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T 해킹사태 반성…위약금 면제는 형평성 등 검토해야”
입력 2025.05.07 (10:03)
수정 2025.05.07 (11: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SKT 해킹 사고 19일 만에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고객과 국민에게 불안과 불편을 초래했다"며 대국민 사과에 나섰습니다.
최 회장은 오늘(7일) 서울 중구 SKT 본사에서 열린 일일 브리핑에 참석해, "최근 SK텔레콤 사이버 침해사고로 고객과 국민에게 많은 불안과 불편을 초래했다. SK그룹을 대표해서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특히 사고 이후 일련의 소통과 대응이 미흡했던 점에 대해서도 매우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다"며 "고객뿐만 아니라 언론, 국회, 정부 기관의 질책은 마땅한 것이라 생각하고, 이를 겸허히 받아들인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최 회장은 SKT 해킹 사고에 실망한 고객들이 타 통신사로 넘어갈 때 여전히 해지 위약금을 내야 하는 문제와 관련해서는 구체적으로 답하지 않았습니다.
최 회장은 위약금 면제 요구를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솔직히 제 생각이 어떤지가 중요하다고 보지는 않는다"며 "가능하면 고객 불편 없이 해결됐으면 하지만, 이용자에 대한 형평성 문제와 법적 문제 등을 같이 검토해야 하는 걸로 알고 있다. 이사회 논의 결과를 기다리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사회 논의가 잘 돼서 좋은 해결 방안이 나오기를 기대하지만, 자신은 이사회 구성원이 아니라며 "드릴 수 있는 말씀은 여기까지"라고도 덧붙였습니다.
최 회장은 앞으로 SK 전 그룹사의 보안 체계를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보안 시스템에 대한 투자를 늘리겠다며 재발 방지책도 내놨습니다.
최 회장은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보안 정보 보호 혁신 위원회를 구성해서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시각에서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SK그룹은 전 계열사의 의사 결정 협의 기구인 '수펙스 추구 협의회'를 중심으로 혁신위원회를 꾸려 보안 강화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
다만 보안 강화에 투입되는 예산 규모에 대해서는 아직 민관 합동조사단의 사고 원인 조사가 진행 중인 만큼, 최종 조사 결과를 살펴보고 그에 맞춰 준비하겠다고 즉답을 피했습니다.
최 회장은 아울러 자신도 휴대전화 유심 교체 없이 유심 보호 서비스에 가입했다고 전하기도 했습니다.
앞서 최 회장은 내일(8일) 열리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건 청문회에는 당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를 대비한 주한미국상공회의소 대미 통상 관련 행사가 예정돼 있다는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최 회장은 오늘(7일) 서울 중구 SKT 본사에서 열린 일일 브리핑에 참석해, "최근 SK텔레콤 사이버 침해사고로 고객과 국민에게 많은 불안과 불편을 초래했다. SK그룹을 대표해서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특히 사고 이후 일련의 소통과 대응이 미흡했던 점에 대해서도 매우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다"며 "고객뿐만 아니라 언론, 국회, 정부 기관의 질책은 마땅한 것이라 생각하고, 이를 겸허히 받아들인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최 회장은 SKT 해킹 사고에 실망한 고객들이 타 통신사로 넘어갈 때 여전히 해지 위약금을 내야 하는 문제와 관련해서는 구체적으로 답하지 않았습니다.
최 회장은 위약금 면제 요구를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솔직히 제 생각이 어떤지가 중요하다고 보지는 않는다"며 "가능하면 고객 불편 없이 해결됐으면 하지만, 이용자에 대한 형평성 문제와 법적 문제 등을 같이 검토해야 하는 걸로 알고 있다. 이사회 논의 결과를 기다리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사회 논의가 잘 돼서 좋은 해결 방안이 나오기를 기대하지만, 자신은 이사회 구성원이 아니라며 "드릴 수 있는 말씀은 여기까지"라고도 덧붙였습니다.
최 회장은 앞으로 SK 전 그룹사의 보안 체계를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보안 시스템에 대한 투자를 늘리겠다며 재발 방지책도 내놨습니다.
최 회장은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보안 정보 보호 혁신 위원회를 구성해서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시각에서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SK그룹은 전 계열사의 의사 결정 협의 기구인 '수펙스 추구 협의회'를 중심으로 혁신위원회를 꾸려 보안 강화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
다만 보안 강화에 투입되는 예산 규모에 대해서는 아직 민관 합동조사단의 사고 원인 조사가 진행 중인 만큼, 최종 조사 결과를 살펴보고 그에 맞춰 준비하겠다고 즉답을 피했습니다.
최 회장은 아울러 자신도 휴대전화 유심 교체 없이 유심 보호 서비스에 가입했다고 전하기도 했습니다.
앞서 최 회장은 내일(8일) 열리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건 청문회에는 당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를 대비한 주한미국상공회의소 대미 통상 관련 행사가 예정돼 있다는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최태원 “SKT 해킹사태 반성…위약금 면제는 형평성 등 검토해야”
-
- 입력 2025-05-07 10:03:33
- 수정2025-05-07 11:19:16

SKT 해킹 사고 19일 만에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고객과 국민에게 불안과 불편을 초래했다"며 대국민 사과에 나섰습니다.
최 회장은 오늘(7일) 서울 중구 SKT 본사에서 열린 일일 브리핑에 참석해, "최근 SK텔레콤 사이버 침해사고로 고객과 국민에게 많은 불안과 불편을 초래했다. SK그룹을 대표해서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특히 사고 이후 일련의 소통과 대응이 미흡했던 점에 대해서도 매우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다"며 "고객뿐만 아니라 언론, 국회, 정부 기관의 질책은 마땅한 것이라 생각하고, 이를 겸허히 받아들인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최 회장은 SKT 해킹 사고에 실망한 고객들이 타 통신사로 넘어갈 때 여전히 해지 위약금을 내야 하는 문제와 관련해서는 구체적으로 답하지 않았습니다.
최 회장은 위약금 면제 요구를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솔직히 제 생각이 어떤지가 중요하다고 보지는 않는다"며 "가능하면 고객 불편 없이 해결됐으면 하지만, 이용자에 대한 형평성 문제와 법적 문제 등을 같이 검토해야 하는 걸로 알고 있다. 이사회 논의 결과를 기다리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사회 논의가 잘 돼서 좋은 해결 방안이 나오기를 기대하지만, 자신은 이사회 구성원이 아니라며 "드릴 수 있는 말씀은 여기까지"라고도 덧붙였습니다.
최 회장은 앞으로 SK 전 그룹사의 보안 체계를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보안 시스템에 대한 투자를 늘리겠다며 재발 방지책도 내놨습니다.
최 회장은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보안 정보 보호 혁신 위원회를 구성해서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시각에서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SK그룹은 전 계열사의 의사 결정 협의 기구인 '수펙스 추구 협의회'를 중심으로 혁신위원회를 꾸려 보안 강화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
다만 보안 강화에 투입되는 예산 규모에 대해서는 아직 민관 합동조사단의 사고 원인 조사가 진행 중인 만큼, 최종 조사 결과를 살펴보고 그에 맞춰 준비하겠다고 즉답을 피했습니다.
최 회장은 아울러 자신도 휴대전화 유심 교체 없이 유심 보호 서비스에 가입했다고 전하기도 했습니다.
앞서 최 회장은 내일(8일) 열리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건 청문회에는 당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를 대비한 주한미국상공회의소 대미 통상 관련 행사가 예정돼 있다는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최 회장은 오늘(7일) 서울 중구 SKT 본사에서 열린 일일 브리핑에 참석해, "최근 SK텔레콤 사이버 침해사고로 고객과 국민에게 많은 불안과 불편을 초래했다. SK그룹을 대표해서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특히 사고 이후 일련의 소통과 대응이 미흡했던 점에 대해서도 매우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다"며 "고객뿐만 아니라 언론, 국회, 정부 기관의 질책은 마땅한 것이라 생각하고, 이를 겸허히 받아들인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최 회장은 SKT 해킹 사고에 실망한 고객들이 타 통신사로 넘어갈 때 여전히 해지 위약금을 내야 하는 문제와 관련해서는 구체적으로 답하지 않았습니다.
최 회장은 위약금 면제 요구를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솔직히 제 생각이 어떤지가 중요하다고 보지는 않는다"며 "가능하면 고객 불편 없이 해결됐으면 하지만, 이용자에 대한 형평성 문제와 법적 문제 등을 같이 검토해야 하는 걸로 알고 있다. 이사회 논의 결과를 기다리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사회 논의가 잘 돼서 좋은 해결 방안이 나오기를 기대하지만, 자신은 이사회 구성원이 아니라며 "드릴 수 있는 말씀은 여기까지"라고도 덧붙였습니다.
최 회장은 앞으로 SK 전 그룹사의 보안 체계를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보안 시스템에 대한 투자를 늘리겠다며 재발 방지책도 내놨습니다.
최 회장은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보안 정보 보호 혁신 위원회를 구성해서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시각에서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SK그룹은 전 계열사의 의사 결정 협의 기구인 '수펙스 추구 협의회'를 중심으로 혁신위원회를 꾸려 보안 강화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
다만 보안 강화에 투입되는 예산 규모에 대해서는 아직 민관 합동조사단의 사고 원인 조사가 진행 중인 만큼, 최종 조사 결과를 살펴보고 그에 맞춰 준비하겠다고 즉답을 피했습니다.
최 회장은 아울러 자신도 휴대전화 유심 교체 없이 유심 보호 서비스에 가입했다고 전하기도 했습니다.
앞서 최 회장은 내일(8일) 열리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건 청문회에는 당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를 대비한 주한미국상공회의소 대미 통상 관련 행사가 예정돼 있다는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