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육아휴직자 10명 중 3명은 남성…첫 30%대 진입
입력 2025.02.23 (17:04)
수정 2025.02.23 (21: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 육아휴직자 가운데 남성의 비율이 처음으로 30%를 넘어섰습니다.
전체 육아휴직자 수 또한 전년 대비 5% 넘게 늘어났습니다.
조은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육아휴직을 한 남성은 4만 천명으로 전체 육아휴직자의 31.6%를 차지했습니다.
남성 육아휴직자 비율이 30%를 넘어선 것은 처음입니다.
남성 육아휴직자 비율은 2015년 5.6%를 기록한 이후 2020년에 20%를 넘어섰고, 2022년 28.9%에 달하는 등 꾸준히 늘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부모 함께 육아휴직제'가 확대된 것을 이유로 꼽았습니다.
지난해부터 부모가 모두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받을 수 있는 월 최대 급여가 300만 원에서 450만 원으로 늘었습니다.
지난해 전체 육아휴직자는 13만 2천 명으로 1년 전보다 5.2% 늘어났습니다.
육아휴직 평균 사용 기간은 8.8개월로 여성은 평균 9.4개월, 남성은 평균 7.6개월 육아휴직을 썼습니다.
자녀의 연령별로는 지난해 여성 육아휴직자의 80%, 남성 육아휴직자의 46.5%가 자녀가 0세일 때 육아휴직을 쓴 걸로 나타났습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자도 지난해 2만 6천 명으로 14.8% 늘었습니다.
특히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자는 62.8%가 중소기업 소속 근로자였고, 10인 미만 기업 근로자도 24%를 차지했습니다.
KBS 뉴스 조은애입니다.
영상편집:이현모
지난해 육아휴직자 가운데 남성의 비율이 처음으로 30%를 넘어섰습니다.
전체 육아휴직자 수 또한 전년 대비 5% 넘게 늘어났습니다.
조은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육아휴직을 한 남성은 4만 천명으로 전체 육아휴직자의 31.6%를 차지했습니다.
남성 육아휴직자 비율이 30%를 넘어선 것은 처음입니다.
남성 육아휴직자 비율은 2015년 5.6%를 기록한 이후 2020년에 20%를 넘어섰고, 2022년 28.9%에 달하는 등 꾸준히 늘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부모 함께 육아휴직제'가 확대된 것을 이유로 꼽았습니다.
지난해부터 부모가 모두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받을 수 있는 월 최대 급여가 300만 원에서 450만 원으로 늘었습니다.
지난해 전체 육아휴직자는 13만 2천 명으로 1년 전보다 5.2% 늘어났습니다.
육아휴직 평균 사용 기간은 8.8개월로 여성은 평균 9.4개월, 남성은 평균 7.6개월 육아휴직을 썼습니다.
자녀의 연령별로는 지난해 여성 육아휴직자의 80%, 남성 육아휴직자의 46.5%가 자녀가 0세일 때 육아휴직을 쓴 걸로 나타났습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자도 지난해 2만 6천 명으로 14.8% 늘었습니다.
특히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자는 62.8%가 중소기업 소속 근로자였고, 10인 미만 기업 근로자도 24%를 차지했습니다.
KBS 뉴스 조은애입니다.
영상편집:이현모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난해 육아휴직자 10명 중 3명은 남성…첫 30%대 진입
-
- 입력 2025-02-23 17:04:52
- 수정2025-02-23 21:51:40

[앵커]
지난해 육아휴직자 가운데 남성의 비율이 처음으로 30%를 넘어섰습니다.
전체 육아휴직자 수 또한 전년 대비 5% 넘게 늘어났습니다.
조은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육아휴직을 한 남성은 4만 천명으로 전체 육아휴직자의 31.6%를 차지했습니다.
남성 육아휴직자 비율이 30%를 넘어선 것은 처음입니다.
남성 육아휴직자 비율은 2015년 5.6%를 기록한 이후 2020년에 20%를 넘어섰고, 2022년 28.9%에 달하는 등 꾸준히 늘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부모 함께 육아휴직제'가 확대된 것을 이유로 꼽았습니다.
지난해부터 부모가 모두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받을 수 있는 월 최대 급여가 300만 원에서 450만 원으로 늘었습니다.
지난해 전체 육아휴직자는 13만 2천 명으로 1년 전보다 5.2% 늘어났습니다.
육아휴직 평균 사용 기간은 8.8개월로 여성은 평균 9.4개월, 남성은 평균 7.6개월 육아휴직을 썼습니다.
자녀의 연령별로는 지난해 여성 육아휴직자의 80%, 남성 육아휴직자의 46.5%가 자녀가 0세일 때 육아휴직을 쓴 걸로 나타났습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자도 지난해 2만 6천 명으로 14.8% 늘었습니다.
특히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자는 62.8%가 중소기업 소속 근로자였고, 10인 미만 기업 근로자도 24%를 차지했습니다.
KBS 뉴스 조은애입니다.
영상편집:이현모
지난해 육아휴직자 가운데 남성의 비율이 처음으로 30%를 넘어섰습니다.
전체 육아휴직자 수 또한 전년 대비 5% 넘게 늘어났습니다.
조은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육아휴직을 한 남성은 4만 천명으로 전체 육아휴직자의 31.6%를 차지했습니다.
남성 육아휴직자 비율이 30%를 넘어선 것은 처음입니다.
남성 육아휴직자 비율은 2015년 5.6%를 기록한 이후 2020년에 20%를 넘어섰고, 2022년 28.9%에 달하는 등 꾸준히 늘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부모 함께 육아휴직제'가 확대된 것을 이유로 꼽았습니다.
지난해부터 부모가 모두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받을 수 있는 월 최대 급여가 300만 원에서 450만 원으로 늘었습니다.
지난해 전체 육아휴직자는 13만 2천 명으로 1년 전보다 5.2% 늘어났습니다.
육아휴직 평균 사용 기간은 8.8개월로 여성은 평균 9.4개월, 남성은 평균 7.6개월 육아휴직을 썼습니다.
자녀의 연령별로는 지난해 여성 육아휴직자의 80%, 남성 육아휴직자의 46.5%가 자녀가 0세일 때 육아휴직을 쓴 걸로 나타났습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자도 지난해 2만 6천 명으로 14.8% 늘었습니다.
특히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자는 62.8%가 중소기업 소속 근로자였고, 10인 미만 기업 근로자도 24%를 차지했습니다.
KBS 뉴스 조은애입니다.
영상편집:이현모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