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더하기] 창작의 종말?…“AI시대, 예술은 죽지 않는다”

입력 2025.04.23 (19:54) 수정 2025.04.23 (20: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에 깊이를 더하는 시간, '뉴스더하기' 입니다.

2016년, 세기의 대결로 불린 인공지능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바둑 대결.

결과는 충격적이었습니다.

알파고가 인간의 바둑 최고 실력자를 4대 1로 누르며 전 세계를 놀라게 했죠.

인공지능의 위력이 현실로 다가온 순간이었습니다.

그리고 2022년, 생성형 인공지능 챗GPT의 등장은 인공지능 기술 발전에서 또 한 번의 전환점을 찍었습니다.

자연스러운 대화는 물론, 시를 쓰고 소설을 집필하며, 심지어 음악 작곡까지.

인공지능은 이제 인간의 고유 영역이라 여겨졌던 ‘창작’의 세계에까지 발을 들였습니다.

그동안 많은 이들이 아무리 인공지능이 발전해도 감정과 감성으로 완성되는 예술만큼은 침범하기 어려울 것으로 믿었습니다.

하지만 인공지능은 그림, 음악, 영상 등 다양한 콘텐츠를 순식간에 만들어내며 예술의 경계를 허물고 있습니다.

최근 유행하는 '지브리 풍 사진 변환' 열풍은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입니다.

[서희일/직장인 : "업무나 좀 멀리 있는 것들이 아니라 실생활이나 이런 예술 분야에서도 활용이 되는 게 굉장히 재밌었고, 앞으로도 그런 발전이 되게 기대가 됐습니다."]

이처럼 인공지능의 빠른 확산에 예술가들의 입지는 어떻게 될까요?

실제로 전 세계 곳곳에서 창작의 고유성이 위협받고 비슷한 스타일의 콘텐츠가 범람하면서, 인공지능이 발전할수록 예술가의 설 자리는 점점 줄어들 거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반면, 인공지능의 발전은 예술의 종말이 아니라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는 기대감도 존재합니다.

실제로 인공지능을 활용해 더 풍부한 상상력을 실현하거나 전에 없던 장르의 작품이 탄생하는 등 인공지능과 예술가의 협업 사례가 속속 나타나고 있습니다.

[성홍선/웹툰 작가 : "창작자들의 고유 영역은 그대로 지켜지고, 거기에 결합한 새로운 형태가 나타나면서 또 다른 문화나 트렌드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여기에 더해 예술 교육을 받지 않은 일반인도 인공지능을 활용해 그림을 그리고 음악을 만들며, 자신만의 이야기를 표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소수 전문가의 영역으로 여겨졌던 창작의 문턱이 낮아지고, 더 많은 이들이 예술 세계에 참여하는 시대가 열린 것입니다.

[이진준/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 "AI를 잘 활용해서 그동안 하고 싶었던 그림이나 음악을 만드는 창작 활동에 도구로 잘 활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그런 많은 분들이 활용하는 과정에서 진짜 본연의 중요한, 그 예술의 가치가 저는 오히려 드러날 것이라고 보거든요."]

인공지능은 예술계에도 경이로움과 놀라움, 공포 등 다양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공지능이 아무리 멋진 작품을 만들어내도 이는 어디까지나 데이터에 기반한 결과물일 뿐입니다.

인간의 영감과 감정, 철학이 담긴 ‘진짜 예술’은 여전히 인간 고유의 영역으로 남아 있는데요,

인공지능을 부정하기보다는 적극적인 활용과 협업을 통해 더 풍부한 상상력을 펼치고 지평을 넓힘으로써 인류와 함께 해온 예술은 인공지능 시대에도 여전히 빛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지금까지 뉴스더하기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 더하기] 창작의 종말?…“AI시대, 예술은 죽지 않는다”
    • 입력 2025-04-23 19:54:30
    • 수정2025-04-23 20:24:24
    뉴스7(대전)
뉴스에 깊이를 더하는 시간, '뉴스더하기' 입니다.

2016년, 세기의 대결로 불린 인공지능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바둑 대결.

결과는 충격적이었습니다.

알파고가 인간의 바둑 최고 실력자를 4대 1로 누르며 전 세계를 놀라게 했죠.

인공지능의 위력이 현실로 다가온 순간이었습니다.

그리고 2022년, 생성형 인공지능 챗GPT의 등장은 인공지능 기술 발전에서 또 한 번의 전환점을 찍었습니다.

자연스러운 대화는 물론, 시를 쓰고 소설을 집필하며, 심지어 음악 작곡까지.

인공지능은 이제 인간의 고유 영역이라 여겨졌던 ‘창작’의 세계에까지 발을 들였습니다.

그동안 많은 이들이 아무리 인공지능이 발전해도 감정과 감성으로 완성되는 예술만큼은 침범하기 어려울 것으로 믿었습니다.

하지만 인공지능은 그림, 음악, 영상 등 다양한 콘텐츠를 순식간에 만들어내며 예술의 경계를 허물고 있습니다.

최근 유행하는 '지브리 풍 사진 변환' 열풍은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입니다.

[서희일/직장인 : "업무나 좀 멀리 있는 것들이 아니라 실생활이나 이런 예술 분야에서도 활용이 되는 게 굉장히 재밌었고, 앞으로도 그런 발전이 되게 기대가 됐습니다."]

이처럼 인공지능의 빠른 확산에 예술가들의 입지는 어떻게 될까요?

실제로 전 세계 곳곳에서 창작의 고유성이 위협받고 비슷한 스타일의 콘텐츠가 범람하면서, 인공지능이 발전할수록 예술가의 설 자리는 점점 줄어들 거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반면, 인공지능의 발전은 예술의 종말이 아니라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는 기대감도 존재합니다.

실제로 인공지능을 활용해 더 풍부한 상상력을 실현하거나 전에 없던 장르의 작품이 탄생하는 등 인공지능과 예술가의 협업 사례가 속속 나타나고 있습니다.

[성홍선/웹툰 작가 : "창작자들의 고유 영역은 그대로 지켜지고, 거기에 결합한 새로운 형태가 나타나면서 또 다른 문화나 트렌드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여기에 더해 예술 교육을 받지 않은 일반인도 인공지능을 활용해 그림을 그리고 음악을 만들며, 자신만의 이야기를 표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소수 전문가의 영역으로 여겨졌던 창작의 문턱이 낮아지고, 더 많은 이들이 예술 세계에 참여하는 시대가 열린 것입니다.

[이진준/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 "AI를 잘 활용해서 그동안 하고 싶었던 그림이나 음악을 만드는 창작 활동에 도구로 잘 활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그런 많은 분들이 활용하는 과정에서 진짜 본연의 중요한, 그 예술의 가치가 저는 오히려 드러날 것이라고 보거든요."]

인공지능은 예술계에도 경이로움과 놀라움, 공포 등 다양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공지능이 아무리 멋진 작품을 만들어내도 이는 어디까지나 데이터에 기반한 결과물일 뿐입니다.

인간의 영감과 감정, 철학이 담긴 ‘진짜 예술’은 여전히 인간 고유의 영역으로 남아 있는데요,

인공지능을 부정하기보다는 적극적인 활용과 협업을 통해 더 풍부한 상상력을 펼치고 지평을 넓힘으로써 인류와 함께 해온 예술은 인공지능 시대에도 여전히 빛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지금까지 뉴스더하기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