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외국산 자동차 25% 관세 4월 2일부터 부과”…한국도 타격

입력 2025.03.27 (09:39) 수정 2025.03.27 (10: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에 수입되는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엔진 등 자동차 핵심부품도 대상입니다.

4월 2일 발효되고 징수는 3일부터 시작됩니다.

자동차는 한국의 대미 수출 1위 품목인 만큼 한국에도 상당한 타격이 예상됩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모든 수입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라고 공식적으로 지시했습니다.

관세는 다음 달 2일부터 발효되고 3일부터 징수가 시작됩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가 하려는 것은,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은 모든 자동차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입니다."]

백악관은 자동차 관세로 연간 1,000억 달러, 우리 돈 147조 원 정도의 세입이 발생할 걸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또, 자동차 관세가 미국 자동차 산업의 엄청난 성장으로 이어질 거라고 주장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의 자동차 산업은 이전에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수준으로 번창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향후 자동차 관세가 철회될 수 있냐는 질문에 "이것은 100% 영구적인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자동차 관세가 일단 부과하고 추후 협상하는 방식인 '협상용 관세'가 아니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백악관은 여기에 더해 엔진 등 자동차 핵심부품에도 25% 관세를 물리겠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의 완성차 업계는 물론 부품 업계에도 직격탄이 예상됩니다.

자동차는 한국의 대미 수출 1위 품목입니다.

한국의 지난해 자동차 수출액은 708억 달러, 우리 돈 104조 원이 넘는데, 이 가운데 절반 정도인 342억 달러, 50조 원이 대미 수출액입니다.

더 큰 문제는 다음 달 2일부터 상호 관세도 예고된 상태라는 겁니다.

대미 무역 흑자가 큰 한국은 주요 타깃이 될 걸로 보이는데, 상호 관세와 품목별 관세가 단순 합산될지 아니면 합산 과정에서 관세 폭의 조정이 있을지는 아직 확실치 않은 상황입니다.

이번 자동차 관세 발표에 대해 유럽연합은 유감을 표명하면서도 협상을 통해 해결책을 모색하겠다고 밝혔고 캐나다는 직접적 공격이라며 보복 관세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양의정/자료조사:박은진 김나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외국산 자동차 25% 관세 4월 2일부터 부과”…한국도 타격
    • 입력 2025-03-27 09:39:18
    • 수정2025-03-27 10:04:53
    930뉴스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에 수입되는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엔진 등 자동차 핵심부품도 대상입니다.

4월 2일 발효되고 징수는 3일부터 시작됩니다.

자동차는 한국의 대미 수출 1위 품목인 만큼 한국에도 상당한 타격이 예상됩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모든 수입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라고 공식적으로 지시했습니다.

관세는 다음 달 2일부터 발효되고 3일부터 징수가 시작됩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가 하려는 것은,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은 모든 자동차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입니다."]

백악관은 자동차 관세로 연간 1,000억 달러, 우리 돈 147조 원 정도의 세입이 발생할 걸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또, 자동차 관세가 미국 자동차 산업의 엄청난 성장으로 이어질 거라고 주장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의 자동차 산업은 이전에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수준으로 번창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향후 자동차 관세가 철회될 수 있냐는 질문에 "이것은 100% 영구적인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자동차 관세가 일단 부과하고 추후 협상하는 방식인 '협상용 관세'가 아니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백악관은 여기에 더해 엔진 등 자동차 핵심부품에도 25% 관세를 물리겠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의 완성차 업계는 물론 부품 업계에도 직격탄이 예상됩니다.

자동차는 한국의 대미 수출 1위 품목입니다.

한국의 지난해 자동차 수출액은 708억 달러, 우리 돈 104조 원이 넘는데, 이 가운데 절반 정도인 342억 달러, 50조 원이 대미 수출액입니다.

더 큰 문제는 다음 달 2일부터 상호 관세도 예고된 상태라는 겁니다.

대미 무역 흑자가 큰 한국은 주요 타깃이 될 걸로 보이는데, 상호 관세와 품목별 관세가 단순 합산될지 아니면 합산 과정에서 관세 폭의 조정이 있을지는 아직 확실치 않은 상황입니다.

이번 자동차 관세 발표에 대해 유럽연합은 유감을 표명하면서도 협상을 통해 해결책을 모색하겠다고 밝혔고 캐나다는 직접적 공격이라며 보복 관세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양의정/자료조사:박은진 김나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