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4대 광역생활권’…“갈등 해소, 경쟁력 강화”
입력 2025.02.13 (19:16)
수정 2025.02.13 (19: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경상남도가 2045년까지 18개 시·군을 '4대 광역생활권'으로 묶는 미래 도시정책 최종 계획안을 다음 주 발표할 예정입니다.
시·군 간 갈등과 중복 투자 등을 해소하고 권역별 경쟁력을 갖춘다는 계획인데, 앞으로 18개 시·군 설득 과정이 남았습니다.
진정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창원시 사파동과 김해시 진례면을 잇는 비음산 터널 사업은 양 시의 입장차로 16년째 답보상태입니다.
진주시와 사천시도 쓰레기 소각장 입지 문제 등으로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인접한 시·군마다의 독자적인 도시 계획이 경쟁과 갈등을 불러와 지역 경쟁력을 제대로 키우지 못한다는 게 경상남도의 진단입니다.
[김종성/경남연구원 연구위원 : "수도권 중심으로 1극 체제에서 지방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연계 협력이 필수적인데 개별적인 계획수립으로는 연계 협력을 통한 경쟁력 확보가 제한적입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경상남도가 내년부터 2045년까지 18개 시·군을 '4대 광역생활권'으로 묶는 미래 도시정책을 세우고 있습니다.
창원과 김해, 양산, 밀양, 함안, 창녕 등 동부권은 제조업과 첨단산업 인재를 육성하는 지역으로 성장시킬 계획입니다.
진주와 사천, 남해, 하동, 의령 등 서부권은 우주항공복합도시로의 대전환을, 통영과 거제, 고성 등 남부권은 첨단 휴양도시와 조선, 해양수산의 글로벌 거점이 미래상으로 제시됐습니다.
풍부한 자연 생태계를 간직한 거창과 산청, 함양, 합천 등 북부권은 개발과 보존이 공존하는 지역으로 설계할 계획입니다.
생활권이 유사한 지역을 권역으로 묶어 시·군 간 도시계획을 조정하고 자원과 기능을 균형 있게 배치해 지역 경쟁력을 키운다는 전략입니다.
[김종성/경남연구원 연구위원 : "인구와 기능들이 소멸해 가는 지방의 어려운 상황에서 생활권 연계를 통해서 국비사업 유치라든지 지역 경쟁력 확보에 있어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계획이 되지 않을까."]
앞으로 과제는 도시계획 권한을 가진 각 시·군을 설득하는 것입니다.
경상남도는 전담팀을 꾸려 18개 시·군 협의회를 진행하고, 전문가 자문회의 등을 거쳐 이르면 오는 5월 최종 보고회를 열 계획입니다.
KBS 뉴스 진정은입니다.
촬영기자:조형수·최현진/그래픽:박수홍
경상남도가 2045년까지 18개 시·군을 '4대 광역생활권'으로 묶는 미래 도시정책 최종 계획안을 다음 주 발표할 예정입니다.
시·군 간 갈등과 중복 투자 등을 해소하고 권역별 경쟁력을 갖춘다는 계획인데, 앞으로 18개 시·군 설득 과정이 남았습니다.
진정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창원시 사파동과 김해시 진례면을 잇는 비음산 터널 사업은 양 시의 입장차로 16년째 답보상태입니다.
진주시와 사천시도 쓰레기 소각장 입지 문제 등으로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인접한 시·군마다의 독자적인 도시 계획이 경쟁과 갈등을 불러와 지역 경쟁력을 제대로 키우지 못한다는 게 경상남도의 진단입니다.
[김종성/경남연구원 연구위원 : "수도권 중심으로 1극 체제에서 지방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연계 협력이 필수적인데 개별적인 계획수립으로는 연계 협력을 통한 경쟁력 확보가 제한적입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경상남도가 내년부터 2045년까지 18개 시·군을 '4대 광역생활권'으로 묶는 미래 도시정책을 세우고 있습니다.
창원과 김해, 양산, 밀양, 함안, 창녕 등 동부권은 제조업과 첨단산업 인재를 육성하는 지역으로 성장시킬 계획입니다.
진주와 사천, 남해, 하동, 의령 등 서부권은 우주항공복합도시로의 대전환을, 통영과 거제, 고성 등 남부권은 첨단 휴양도시와 조선, 해양수산의 글로벌 거점이 미래상으로 제시됐습니다.
풍부한 자연 생태계를 간직한 거창과 산청, 함양, 합천 등 북부권은 개발과 보존이 공존하는 지역으로 설계할 계획입니다.
생활권이 유사한 지역을 권역으로 묶어 시·군 간 도시계획을 조정하고 자원과 기능을 균형 있게 배치해 지역 경쟁력을 키운다는 전략입니다.
[김종성/경남연구원 연구위원 : "인구와 기능들이 소멸해 가는 지방의 어려운 상황에서 생활권 연계를 통해서 국비사업 유치라든지 지역 경쟁력 확보에 있어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계획이 되지 않을까."]
앞으로 과제는 도시계획 권한을 가진 각 시·군을 설득하는 것입니다.
경상남도는 전담팀을 꾸려 18개 시·군 협의회를 진행하고, 전문가 자문회의 등을 거쳐 이르면 오는 5월 최종 보고회를 열 계획입니다.
KBS 뉴스 진정은입니다.
촬영기자:조형수·최현진/그래픽:박수홍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남 ‘4대 광역생활권’…“갈등 해소, 경쟁력 강화”
-
- 입력 2025-02-13 19:16:54
- 수정2025-02-13 19:52:25

[앵커]
경상남도가 2045년까지 18개 시·군을 '4대 광역생활권'으로 묶는 미래 도시정책 최종 계획안을 다음 주 발표할 예정입니다.
시·군 간 갈등과 중복 투자 등을 해소하고 권역별 경쟁력을 갖춘다는 계획인데, 앞으로 18개 시·군 설득 과정이 남았습니다.
진정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창원시 사파동과 김해시 진례면을 잇는 비음산 터널 사업은 양 시의 입장차로 16년째 답보상태입니다.
진주시와 사천시도 쓰레기 소각장 입지 문제 등으로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인접한 시·군마다의 독자적인 도시 계획이 경쟁과 갈등을 불러와 지역 경쟁력을 제대로 키우지 못한다는 게 경상남도의 진단입니다.
[김종성/경남연구원 연구위원 : "수도권 중심으로 1극 체제에서 지방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연계 협력이 필수적인데 개별적인 계획수립으로는 연계 협력을 통한 경쟁력 확보가 제한적입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경상남도가 내년부터 2045년까지 18개 시·군을 '4대 광역생활권'으로 묶는 미래 도시정책을 세우고 있습니다.
창원과 김해, 양산, 밀양, 함안, 창녕 등 동부권은 제조업과 첨단산업 인재를 육성하는 지역으로 성장시킬 계획입니다.
진주와 사천, 남해, 하동, 의령 등 서부권은 우주항공복합도시로의 대전환을, 통영과 거제, 고성 등 남부권은 첨단 휴양도시와 조선, 해양수산의 글로벌 거점이 미래상으로 제시됐습니다.
풍부한 자연 생태계를 간직한 거창과 산청, 함양, 합천 등 북부권은 개발과 보존이 공존하는 지역으로 설계할 계획입니다.
생활권이 유사한 지역을 권역으로 묶어 시·군 간 도시계획을 조정하고 자원과 기능을 균형 있게 배치해 지역 경쟁력을 키운다는 전략입니다.
[김종성/경남연구원 연구위원 : "인구와 기능들이 소멸해 가는 지방의 어려운 상황에서 생활권 연계를 통해서 국비사업 유치라든지 지역 경쟁력 확보에 있어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계획이 되지 않을까."]
앞으로 과제는 도시계획 권한을 가진 각 시·군을 설득하는 것입니다.
경상남도는 전담팀을 꾸려 18개 시·군 협의회를 진행하고, 전문가 자문회의 등을 거쳐 이르면 오는 5월 최종 보고회를 열 계획입니다.
KBS 뉴스 진정은입니다.
촬영기자:조형수·최현진/그래픽:박수홍
경상남도가 2045년까지 18개 시·군을 '4대 광역생활권'으로 묶는 미래 도시정책 최종 계획안을 다음 주 발표할 예정입니다.
시·군 간 갈등과 중복 투자 등을 해소하고 권역별 경쟁력을 갖춘다는 계획인데, 앞으로 18개 시·군 설득 과정이 남았습니다.
진정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창원시 사파동과 김해시 진례면을 잇는 비음산 터널 사업은 양 시의 입장차로 16년째 답보상태입니다.
진주시와 사천시도 쓰레기 소각장 입지 문제 등으로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인접한 시·군마다의 독자적인 도시 계획이 경쟁과 갈등을 불러와 지역 경쟁력을 제대로 키우지 못한다는 게 경상남도의 진단입니다.
[김종성/경남연구원 연구위원 : "수도권 중심으로 1극 체제에서 지방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연계 협력이 필수적인데 개별적인 계획수립으로는 연계 협력을 통한 경쟁력 확보가 제한적입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경상남도가 내년부터 2045년까지 18개 시·군을 '4대 광역생활권'으로 묶는 미래 도시정책을 세우고 있습니다.
창원과 김해, 양산, 밀양, 함안, 창녕 등 동부권은 제조업과 첨단산업 인재를 육성하는 지역으로 성장시킬 계획입니다.
진주와 사천, 남해, 하동, 의령 등 서부권은 우주항공복합도시로의 대전환을, 통영과 거제, 고성 등 남부권은 첨단 휴양도시와 조선, 해양수산의 글로벌 거점이 미래상으로 제시됐습니다.
풍부한 자연 생태계를 간직한 거창과 산청, 함양, 합천 등 북부권은 개발과 보존이 공존하는 지역으로 설계할 계획입니다.
생활권이 유사한 지역을 권역으로 묶어 시·군 간 도시계획을 조정하고 자원과 기능을 균형 있게 배치해 지역 경쟁력을 키운다는 전략입니다.
[김종성/경남연구원 연구위원 : "인구와 기능들이 소멸해 가는 지방의 어려운 상황에서 생활권 연계를 통해서 국비사업 유치라든지 지역 경쟁력 확보에 있어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계획이 되지 않을까."]
앞으로 과제는 도시계획 권한을 가진 각 시·군을 설득하는 것입니다.
경상남도는 전담팀을 꾸려 18개 시·군 협의회를 진행하고, 전문가 자문회의 등을 거쳐 이르면 오는 5월 최종 보고회를 열 계획입니다.
KBS 뉴스 진정은입니다.
촬영기자:조형수·최현진/그래픽:박수홍
-
-
진정은 기자 chris@kbs.co.kr
진정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