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청 뒤늦은 사과…‘미온적 대처’ 질타
입력 2025.02.18 (19:31)
수정 2025.02.18 (19: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고 김하늘 양이 학교에서 선생님이 휘두른 흉기에 숨진 지 여드레가 지난 오늘(18일), 교육청이 공식 사과했습니다.
국회에서는 교육청이 가해 교사의 이상 행동에 대해 미온적으로 대응했다는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백상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고 김하늘 양 참극이 벌어진 지 일주일 넘도록 공식 사과는 없었던 대전교육청.
학부모 단체의 항의 집회가 열리는 등 여론이 악화하고 나서야 국회 현안 질의에서 뒤늦은 사과를 했습니다.
[설동호/대전시 교육감 : "비통하고 참담한 심정이며 유가족과 대전 시민에게 사과드립니다."]
국회에서는 사건 발생 사흘 전 교육청이 가해 교사의 기물 파손과 폭행 등 이상 행동을 보고 받고도 즉시 조치하지 않은 점에 대한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김준혁/국회 교육위원회 위원/더불어민주당 : "서부교육지원청에 금요일에 (이상 행동을) 보고했습니다. 그런데 이날 서부교육지원청에서는 어떠한 반응도 보여주지 않았습니다."]
대전교육청은 여전히 관련 대처가 적절했는지 수사 의뢰나 감사는 고려하지 않고 있습니다.
오히려 사건 관련 브리핑에서는 가해 교사의 이상 행동을 축소하는 데 급급했습니다.
[최재모/대전교육청 교육국장/지난 11일 : "해당 학교에서 '작은 소동'이 있었고 감사(가 필요한) 이런 상황은 아니었습니다."]
또, 사건 발생 나흘 만에 돌봄교실 안전 관리를 강화한다며 자원봉사자를 확대 배치하겠다고 해 현장의 반발을 사고 있습니다.
명확한 지침이 없는 가운데 일선 학교마다 서로 다른 돌봄교실 운영안을 내놓고 있어 현장 혼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돌봄교실 교사 : "어떤 학교는 자율 귀가가 가능하다고 하고 어떤 학교는 자율 귀가가 안 된다고 하니까 (학부모가) 왜 굳이 자율 귀가를 금지하는지 이해를 못 하겠다…."]
가해 교사에 대한 수사와는 별개로, 교육당국의 책임을 살피는 과정도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백상현입니다.
촬영기자:안성복
고 김하늘 양이 학교에서 선생님이 휘두른 흉기에 숨진 지 여드레가 지난 오늘(18일), 교육청이 공식 사과했습니다.
국회에서는 교육청이 가해 교사의 이상 행동에 대해 미온적으로 대응했다는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백상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고 김하늘 양 참극이 벌어진 지 일주일 넘도록 공식 사과는 없었던 대전교육청.
학부모 단체의 항의 집회가 열리는 등 여론이 악화하고 나서야 국회 현안 질의에서 뒤늦은 사과를 했습니다.
[설동호/대전시 교육감 : "비통하고 참담한 심정이며 유가족과 대전 시민에게 사과드립니다."]
국회에서는 사건 발생 사흘 전 교육청이 가해 교사의 기물 파손과 폭행 등 이상 행동을 보고 받고도 즉시 조치하지 않은 점에 대한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김준혁/국회 교육위원회 위원/더불어민주당 : "서부교육지원청에 금요일에 (이상 행동을) 보고했습니다. 그런데 이날 서부교육지원청에서는 어떠한 반응도 보여주지 않았습니다."]
대전교육청은 여전히 관련 대처가 적절했는지 수사 의뢰나 감사는 고려하지 않고 있습니다.
오히려 사건 관련 브리핑에서는 가해 교사의 이상 행동을 축소하는 데 급급했습니다.
[최재모/대전교육청 교육국장/지난 11일 : "해당 학교에서 '작은 소동'이 있었고 감사(가 필요한) 이런 상황은 아니었습니다."]
또, 사건 발생 나흘 만에 돌봄교실 안전 관리를 강화한다며 자원봉사자를 확대 배치하겠다고 해 현장의 반발을 사고 있습니다.
명확한 지침이 없는 가운데 일선 학교마다 서로 다른 돌봄교실 운영안을 내놓고 있어 현장 혼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돌봄교실 교사 : "어떤 학교는 자율 귀가가 가능하다고 하고 어떤 학교는 자율 귀가가 안 된다고 하니까 (학부모가) 왜 굳이 자율 귀가를 금지하는지 이해를 못 하겠다…."]
가해 교사에 대한 수사와는 별개로, 교육당국의 책임을 살피는 과정도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백상현입니다.
촬영기자:안성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교육청 뒤늦은 사과…‘미온적 대처’ 질타
-
- 입력 2025-02-18 19:31:47
- 수정2025-02-18 19:39:51

[앵커]
고 김하늘 양이 학교에서 선생님이 휘두른 흉기에 숨진 지 여드레가 지난 오늘(18일), 교육청이 공식 사과했습니다.
국회에서는 교육청이 가해 교사의 이상 행동에 대해 미온적으로 대응했다는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백상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고 김하늘 양 참극이 벌어진 지 일주일 넘도록 공식 사과는 없었던 대전교육청.
학부모 단체의 항의 집회가 열리는 등 여론이 악화하고 나서야 국회 현안 질의에서 뒤늦은 사과를 했습니다.
[설동호/대전시 교육감 : "비통하고 참담한 심정이며 유가족과 대전 시민에게 사과드립니다."]
국회에서는 사건 발생 사흘 전 교육청이 가해 교사의 기물 파손과 폭행 등 이상 행동을 보고 받고도 즉시 조치하지 않은 점에 대한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김준혁/국회 교육위원회 위원/더불어민주당 : "서부교육지원청에 금요일에 (이상 행동을) 보고했습니다. 그런데 이날 서부교육지원청에서는 어떠한 반응도 보여주지 않았습니다."]
대전교육청은 여전히 관련 대처가 적절했는지 수사 의뢰나 감사는 고려하지 않고 있습니다.
오히려 사건 관련 브리핑에서는 가해 교사의 이상 행동을 축소하는 데 급급했습니다.
[최재모/대전교육청 교육국장/지난 11일 : "해당 학교에서 '작은 소동'이 있었고 감사(가 필요한) 이런 상황은 아니었습니다."]
또, 사건 발생 나흘 만에 돌봄교실 안전 관리를 강화한다며 자원봉사자를 확대 배치하겠다고 해 현장의 반발을 사고 있습니다.
명확한 지침이 없는 가운데 일선 학교마다 서로 다른 돌봄교실 운영안을 내놓고 있어 현장 혼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돌봄교실 교사 : "어떤 학교는 자율 귀가가 가능하다고 하고 어떤 학교는 자율 귀가가 안 된다고 하니까 (학부모가) 왜 굳이 자율 귀가를 금지하는지 이해를 못 하겠다…."]
가해 교사에 대한 수사와는 별개로, 교육당국의 책임을 살피는 과정도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백상현입니다.
촬영기자:안성복
고 김하늘 양이 학교에서 선생님이 휘두른 흉기에 숨진 지 여드레가 지난 오늘(18일), 교육청이 공식 사과했습니다.
국회에서는 교육청이 가해 교사의 이상 행동에 대해 미온적으로 대응했다는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백상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고 김하늘 양 참극이 벌어진 지 일주일 넘도록 공식 사과는 없었던 대전교육청.
학부모 단체의 항의 집회가 열리는 등 여론이 악화하고 나서야 국회 현안 질의에서 뒤늦은 사과를 했습니다.
[설동호/대전시 교육감 : "비통하고 참담한 심정이며 유가족과 대전 시민에게 사과드립니다."]
국회에서는 사건 발생 사흘 전 교육청이 가해 교사의 기물 파손과 폭행 등 이상 행동을 보고 받고도 즉시 조치하지 않은 점에 대한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김준혁/국회 교육위원회 위원/더불어민주당 : "서부교육지원청에 금요일에 (이상 행동을) 보고했습니다. 그런데 이날 서부교육지원청에서는 어떠한 반응도 보여주지 않았습니다."]
대전교육청은 여전히 관련 대처가 적절했는지 수사 의뢰나 감사는 고려하지 않고 있습니다.
오히려 사건 관련 브리핑에서는 가해 교사의 이상 행동을 축소하는 데 급급했습니다.
[최재모/대전교육청 교육국장/지난 11일 : "해당 학교에서 '작은 소동'이 있었고 감사(가 필요한) 이런 상황은 아니었습니다."]
또, 사건 발생 나흘 만에 돌봄교실 안전 관리를 강화한다며 자원봉사자를 확대 배치하겠다고 해 현장의 반발을 사고 있습니다.
명확한 지침이 없는 가운데 일선 학교마다 서로 다른 돌봄교실 운영안을 내놓고 있어 현장 혼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돌봄교실 교사 : "어떤 학교는 자율 귀가가 가능하다고 하고 어떤 학교는 자율 귀가가 안 된다고 하니까 (학부모가) 왜 굳이 자율 귀가를 금지하는지 이해를 못 하겠다…."]
가해 교사에 대한 수사와는 별개로, 교육당국의 책임을 살피는 과정도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백상현입니다.
촬영기자:안성복
-
-
백상현 기자 bsh@kbs.co.kr
백상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