가 확정되면서 유급된 24·25학번과 내년도 신입생이 함께 1학년 수업을 듣는 이른바 '트리플링' 은 불가피해졌단 분석입니다.
교육부는 상당수 결원이 발생하는 상황에 대비해, 의대 편입 규정을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영상편집:유지영
-
-
김성수 기자 ssoo@kbs.co.kr
김성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보건의료 위기경보 ‘심각’…집단휴진 사태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