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MBK 계열’ 롯데카드, 입점업체 줄 돈 최소 200억 묶어

입력 2025.03.21 (06:33) 수정 2025.03.21 (07: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를 밟으면서 '채권을 변제받을 수 있을지', '언제 받을 수 있을지'가 채권자들의 최대 관심사죠.

이때 상거래 채권인지, 금융채권인지 여부가 쟁점입니다.

상거래 채권이면 우선 지급 대상이 되기 때문입니다.

같은 'MBK 계열사'인 롯데카드가 이 채권 분류를 놓고 얌체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인영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형마트에서 신용카드 결제는 일상이지만, 그 이면엔 복잡한 정산 과정이 있습니다.

카드사가 대형마트로, 다시 입점업체로 판매 대금을 주는 구조.

당연히 롯데카드와 홈플러스도 이 정산을 거의 매일 해왔습니다.

하지만, 회생 개시 이후 롯데카드는 이 정산을 전면 중단합니다.

회생 개시 이후 지금까지 최소 210억 원 이상을 안 주고 있습니다.

안 그래도 현금이 부족한 홈플러스의 입점업체 정산을 더 힘들게 하고 있습니다.

[홈플러스 입점업체 업주/음성변조 : "3,100만 원 정도를 제가 지금 못 받고 있습니다. 저희는 한 달 벌어서 한 달 생활하는 소상공인인데…."]

홈플러스는 같은 MBK 소속인 롯데카드의 법인카드로 상품을 매입해 왔는데, 현재 카드 대금 6백억 원이 밀려 있습니다.

이 돈과 입점업체가 받을 돈을 서로 맞바꾼 셈입니다.

문제는 채권의 성격입니다.

입점업체가 받을 돈은 '상거래 채권' 우선 지급 대상이지만, 롯데카드가 받을 돈은 '금융채권'이라 더 뒷순위입니다.

롯데카드는 홈플러스가 밀린 법인카드 대금이 '상거래 채권'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는 자체 해석을 근거로 내세웁니다.

[김현정/국회 정무위원/민주당 : "회생 절차가 개시되면 모든 것들은 회생법원에서 결정하는 대로 가는 게 맞잖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인들이 자의적으로 해석해서 적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죠."]

홈플러스 입점업체에 줄 돈을 묶어버린 카드사는 롯데카드뿐.

홈플러스 공동대표인 김광일 MBK 부회장은 롯데카드의 등기이사이기도 합니다.

KBS 뉴스 최인영입니다.

촬영기자:김태현/영상편집:박은주/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독] ‘MBK 계열’ 롯데카드, 입점업체 줄 돈 최소 200억 묶어
    • 입력 2025-03-21 06:33:02
    • 수정2025-03-21 07:57:34
    뉴스광장 1부
[앵커]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를 밟으면서 '채권을 변제받을 수 있을지', '언제 받을 수 있을지'가 채권자들의 최대 관심사죠.

이때 상거래 채권인지, 금융채권인지 여부가 쟁점입니다.

상거래 채권이면 우선 지급 대상이 되기 때문입니다.

같은 'MBK 계열사'인 롯데카드가 이 채권 분류를 놓고 얌체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인영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형마트에서 신용카드 결제는 일상이지만, 그 이면엔 복잡한 정산 과정이 있습니다.

카드사가 대형마트로, 다시 입점업체로 판매 대금을 주는 구조.

당연히 롯데카드와 홈플러스도 이 정산을 거의 매일 해왔습니다.

하지만, 회생 개시 이후 롯데카드는 이 정산을 전면 중단합니다.

회생 개시 이후 지금까지 최소 210억 원 이상을 안 주고 있습니다.

안 그래도 현금이 부족한 홈플러스의 입점업체 정산을 더 힘들게 하고 있습니다.

[홈플러스 입점업체 업주/음성변조 : "3,100만 원 정도를 제가 지금 못 받고 있습니다. 저희는 한 달 벌어서 한 달 생활하는 소상공인인데…."]

홈플러스는 같은 MBK 소속인 롯데카드의 법인카드로 상품을 매입해 왔는데, 현재 카드 대금 6백억 원이 밀려 있습니다.

이 돈과 입점업체가 받을 돈을 서로 맞바꾼 셈입니다.

문제는 채권의 성격입니다.

입점업체가 받을 돈은 '상거래 채권' 우선 지급 대상이지만, 롯데카드가 받을 돈은 '금융채권'이라 더 뒷순위입니다.

롯데카드는 홈플러스가 밀린 법인카드 대금이 '상거래 채권'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는 자체 해석을 근거로 내세웁니다.

[김현정/국회 정무위원/민주당 : "회생 절차가 개시되면 모든 것들은 회생법원에서 결정하는 대로 가는 게 맞잖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인들이 자의적으로 해석해서 적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죠."]

홈플러스 입점업체에 줄 돈을 묶어버린 카드사는 롯데카드뿐.

홈플러스 공동대표인 김광일 MBK 부회장은 롯데카드의 등기이사이기도 합니다.

KBS 뉴스 최인영입니다.

촬영기자:김태현/영상편집:박은주/그래픽:박미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