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파일7] 대형화 되는 산불…진화 인력 전문화 시급

입력 2025.04.02 (19:59) 수정 2025.04.02 (20: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 영남권 산불로 인명과 재산 피해가 막대했습니다.

특히, 진화에 나섰던 산불예방진화대원들이 숨지기도 해 안타까움을 자아냈는데요.

진화대원들의 고령화와 낮은 전문성 문제를 짚고 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현장을 취재한 조휴연 기자와 자세히 알아봅니다

조 기자, 이번 영남권 산불 최악의 피해를 냈는데, 진화대원도 여러 명 희생됐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지난달 (22일), 경남 산청에서 진화작업을 하다 산불 예방 전문진화대원 3명이 숨졌습니다.

모두 창녕군이 뽑은 산불 예방 전문진화대였습니다.

봄, 가을 몇 달 일하던 대원들이고, 나이도 모두 60대였습니다.

비슷한 처지에서 산불과 맞서야 하는 강원도 내 대원들 사이에선 남 일 같지 않다는 말이 나옵니다.

다들 나이가 많은 탓에 현장에 갔다 넘어지기도 하고, 불을 끄다 위험한 상황이 워낙 많아 걱정되고 불안하다는 반응이었습니다.

[앵커]

사실, 시청자들은 산불을 끄는 진화대원들이 누구인지 잘 알기 어렵거든요.

전체 구조를 설명해 주세요.

[기자]

네, 산불이 나면 투입되는 진화대원은 크게 세 직군으로 나뉩니다.

먼저, 공중진화대와 재난특수 진화대가 있고요.

여기에, 산불 예방 전문진화대가 있습니다.

이 셋이 뭐가 다른지 이름만 들어선 알기 어려운데요.

선발 요건을 보면 명확하게 보이실 겁니다.

먼저, 공중진화대와 산불 재난 특수진화대입니다.

산림청 소속 공무원이다, 이렇게 이해하시면 됩니다.

먼저, 좌측 공중진화댑니다.

군 특수부대 전역자나 3년 이상 복무자, 구조 및 구급 경력이 있는 소방공무원, 응급구조사 자격이 있는 사람만 지원할 수 있습니다.

선발 기준이 가장 까다롭죠.

그다음, 산불 재난 특수진화댑니다.

만 18살 이상 60살 미만이어야 하고 산림 관련 자격증이나 응급구조사, 드론 조종 자격증을 우대합니다.

이 두 직군이 전문 인력이라고 할 수 있는데, 문제는 이들 규모가 강원도 전체 진화 인력의 10% 정도에 그치고 있다는 점입니다.

[앵커]

그럼, 그밖에는 어떤 직군이 있나요?

[기자]

그 밖엔 산불 예방 전문진화대가 있습니다.

지자체와 산림청이 운용하는 인력인데요.

이 자리의 선발 기준은 다름 아닌 소득입니다.

중위소득 70% 이하여야 합니다.

연령 상한도 없습니다.

이들은 봄, 가을 1년에 몇 달만 일을 합니다.

사실상 '노인 일자리'라고 불리는 이유입니다.

진화 인력의 대부분이 여기 해당됩니다.

강원도의 경우 1,200여 명의 진화 인력이 있는데요.

앞서 설명한 전문적인 진화 인력은 120여 명이고, 후자는 1,100명 정도입니다.

[앵커]

대형 산불에 잘 대응하려면 전문 인력을 더 뽑아야 하는 것 아닌가요?

[기자]

네, 물론입니다.

전문가들은 갈수록 대형화되는 산불 대응을 위해선 체력과 지식, 수행 능력이 중요하다고 지적합니다.

하지만 전문 인력 확대는 아직입니다.

공중진화대는 전국적으로 100여 명, 산불 재난 특수진화대는 430여 명인데요.

2021년부터 이 숫자는 제자리걸음입니다.

2022년 산림청은 2027년까지 특수진화대 규모를 2,000명까지 늘리겠다고 발표했는데요.

이런 발표가 무색한 상황입니다.

산림청은 정부 부처의 돈을 관리하는 기획재정부와의 이견 때문에 인원을 늘리지 못하고 있다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산림청에선 이번 산불 이후 인력 충원 논의가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전문 진화대원들이 2,000명 수준까지 확대되더라도 전국 곳곳에 분산 배치됩니다.

이 때문에 이것 만으론 역부족이라는 지적들도 있습니다.

[앵커]

그래서, 산불 대응의 지휘 체계 일원화 등의 제안도 나오고 있다고요?

[기자]

지금 산불이 나면 진화 작업은 산림청이 주도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상황이 커지면 소방이 지원하는 형식입니다.

하지만, 이제는 소방과 유기적으로 협력하고 지휘 체계를 일원화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초동 진화 성패 여부가 피해를 판가름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기 때문인데요.

산림청 진화대는, 아무래도 인력이 적은 편이죠.

반면, 소방의 경우 인력 규모가 크고 전문성도 갖추고 있습니다.

그래서 산림청이 산불 조심 기간만이라도 단일 지휘를 통해 빠르게, 많은 인력을 한꺼번에 투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겁니다.

[앵커]

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고생 많으셨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취재파일7] 대형화 되는 산불…진화 인력 전문화 시급
    • 입력 2025-04-02 19:59:05
    • 수정2025-04-02 20:10:40
    뉴스7(춘천)
[앵커]

이번 영남권 산불로 인명과 재산 피해가 막대했습니다.

특히, 진화에 나섰던 산불예방진화대원들이 숨지기도 해 안타까움을 자아냈는데요.

진화대원들의 고령화와 낮은 전문성 문제를 짚고 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현장을 취재한 조휴연 기자와 자세히 알아봅니다

조 기자, 이번 영남권 산불 최악의 피해를 냈는데, 진화대원도 여러 명 희생됐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지난달 (22일), 경남 산청에서 진화작업을 하다 산불 예방 전문진화대원 3명이 숨졌습니다.

모두 창녕군이 뽑은 산불 예방 전문진화대였습니다.

봄, 가을 몇 달 일하던 대원들이고, 나이도 모두 60대였습니다.

비슷한 처지에서 산불과 맞서야 하는 강원도 내 대원들 사이에선 남 일 같지 않다는 말이 나옵니다.

다들 나이가 많은 탓에 현장에 갔다 넘어지기도 하고, 불을 끄다 위험한 상황이 워낙 많아 걱정되고 불안하다는 반응이었습니다.

[앵커]

사실, 시청자들은 산불을 끄는 진화대원들이 누구인지 잘 알기 어렵거든요.

전체 구조를 설명해 주세요.

[기자]

네, 산불이 나면 투입되는 진화대원은 크게 세 직군으로 나뉩니다.

먼저, 공중진화대와 재난특수 진화대가 있고요.

여기에, 산불 예방 전문진화대가 있습니다.

이 셋이 뭐가 다른지 이름만 들어선 알기 어려운데요.

선발 요건을 보면 명확하게 보이실 겁니다.

먼저, 공중진화대와 산불 재난 특수진화대입니다.

산림청 소속 공무원이다, 이렇게 이해하시면 됩니다.

먼저, 좌측 공중진화댑니다.

군 특수부대 전역자나 3년 이상 복무자, 구조 및 구급 경력이 있는 소방공무원, 응급구조사 자격이 있는 사람만 지원할 수 있습니다.

선발 기준이 가장 까다롭죠.

그다음, 산불 재난 특수진화댑니다.

만 18살 이상 60살 미만이어야 하고 산림 관련 자격증이나 응급구조사, 드론 조종 자격증을 우대합니다.

이 두 직군이 전문 인력이라고 할 수 있는데, 문제는 이들 규모가 강원도 전체 진화 인력의 10% 정도에 그치고 있다는 점입니다.

[앵커]

그럼, 그밖에는 어떤 직군이 있나요?

[기자]

그 밖엔 산불 예방 전문진화대가 있습니다.

지자체와 산림청이 운용하는 인력인데요.

이 자리의 선발 기준은 다름 아닌 소득입니다.

중위소득 70% 이하여야 합니다.

연령 상한도 없습니다.

이들은 봄, 가을 1년에 몇 달만 일을 합니다.

사실상 '노인 일자리'라고 불리는 이유입니다.

진화 인력의 대부분이 여기 해당됩니다.

강원도의 경우 1,200여 명의 진화 인력이 있는데요.

앞서 설명한 전문적인 진화 인력은 120여 명이고, 후자는 1,100명 정도입니다.

[앵커]

대형 산불에 잘 대응하려면 전문 인력을 더 뽑아야 하는 것 아닌가요?

[기자]

네, 물론입니다.

전문가들은 갈수록 대형화되는 산불 대응을 위해선 체력과 지식, 수행 능력이 중요하다고 지적합니다.

하지만 전문 인력 확대는 아직입니다.

공중진화대는 전국적으로 100여 명, 산불 재난 특수진화대는 430여 명인데요.

2021년부터 이 숫자는 제자리걸음입니다.

2022년 산림청은 2027년까지 특수진화대 규모를 2,000명까지 늘리겠다고 발표했는데요.

이런 발표가 무색한 상황입니다.

산림청은 정부 부처의 돈을 관리하는 기획재정부와의 이견 때문에 인원을 늘리지 못하고 있다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산림청에선 이번 산불 이후 인력 충원 논의가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전문 진화대원들이 2,000명 수준까지 확대되더라도 전국 곳곳에 분산 배치됩니다.

이 때문에 이것 만으론 역부족이라는 지적들도 있습니다.

[앵커]

그래서, 산불 대응의 지휘 체계 일원화 등의 제안도 나오고 있다고요?

[기자]

지금 산불이 나면 진화 작업은 산림청이 주도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상황이 커지면 소방이 지원하는 형식입니다.

하지만, 이제는 소방과 유기적으로 협력하고 지휘 체계를 일원화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초동 진화 성패 여부가 피해를 판가름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기 때문인데요.

산림청 진화대는, 아무래도 인력이 적은 편이죠.

반면, 소방의 경우 인력 규모가 크고 전문성도 갖추고 있습니다.

그래서 산림청이 산불 조심 기간만이라도 단일 지휘를 통해 빠르게, 많은 인력을 한꺼번에 투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겁니다.

[앵커]

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고생 많으셨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춘천-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