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북 GP파괴 부실검증” 전직 군인 6명 수사의뢰
입력 2025.04.24 (21:24)
수정 2025.04.24 (21: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감사원이 지난 2018년 9.19 군사합의 당시 남북 최전방 초소, GP 철수에 관여한 전직 군 관계자 6명을 검찰에 수사 의뢰했습니다.
북측이 GP를 제대로 파괴하지 않았는데도, 이를 제대로 검증하지 않았다는 혐의입니다.
신지혜 기자입니다.
[리포트]
9.19 군사합의에 따라, 남북은 최전방 감시초소, GP를 10개씩 파괴했습니다.
이후 GP가 제대로 철거됐는지, 양측 군인들이 서로 검증했습니다.
당시 우리 정부는 북측 GP가 모두 '불능화' 됐다고 밝혔습니다.
[서욱/당시 합참 작전본부장/2018년 12월 : "금번 시범 철수한 북측의 GP가 감시초소로서의 임무수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평가하여…."]
그러나 2023년 11월 9.19 합의 파기를 선언한 북한은 '불능 상태'라던 GP들을 단기간에 복구했습니다.
그러자 "과거 우리 측 검증이 부실했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지난해 3월부터 이 의혹을 감사 중인 감사원은, 지난달 말 전직 군 관계자 6명을 검찰에 수사 의뢰했습니다.
정경두·서욱 전 국방장관과 국방부·합참의 대북 업무 담당자들로 알려졌습니다.
감사원은 이들에게 북측 GP 시설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사실과 다른 결론을 담은 공문서를 작성한 혐의 등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감사원은 북한과 동일한 규모로 GP를 없애면 작전상 공백이 우려된다는 내부 보고에도 남북 동수로 GP가 철수됐단 진술을 확보한 거로 알려졌습니다.
사건을 넘겨받은 서울 서부지검은 조만간 감사원 자료를 인계받아 수사를 시작할 예정입니다.
감사원은 한두 달 내에 최종 감사 결과를 발표할 거로 알려졌습니다.
KBS 뉴스 신지혜입니다.
영상편집:이형주/그래픽:채상우
감사원이 지난 2018년 9.19 군사합의 당시 남북 최전방 초소, GP 철수에 관여한 전직 군 관계자 6명을 검찰에 수사 의뢰했습니다.
북측이 GP를 제대로 파괴하지 않았는데도, 이를 제대로 검증하지 않았다는 혐의입니다.
신지혜 기자입니다.
[리포트]
9.19 군사합의에 따라, 남북은 최전방 감시초소, GP를 10개씩 파괴했습니다.
이후 GP가 제대로 철거됐는지, 양측 군인들이 서로 검증했습니다.
당시 우리 정부는 북측 GP가 모두 '불능화' 됐다고 밝혔습니다.
[서욱/당시 합참 작전본부장/2018년 12월 : "금번 시범 철수한 북측의 GP가 감시초소로서의 임무수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평가하여…."]
그러나 2023년 11월 9.19 합의 파기를 선언한 북한은 '불능 상태'라던 GP들을 단기간에 복구했습니다.
그러자 "과거 우리 측 검증이 부실했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지난해 3월부터 이 의혹을 감사 중인 감사원은, 지난달 말 전직 군 관계자 6명을 검찰에 수사 의뢰했습니다.
정경두·서욱 전 국방장관과 국방부·합참의 대북 업무 담당자들로 알려졌습니다.
감사원은 이들에게 북측 GP 시설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사실과 다른 결론을 담은 공문서를 작성한 혐의 등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감사원은 북한과 동일한 규모로 GP를 없애면 작전상 공백이 우려된다는 내부 보고에도 남북 동수로 GP가 철수됐단 진술을 확보한 거로 알려졌습니다.
사건을 넘겨받은 서울 서부지검은 조만간 감사원 자료를 인계받아 수사를 시작할 예정입니다.
감사원은 한두 달 내에 최종 감사 결과를 발표할 거로 알려졌습니다.
KBS 뉴스 신지혜입니다.
영상편집:이형주/그래픽:채상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감사원, “북 GP파괴 부실검증” 전직 군인 6명 수사의뢰
-
- 입력 2025-04-24 21:24:41
- 수정2025-04-24 21:40:06

[앵커]
감사원이 지난 2018년 9.19 군사합의 당시 남북 최전방 초소, GP 철수에 관여한 전직 군 관계자 6명을 검찰에 수사 의뢰했습니다.
북측이 GP를 제대로 파괴하지 않았는데도, 이를 제대로 검증하지 않았다는 혐의입니다.
신지혜 기자입니다.
[리포트]
9.19 군사합의에 따라, 남북은 최전방 감시초소, GP를 10개씩 파괴했습니다.
이후 GP가 제대로 철거됐는지, 양측 군인들이 서로 검증했습니다.
당시 우리 정부는 북측 GP가 모두 '불능화' 됐다고 밝혔습니다.
[서욱/당시 합참 작전본부장/2018년 12월 : "금번 시범 철수한 북측의 GP가 감시초소로서의 임무수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평가하여…."]
그러나 2023년 11월 9.19 합의 파기를 선언한 북한은 '불능 상태'라던 GP들을 단기간에 복구했습니다.
그러자 "과거 우리 측 검증이 부실했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지난해 3월부터 이 의혹을 감사 중인 감사원은, 지난달 말 전직 군 관계자 6명을 검찰에 수사 의뢰했습니다.
정경두·서욱 전 국방장관과 국방부·합참의 대북 업무 담당자들로 알려졌습니다.
감사원은 이들에게 북측 GP 시설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사실과 다른 결론을 담은 공문서를 작성한 혐의 등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감사원은 북한과 동일한 규모로 GP를 없애면 작전상 공백이 우려된다는 내부 보고에도 남북 동수로 GP가 철수됐단 진술을 확보한 거로 알려졌습니다.
사건을 넘겨받은 서울 서부지검은 조만간 감사원 자료를 인계받아 수사를 시작할 예정입니다.
감사원은 한두 달 내에 최종 감사 결과를 발표할 거로 알려졌습니다.
KBS 뉴스 신지혜입니다.
영상편집:이형주/그래픽:채상우
감사원이 지난 2018년 9.19 군사합의 당시 남북 최전방 초소, GP 철수에 관여한 전직 군 관계자 6명을 검찰에 수사 의뢰했습니다.
북측이 GP를 제대로 파괴하지 않았는데도, 이를 제대로 검증하지 않았다는 혐의입니다.
신지혜 기자입니다.
[리포트]
9.19 군사합의에 따라, 남북은 최전방 감시초소, GP를 10개씩 파괴했습니다.
이후 GP가 제대로 철거됐는지, 양측 군인들이 서로 검증했습니다.
당시 우리 정부는 북측 GP가 모두 '불능화' 됐다고 밝혔습니다.
[서욱/당시 합참 작전본부장/2018년 12월 : "금번 시범 철수한 북측의 GP가 감시초소로서의 임무수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평가하여…."]
그러나 2023년 11월 9.19 합의 파기를 선언한 북한은 '불능 상태'라던 GP들을 단기간에 복구했습니다.
그러자 "과거 우리 측 검증이 부실했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지난해 3월부터 이 의혹을 감사 중인 감사원은, 지난달 말 전직 군 관계자 6명을 검찰에 수사 의뢰했습니다.
정경두·서욱 전 국방장관과 국방부·합참의 대북 업무 담당자들로 알려졌습니다.
감사원은 이들에게 북측 GP 시설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사실과 다른 결론을 담은 공문서를 작성한 혐의 등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감사원은 북한과 동일한 규모로 GP를 없애면 작전상 공백이 우려된다는 내부 보고에도 남북 동수로 GP가 철수됐단 진술을 확보한 거로 알려졌습니다.
사건을 넘겨받은 서울 서부지검은 조만간 감사원 자료를 인계받아 수사를 시작할 예정입니다.
감사원은 한두 달 내에 최종 감사 결과를 발표할 거로 알려졌습니다.
KBS 뉴스 신지혜입니다.
영상편집:이형주/그래픽:채상우
-
-
신지혜 기자 new@kbs.co.kr
신지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