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영향 전인데 ‘마이너스 성장’…올 성장률도 우려
입력 2025.04.24 (21:06)
수정 2025.04.24 (22: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 관세 영향은 아직 반영되지도 않았는데, 우리 1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
내수 부진이 심각합니다.
벌써 이 정도면, 올해 남은 기간 성장률, 걱정스럽습니다.
황현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1분기 경제성장률은 -0.2%.
3분기 만에 다시 역성장입니다.
코로나, 금융위기 때도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곧 반등했습니다.
하지만 이번엔 4개 분기 연속 0.1% 이하.
통계 작성 이후 처음있는 일입니다.
회복은 더디고, 침체는 길어지고 있습니다.
수출은 0.3%p 정도 성장률을 끌어올렸습니다.
수입이 더 많이 줄면서 나타난 효과입니다.
하지만 소비와 투자를 포함한 내수가 0.6%p나 성장률을 깎아먹었습니다.
[이동원/한국은행 경제통계2국장 : "대외적인 쇼크(충격)가 와서 위기 발생하는 그런 상황은 아닌데, 내수 부진이 이어지는 측면이 있거든요. 가장 큰 건 건설투자."]
문제는 '앞으로' 입니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줄며 내수는 다소 회복되겠지만, '트럼프 관세'로 수출은 더 힘들어 질 수 있습니다.
[이창용/한국은행 총재/미국 CNBC 인터뷰 : "국내 불확실성은 진정되는 분위기지만, 반대로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은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최근 두달 전 내놨던 올해 성장률 전망치 1.5%를 크게 내릴 수 밖에 없다고 인정했습니다.
IMF에 이어 JP모건 0.5% 등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0%대 중반'으로 줄줄이 낮추고 있습니다.
결국 다음 달 금리 인하 가능성은 더 커졌습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고석훈
미국 관세 영향은 아직 반영되지도 않았는데, 우리 1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
내수 부진이 심각합니다.
벌써 이 정도면, 올해 남은 기간 성장률, 걱정스럽습니다.
황현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1분기 경제성장률은 -0.2%.
3분기 만에 다시 역성장입니다.
코로나, 금융위기 때도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곧 반등했습니다.
하지만 이번엔 4개 분기 연속 0.1% 이하.
통계 작성 이후 처음있는 일입니다.
회복은 더디고, 침체는 길어지고 있습니다.
수출은 0.3%p 정도 성장률을 끌어올렸습니다.
수입이 더 많이 줄면서 나타난 효과입니다.
하지만 소비와 투자를 포함한 내수가 0.6%p나 성장률을 깎아먹었습니다.
[이동원/한국은행 경제통계2국장 : "대외적인 쇼크(충격)가 와서 위기 발생하는 그런 상황은 아닌데, 내수 부진이 이어지는 측면이 있거든요. 가장 큰 건 건설투자."]
문제는 '앞으로' 입니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줄며 내수는 다소 회복되겠지만, '트럼프 관세'로 수출은 더 힘들어 질 수 있습니다.
[이창용/한국은행 총재/미국 CNBC 인터뷰 : "국내 불확실성은 진정되는 분위기지만, 반대로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은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최근 두달 전 내놨던 올해 성장률 전망치 1.5%를 크게 내릴 수 밖에 없다고 인정했습니다.
IMF에 이어 JP모건 0.5% 등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0%대 중반'으로 줄줄이 낮추고 있습니다.
결국 다음 달 금리 인하 가능성은 더 커졌습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고석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관세 영향 전인데 ‘마이너스 성장’…올 성장률도 우려
-
- 입력 2025-04-24 21:06:12
- 수정2025-04-24 22:21:57

[앵커]
미국 관세 영향은 아직 반영되지도 않았는데, 우리 1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
내수 부진이 심각합니다.
벌써 이 정도면, 올해 남은 기간 성장률, 걱정스럽습니다.
황현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1분기 경제성장률은 -0.2%.
3분기 만에 다시 역성장입니다.
코로나, 금융위기 때도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곧 반등했습니다.
하지만 이번엔 4개 분기 연속 0.1% 이하.
통계 작성 이후 처음있는 일입니다.
회복은 더디고, 침체는 길어지고 있습니다.
수출은 0.3%p 정도 성장률을 끌어올렸습니다.
수입이 더 많이 줄면서 나타난 효과입니다.
하지만 소비와 투자를 포함한 내수가 0.6%p나 성장률을 깎아먹었습니다.
[이동원/한국은행 경제통계2국장 : "대외적인 쇼크(충격)가 와서 위기 발생하는 그런 상황은 아닌데, 내수 부진이 이어지는 측면이 있거든요. 가장 큰 건 건설투자."]
문제는 '앞으로' 입니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줄며 내수는 다소 회복되겠지만, '트럼프 관세'로 수출은 더 힘들어 질 수 있습니다.
[이창용/한국은행 총재/미국 CNBC 인터뷰 : "국내 불확실성은 진정되는 분위기지만, 반대로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은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최근 두달 전 내놨던 올해 성장률 전망치 1.5%를 크게 내릴 수 밖에 없다고 인정했습니다.
IMF에 이어 JP모건 0.5% 등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0%대 중반'으로 줄줄이 낮추고 있습니다.
결국 다음 달 금리 인하 가능성은 더 커졌습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고석훈
미국 관세 영향은 아직 반영되지도 않았는데, 우리 1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
내수 부진이 심각합니다.
벌써 이 정도면, 올해 남은 기간 성장률, 걱정스럽습니다.
황현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1분기 경제성장률은 -0.2%.
3분기 만에 다시 역성장입니다.
코로나, 금융위기 때도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곧 반등했습니다.
하지만 이번엔 4개 분기 연속 0.1% 이하.
통계 작성 이후 처음있는 일입니다.
회복은 더디고, 침체는 길어지고 있습니다.
수출은 0.3%p 정도 성장률을 끌어올렸습니다.
수입이 더 많이 줄면서 나타난 효과입니다.
하지만 소비와 투자를 포함한 내수가 0.6%p나 성장률을 깎아먹었습니다.
[이동원/한국은행 경제통계2국장 : "대외적인 쇼크(충격)가 와서 위기 발생하는 그런 상황은 아닌데, 내수 부진이 이어지는 측면이 있거든요. 가장 큰 건 건설투자."]
문제는 '앞으로' 입니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줄며 내수는 다소 회복되겠지만, '트럼프 관세'로 수출은 더 힘들어 질 수 있습니다.
[이창용/한국은행 총재/미국 CNBC 인터뷰 : "국내 불확실성은 진정되는 분위기지만, 반대로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은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최근 두달 전 내놨던 올해 성장률 전망치 1.5%를 크게 내릴 수 밖에 없다고 인정했습니다.
IMF에 이어 JP모건 0.5% 등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0%대 중반'으로 줄줄이 낮추고 있습니다.
결국 다음 달 금리 인하 가능성은 더 커졌습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고석훈
-
-
황현규 기자 help@kbs.co.kr
황현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