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나온 책] “이대로 정신을 놓을까 보냐” ‘알츠하이머 기록자’ 외
입력 2025.03.31 (06:47)
수정 2025.03.31 (07: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치매 환자 100만 명 시대, 초고령 사회를 맞아 닥쳐온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하고, 어떤 삶을 살게 될까요?
우리보다 먼저 치매 문제를 겪고 있는 일본의 한 환자가 남긴 일기를 통해 작은 실마리를 찾아보시죠.
새로 나온 책, 노태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
알츠하이머 기록자 사이토 마사히코 지음 / 글항아리
============================
치매 환자가 급증하는 일본.
치매의 조짐을 느낀 한 할머니가 이후 20년간 써 내려간 투병기입니다.
삶의 기록 곳곳에는 혼란스러움과 불안, 걱정, 어쩌면 상태가 호전될지 모른다는 희망이 배어 있습니다.
정신이 무뎌져 감을 섬세하게 느끼고 기록했는데, 치매 환자의 현실이 생생하게 전해집니다.
치매 환자 100만 명 시대를 앞둔 우리 사회에도 묵직한 고민을 던져줍니다.
============================
호떡과 초콜릿, 경성에 오다 박현수 지음 / 한겨레출판
============================
일제 식민 치하에서 하루하루가 고단했지만, 그래도 조선 민중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던 건 달콤한 디저트였습니다.
소파 방정환이 좋아했던 빙수와, 작가 이상이 먹고 싶어 했던 멜론, 최초의 탄산음료 라무네 등에 담긴 사연을 소개합니다.
============================
실패 빼앗는 사회 안혜정, 조성호, 이광형 지음 / 위즈덤하우스
============================
실패에서 배워야 혁신과 성장을 이룰 수 있다지만, 무엇을 어떻게 배워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똑 부러진 설명이 없습니다.
카이스트 실패연구소가 실패에서 배우는 법을 고민하고 연구해 책으로 펴냈습니다.
실패에서 배우기 위해서는 개인의 의지를 넘어 사회 구조와 문화가 변해야 함을 보여줍니다.
============================
서울 엄마들 조지은 지음 / 달고나
============================
강남 8학군에서도 최고 수준의 엘리트 교육을 추구하는 금묘아파트를 배경으로 우리의 교육 현실을 유머와 풍자로 비틀어냈습니다.
과도한 교육열의 민낯을 드러내며, 성공의 기준은, 가족의 역할은 무엇인지 되묻습니다.
============================
아티스트 케어 김정섭 지음 / 한울아카데미
============================
K-컬처의 위상이 날로 높아가지만, 연기자들의 정신 건강 등 아티스트 케어에 대해선 무관심한 게 현실입니다.
윤복희, 손병호 등 연기 장인들을 통해 연기자와 자연인의 삶을 자연스레 병행할 수 있는 건강 관리 방법을 소개합니다.
KBS 뉴스 노태영입니다.
촬영기자:박상욱/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김성일
치매 환자 100만 명 시대, 초고령 사회를 맞아 닥쳐온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하고, 어떤 삶을 살게 될까요?
우리보다 먼저 치매 문제를 겪고 있는 일본의 한 환자가 남긴 일기를 통해 작은 실마리를 찾아보시죠.
새로 나온 책, 노태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
알츠하이머 기록자 사이토 마사히코 지음 / 글항아리
============================
치매 환자가 급증하는 일본.
치매의 조짐을 느낀 한 할머니가 이후 20년간 써 내려간 투병기입니다.
삶의 기록 곳곳에는 혼란스러움과 불안, 걱정, 어쩌면 상태가 호전될지 모른다는 희망이 배어 있습니다.
정신이 무뎌져 감을 섬세하게 느끼고 기록했는데, 치매 환자의 현실이 생생하게 전해집니다.
치매 환자 100만 명 시대를 앞둔 우리 사회에도 묵직한 고민을 던져줍니다.
============================
호떡과 초콜릿, 경성에 오다 박현수 지음 / 한겨레출판
============================
일제 식민 치하에서 하루하루가 고단했지만, 그래도 조선 민중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던 건 달콤한 디저트였습니다.
소파 방정환이 좋아했던 빙수와, 작가 이상이 먹고 싶어 했던 멜론, 최초의 탄산음료 라무네 등에 담긴 사연을 소개합니다.
============================
실패 빼앗는 사회 안혜정, 조성호, 이광형 지음 / 위즈덤하우스
============================
실패에서 배워야 혁신과 성장을 이룰 수 있다지만, 무엇을 어떻게 배워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똑 부러진 설명이 없습니다.
카이스트 실패연구소가 실패에서 배우는 법을 고민하고 연구해 책으로 펴냈습니다.
실패에서 배우기 위해서는 개인의 의지를 넘어 사회 구조와 문화가 변해야 함을 보여줍니다.
============================
서울 엄마들 조지은 지음 / 달고나
============================
강남 8학군에서도 최고 수준의 엘리트 교육을 추구하는 금묘아파트를 배경으로 우리의 교육 현실을 유머와 풍자로 비틀어냈습니다.
과도한 교육열의 민낯을 드러내며, 성공의 기준은, 가족의 역할은 무엇인지 되묻습니다.
============================
아티스트 케어 김정섭 지음 / 한울아카데미
============================
K-컬처의 위상이 날로 높아가지만, 연기자들의 정신 건강 등 아티스트 케어에 대해선 무관심한 게 현실입니다.
윤복희, 손병호 등 연기 장인들을 통해 연기자와 자연인의 삶을 자연스레 병행할 수 있는 건강 관리 방법을 소개합니다.
KBS 뉴스 노태영입니다.
촬영기자:박상욱/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김성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새로 나온 책] “이대로 정신을 놓을까 보냐” ‘알츠하이머 기록자’ 외
-
- 입력 2025-03-31 06:47:10
- 수정2025-03-31 07:56:22

[앵커]
치매 환자 100만 명 시대, 초고령 사회를 맞아 닥쳐온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하고, 어떤 삶을 살게 될까요?
우리보다 먼저 치매 문제를 겪고 있는 일본의 한 환자가 남긴 일기를 통해 작은 실마리를 찾아보시죠.
새로 나온 책, 노태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
알츠하이머 기록자 사이토 마사히코 지음 / 글항아리
============================
치매 환자가 급증하는 일본.
치매의 조짐을 느낀 한 할머니가 이후 20년간 써 내려간 투병기입니다.
삶의 기록 곳곳에는 혼란스러움과 불안, 걱정, 어쩌면 상태가 호전될지 모른다는 희망이 배어 있습니다.
정신이 무뎌져 감을 섬세하게 느끼고 기록했는데, 치매 환자의 현실이 생생하게 전해집니다.
치매 환자 100만 명 시대를 앞둔 우리 사회에도 묵직한 고민을 던져줍니다.
============================
호떡과 초콜릿, 경성에 오다 박현수 지음 / 한겨레출판
============================
일제 식민 치하에서 하루하루가 고단했지만, 그래도 조선 민중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던 건 달콤한 디저트였습니다.
소파 방정환이 좋아했던 빙수와, 작가 이상이 먹고 싶어 했던 멜론, 최초의 탄산음료 라무네 등에 담긴 사연을 소개합니다.
============================
실패 빼앗는 사회 안혜정, 조성호, 이광형 지음 / 위즈덤하우스
============================
실패에서 배워야 혁신과 성장을 이룰 수 있다지만, 무엇을 어떻게 배워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똑 부러진 설명이 없습니다.
카이스트 실패연구소가 실패에서 배우는 법을 고민하고 연구해 책으로 펴냈습니다.
실패에서 배우기 위해서는 개인의 의지를 넘어 사회 구조와 문화가 변해야 함을 보여줍니다.
============================
서울 엄마들 조지은 지음 / 달고나
============================
강남 8학군에서도 최고 수준의 엘리트 교육을 추구하는 금묘아파트를 배경으로 우리의 교육 현실을 유머와 풍자로 비틀어냈습니다.
과도한 교육열의 민낯을 드러내며, 성공의 기준은, 가족의 역할은 무엇인지 되묻습니다.
============================
아티스트 케어 김정섭 지음 / 한울아카데미
============================
K-컬처의 위상이 날로 높아가지만, 연기자들의 정신 건강 등 아티스트 케어에 대해선 무관심한 게 현실입니다.
윤복희, 손병호 등 연기 장인들을 통해 연기자와 자연인의 삶을 자연스레 병행할 수 있는 건강 관리 방법을 소개합니다.
KBS 뉴스 노태영입니다.
촬영기자:박상욱/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김성일
치매 환자 100만 명 시대, 초고령 사회를 맞아 닥쳐온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하고, 어떤 삶을 살게 될까요?
우리보다 먼저 치매 문제를 겪고 있는 일본의 한 환자가 남긴 일기를 통해 작은 실마리를 찾아보시죠.
새로 나온 책, 노태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
알츠하이머 기록자 사이토 마사히코 지음 / 글항아리
============================
치매 환자가 급증하는 일본.
치매의 조짐을 느낀 한 할머니가 이후 20년간 써 내려간 투병기입니다.
삶의 기록 곳곳에는 혼란스러움과 불안, 걱정, 어쩌면 상태가 호전될지 모른다는 희망이 배어 있습니다.
정신이 무뎌져 감을 섬세하게 느끼고 기록했는데, 치매 환자의 현실이 생생하게 전해집니다.
치매 환자 100만 명 시대를 앞둔 우리 사회에도 묵직한 고민을 던져줍니다.
============================
호떡과 초콜릿, 경성에 오다 박현수 지음 / 한겨레출판
============================
일제 식민 치하에서 하루하루가 고단했지만, 그래도 조선 민중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던 건 달콤한 디저트였습니다.
소파 방정환이 좋아했던 빙수와, 작가 이상이 먹고 싶어 했던 멜론, 최초의 탄산음료 라무네 등에 담긴 사연을 소개합니다.
============================
실패 빼앗는 사회 안혜정, 조성호, 이광형 지음 / 위즈덤하우스
============================
실패에서 배워야 혁신과 성장을 이룰 수 있다지만, 무엇을 어떻게 배워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똑 부러진 설명이 없습니다.
카이스트 실패연구소가 실패에서 배우는 법을 고민하고 연구해 책으로 펴냈습니다.
실패에서 배우기 위해서는 개인의 의지를 넘어 사회 구조와 문화가 변해야 함을 보여줍니다.
============================
서울 엄마들 조지은 지음 / 달고나
============================
강남 8학군에서도 최고 수준의 엘리트 교육을 추구하는 금묘아파트를 배경으로 우리의 교육 현실을 유머와 풍자로 비틀어냈습니다.
과도한 교육열의 민낯을 드러내며, 성공의 기준은, 가족의 역할은 무엇인지 되묻습니다.
============================
아티스트 케어 김정섭 지음 / 한울아카데미
============================
K-컬처의 위상이 날로 높아가지만, 연기자들의 정신 건강 등 아티스트 케어에 대해선 무관심한 게 현실입니다.
윤복희, 손병호 등 연기 장인들을 통해 연기자와 자연인의 삶을 자연스레 병행할 수 있는 건강 관리 방법을 소개합니다.
KBS 뉴스 노태영입니다.
촬영기자:박상욱/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김성일
-
-
노태영 기자 lotte0@kbs.co.kr
노태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