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환율 예단 어려워…정치 불확실성 빨리 끝내야”
입력 2025.05.06 (15:02)
수정 2025.05.06 (15: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환율이 어느 방향으로 갈지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이창용 총재는 현지 시각으로 5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환율이 (내려올 만큼 다) 내려온 것인지 아직 판단하기 이르다”며 “변동성 대응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 총재는 원화를 비롯한 아시아 통화가 강세를 보이는 배경으로 먼저 “미국이 개별 국가들을 만나면서 환율 절상 압력을 넣고 있다는 게 알려진 것”을 꼽았습니다.
두 번째로는 미·중 간 협상 타결 확률이 높아진 점을 언급했습니다.
이 총재는 “어느 순간 확 바뀌면 환율이 다시 오를 것”이라며 “환율 변동이 끝난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한은이 환율에 신경을 안 쓴다는 인상을 주는 순간 시장이 한 방향으로 쏠릴 수 있다”며 양방향 변동성에 다 주의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특정 환율 수준을 보고 통화정책을 하지는 않는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미국과의 환율 협상과 관련해선 “미국이 진짜 원하는 게 강달러냐 약달러냐 그걸 잘 모르겠다”라고 말했습니다.
한미 양국이 원화 가치 절상에 합의할 경우 정책 수단을 두고는 “환율은 우리가 외환보유액을 갖고 장기적으로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게 아니다”라며 “툴(수단)을 얘기해 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총재는 통화정책 방향에 관해선 “기준금리를 내린다는 것을 의심하지 말라”며 “경기 상황에 따라 금리를 충분히 낮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여러 지표를 볼 때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내려야 할 가능성이 크고 기준 금리를 낮출 이유가 많다는 평가입니다.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관해선 “예전에 일할 때는 하루에 한두 번씩 통화하고 식사도 했다”며 “최 전 부총리가 여기서 만날 분들이 많은데 못 오니까 이번 출국 전에도 잠깐 만나 인수인계를 받았다”고 전했습니다.
그는 “최 전 부총리 사퇴는 말릴 시간도 없이 결정된 것”이라며 “왜 말리지 않았냐고 굳이 묻는다면 탄핵 후 직무 정지와 사퇴 사이에 실질적인 차이가 있었겠나 싶다”고 했습니다.
‘경제 사령탑 공백’과 관련해선, “바깥에서 볼 때는 선진국인데, 어떻게 이런 일이 벌어지나 해명해야 해서 곤혹스러운 한 주였다”고 돌아봤습니다.
또, “대미 통상 협의는 국익을 위해서 최대한 노력하는 게 남은 사람의 임무”라고 말했습니다.
이 총재는 “같이 고생했던 사람이 갑자기 나가게 되니 사기가 많이 저하된 것은 사실”이라며 “F4 회의 지속 여부는 새로 오는 기재부 장관이 결정할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총재는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계속되는 상황도 우려했습니다.
그는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와 달리 대외 불확실성만큼이나 대내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며 “양쪽 다 대응하다 보니 정말 힘들다”고 토로했습니다.
특히 대외신인도 영향과 관련, “우리는 정치적으로 이래도 괜찮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바깥에서 어떻게 판단하느냐에 따라 다르다”며 “유심히 보고 있다”고 했습니다.
그는 “정치 불확실성이 위기로 몰아가지는 않지만, 경제가 가라앉는 데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이걸 빨리 끝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총재는 ‘아세안+3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참석차 밀라노를 방문했습니다.
오는 10∼12일에는 스위스 바젤에서 열리는 국제결제은행(BIS) 총재 회의에 참석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창용 총재는 현지 시각으로 5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환율이 (내려올 만큼 다) 내려온 것인지 아직 판단하기 이르다”며 “변동성 대응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 총재는 원화를 비롯한 아시아 통화가 강세를 보이는 배경으로 먼저 “미국이 개별 국가들을 만나면서 환율 절상 압력을 넣고 있다는 게 알려진 것”을 꼽았습니다.
두 번째로는 미·중 간 협상 타결 확률이 높아진 점을 언급했습니다.
이 총재는 “어느 순간 확 바뀌면 환율이 다시 오를 것”이라며 “환율 변동이 끝난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한은이 환율에 신경을 안 쓴다는 인상을 주는 순간 시장이 한 방향으로 쏠릴 수 있다”며 양방향 변동성에 다 주의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특정 환율 수준을 보고 통화정책을 하지는 않는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미국과의 환율 협상과 관련해선 “미국이 진짜 원하는 게 강달러냐 약달러냐 그걸 잘 모르겠다”라고 말했습니다.
한미 양국이 원화 가치 절상에 합의할 경우 정책 수단을 두고는 “환율은 우리가 외환보유액을 갖고 장기적으로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게 아니다”라며 “툴(수단)을 얘기해 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총재는 통화정책 방향에 관해선 “기준금리를 내린다는 것을 의심하지 말라”며 “경기 상황에 따라 금리를 충분히 낮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여러 지표를 볼 때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내려야 할 가능성이 크고 기준 금리를 낮출 이유가 많다는 평가입니다.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관해선 “예전에 일할 때는 하루에 한두 번씩 통화하고 식사도 했다”며 “최 전 부총리가 여기서 만날 분들이 많은데 못 오니까 이번 출국 전에도 잠깐 만나 인수인계를 받았다”고 전했습니다.
그는 “최 전 부총리 사퇴는 말릴 시간도 없이 결정된 것”이라며 “왜 말리지 않았냐고 굳이 묻는다면 탄핵 후 직무 정지와 사퇴 사이에 실질적인 차이가 있었겠나 싶다”고 했습니다.
‘경제 사령탑 공백’과 관련해선, “바깥에서 볼 때는 선진국인데, 어떻게 이런 일이 벌어지나 해명해야 해서 곤혹스러운 한 주였다”고 돌아봤습니다.
또, “대미 통상 협의는 국익을 위해서 최대한 노력하는 게 남은 사람의 임무”라고 말했습니다.
이 총재는 “같이 고생했던 사람이 갑자기 나가게 되니 사기가 많이 저하된 것은 사실”이라며 “F4 회의 지속 여부는 새로 오는 기재부 장관이 결정할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총재는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계속되는 상황도 우려했습니다.
그는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와 달리 대외 불확실성만큼이나 대내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며 “양쪽 다 대응하다 보니 정말 힘들다”고 토로했습니다.
특히 대외신인도 영향과 관련, “우리는 정치적으로 이래도 괜찮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바깥에서 어떻게 판단하느냐에 따라 다르다”며 “유심히 보고 있다”고 했습니다.
그는 “정치 불확실성이 위기로 몰아가지는 않지만, 경제가 가라앉는 데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이걸 빨리 끝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총재는 ‘아세안+3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참석차 밀라노를 방문했습니다.
오는 10∼12일에는 스위스 바젤에서 열리는 국제결제은행(BIS) 총재 회의에 참석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창용 “환율 예단 어려워…정치 불확실성 빨리 끝내야”
-
- 입력 2025-05-06 15:02:43
- 수정2025-05-06 15:07:32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환율이 어느 방향으로 갈지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이창용 총재는 현지 시각으로 5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환율이 (내려올 만큼 다) 내려온 것인지 아직 판단하기 이르다”며 “변동성 대응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 총재는 원화를 비롯한 아시아 통화가 강세를 보이는 배경으로 먼저 “미국이 개별 국가들을 만나면서 환율 절상 압력을 넣고 있다는 게 알려진 것”을 꼽았습니다.
두 번째로는 미·중 간 협상 타결 확률이 높아진 점을 언급했습니다.
이 총재는 “어느 순간 확 바뀌면 환율이 다시 오를 것”이라며 “환율 변동이 끝난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한은이 환율에 신경을 안 쓴다는 인상을 주는 순간 시장이 한 방향으로 쏠릴 수 있다”며 양방향 변동성에 다 주의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특정 환율 수준을 보고 통화정책을 하지는 않는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미국과의 환율 협상과 관련해선 “미국이 진짜 원하는 게 강달러냐 약달러냐 그걸 잘 모르겠다”라고 말했습니다.
한미 양국이 원화 가치 절상에 합의할 경우 정책 수단을 두고는 “환율은 우리가 외환보유액을 갖고 장기적으로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게 아니다”라며 “툴(수단)을 얘기해 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총재는 통화정책 방향에 관해선 “기준금리를 내린다는 것을 의심하지 말라”며 “경기 상황에 따라 금리를 충분히 낮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여러 지표를 볼 때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내려야 할 가능성이 크고 기준 금리를 낮출 이유가 많다는 평가입니다.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관해선 “예전에 일할 때는 하루에 한두 번씩 통화하고 식사도 했다”며 “최 전 부총리가 여기서 만날 분들이 많은데 못 오니까 이번 출국 전에도 잠깐 만나 인수인계를 받았다”고 전했습니다.
그는 “최 전 부총리 사퇴는 말릴 시간도 없이 결정된 것”이라며 “왜 말리지 않았냐고 굳이 묻는다면 탄핵 후 직무 정지와 사퇴 사이에 실질적인 차이가 있었겠나 싶다”고 했습니다.
‘경제 사령탑 공백’과 관련해선, “바깥에서 볼 때는 선진국인데, 어떻게 이런 일이 벌어지나 해명해야 해서 곤혹스러운 한 주였다”고 돌아봤습니다.
또, “대미 통상 협의는 국익을 위해서 최대한 노력하는 게 남은 사람의 임무”라고 말했습니다.
이 총재는 “같이 고생했던 사람이 갑자기 나가게 되니 사기가 많이 저하된 것은 사실”이라며 “F4 회의 지속 여부는 새로 오는 기재부 장관이 결정할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총재는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계속되는 상황도 우려했습니다.
그는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와 달리 대외 불확실성만큼이나 대내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며 “양쪽 다 대응하다 보니 정말 힘들다”고 토로했습니다.
특히 대외신인도 영향과 관련, “우리는 정치적으로 이래도 괜찮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바깥에서 어떻게 판단하느냐에 따라 다르다”며 “유심히 보고 있다”고 했습니다.
그는 “정치 불확실성이 위기로 몰아가지는 않지만, 경제가 가라앉는 데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이걸 빨리 끝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총재는 ‘아세안+3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참석차 밀라노를 방문했습니다.
오는 10∼12일에는 스위스 바젤에서 열리는 국제결제은행(BIS) 총재 회의에 참석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창용 총재는 현지 시각으로 5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환율이 (내려올 만큼 다) 내려온 것인지 아직 판단하기 이르다”며 “변동성 대응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 총재는 원화를 비롯한 아시아 통화가 강세를 보이는 배경으로 먼저 “미국이 개별 국가들을 만나면서 환율 절상 압력을 넣고 있다는 게 알려진 것”을 꼽았습니다.
두 번째로는 미·중 간 협상 타결 확률이 높아진 점을 언급했습니다.
이 총재는 “어느 순간 확 바뀌면 환율이 다시 오를 것”이라며 “환율 변동이 끝난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한은이 환율에 신경을 안 쓴다는 인상을 주는 순간 시장이 한 방향으로 쏠릴 수 있다”며 양방향 변동성에 다 주의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특정 환율 수준을 보고 통화정책을 하지는 않는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미국과의 환율 협상과 관련해선 “미국이 진짜 원하는 게 강달러냐 약달러냐 그걸 잘 모르겠다”라고 말했습니다.
한미 양국이 원화 가치 절상에 합의할 경우 정책 수단을 두고는 “환율은 우리가 외환보유액을 갖고 장기적으로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게 아니다”라며 “툴(수단)을 얘기해 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총재는 통화정책 방향에 관해선 “기준금리를 내린다는 것을 의심하지 말라”며 “경기 상황에 따라 금리를 충분히 낮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여러 지표를 볼 때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내려야 할 가능성이 크고 기준 금리를 낮출 이유가 많다는 평가입니다.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관해선 “예전에 일할 때는 하루에 한두 번씩 통화하고 식사도 했다”며 “최 전 부총리가 여기서 만날 분들이 많은데 못 오니까 이번 출국 전에도 잠깐 만나 인수인계를 받았다”고 전했습니다.
그는 “최 전 부총리 사퇴는 말릴 시간도 없이 결정된 것”이라며 “왜 말리지 않았냐고 굳이 묻는다면 탄핵 후 직무 정지와 사퇴 사이에 실질적인 차이가 있었겠나 싶다”고 했습니다.
‘경제 사령탑 공백’과 관련해선, “바깥에서 볼 때는 선진국인데, 어떻게 이런 일이 벌어지나 해명해야 해서 곤혹스러운 한 주였다”고 돌아봤습니다.
또, “대미 통상 협의는 국익을 위해서 최대한 노력하는 게 남은 사람의 임무”라고 말했습니다.
이 총재는 “같이 고생했던 사람이 갑자기 나가게 되니 사기가 많이 저하된 것은 사실”이라며 “F4 회의 지속 여부는 새로 오는 기재부 장관이 결정할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총재는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계속되는 상황도 우려했습니다.
그는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와 달리 대외 불확실성만큼이나 대내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며 “양쪽 다 대응하다 보니 정말 힘들다”고 토로했습니다.
특히 대외신인도 영향과 관련, “우리는 정치적으로 이래도 괜찮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바깥에서 어떻게 판단하느냐에 따라 다르다”며 “유심히 보고 있다”고 했습니다.
그는 “정치 불확실성이 위기로 몰아가지는 않지만, 경제가 가라앉는 데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이걸 빨리 끝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총재는 ‘아세안+3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참석차 밀라노를 방문했습니다.
오는 10∼12일에는 스위스 바젤에서 열리는 국제결제은행(BIS) 총재 회의에 참석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김진화 기자 evolution@kbs.co.kr
김진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