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엎친 데 덮친’ 관세…주력 산업 돌아가며 ‘초긴장’
입력 2025.02.11 (21:21)
수정 2025.02.11 (22: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 관세 대상으로 언급한 자동차와 반도체는 우리 대표 품목이죠.
현실화되면 철강과 알루미늄보다 피해가 훨씬 클 걸로 예상됩니다.
업계는 말그대로 좌불안석입니다.
박경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자동차 열 대 만들면 아홉 대 가까이 미국에 수출하는 한국GM.
덕분에 영업 이익이 2년 연속 1조 원을 넘겼지만, 예고된 관세 부과에 수출길이 막히게 생겼습니다.
다른 기업처럼 한국 공장을 미국으로 옮기기도 어려워 난처한 상황입니다.
[주원/현대경제연구원 실장 : "그러면(공장이 문을 닫으면) 엄청난 타격이에요. 이게 수출 문제가 아니고 일자리가 그냥 날아가 버려요."]
지난해 자동차 수출액은 707억 달러.
이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미국으로 갔습니다.
미국 차의 대한국 수출액의 약 17배.
그만큼 미국은 적자입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자동차는 매우 큰 문제이자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될 것이며, 미국은 그 어느 때보다 강해질 것입니다."]
트럼프는 미국에 와서 투자하라는 건데 일부 기업은 미리 움직였습니다.
미국 내에 공장을 짓고 현지 생산을 늘리려는 노력에 대해 백악관도 모범 사례로 언급했습니다.
문제는 시간입니다.
[조성대/한국무역협회 통상연구실장 : "한 몇 달 만에 뚝딱 짓는 게 아니지 않습니까? 그래서 (수출에) 상당 부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 같아요."]
지목된 또 다른 품목 반도체.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에 납품하는 고대역폭메모리 등 미국 수출이 전체 매출의 60%에 가깝습니다.
다만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우리 반도체를 필요로 한다는 건 다행스러운 점입니다.
미국이 우리 주력 수출 품목에 돌아가며 관세 폭탄을 던지는 상황.
트럼프 전략이 과거처럼 '선 관세부과 후 협상'이라면 향후 개별 협상 과정이 중요합니다.
정부와 기업인들은 다음 주 미국을 방문합니다.
KBS 뉴스 박경준입니다.
영상편집:이웅/그래픽:고석훈 박미주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 관세 대상으로 언급한 자동차와 반도체는 우리 대표 품목이죠.
현실화되면 철강과 알루미늄보다 피해가 훨씬 클 걸로 예상됩니다.
업계는 말그대로 좌불안석입니다.
박경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자동차 열 대 만들면 아홉 대 가까이 미국에 수출하는 한국GM.
덕분에 영업 이익이 2년 연속 1조 원을 넘겼지만, 예고된 관세 부과에 수출길이 막히게 생겼습니다.
다른 기업처럼 한국 공장을 미국으로 옮기기도 어려워 난처한 상황입니다.
[주원/현대경제연구원 실장 : "그러면(공장이 문을 닫으면) 엄청난 타격이에요. 이게 수출 문제가 아니고 일자리가 그냥 날아가 버려요."]
지난해 자동차 수출액은 707억 달러.
이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미국으로 갔습니다.
미국 차의 대한국 수출액의 약 17배.
그만큼 미국은 적자입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자동차는 매우 큰 문제이자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될 것이며, 미국은 그 어느 때보다 강해질 것입니다."]
트럼프는 미국에 와서 투자하라는 건데 일부 기업은 미리 움직였습니다.
미국 내에 공장을 짓고 현지 생산을 늘리려는 노력에 대해 백악관도 모범 사례로 언급했습니다.
문제는 시간입니다.
[조성대/한국무역협회 통상연구실장 : "한 몇 달 만에 뚝딱 짓는 게 아니지 않습니까? 그래서 (수출에) 상당 부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 같아요."]
지목된 또 다른 품목 반도체.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에 납품하는 고대역폭메모리 등 미국 수출이 전체 매출의 60%에 가깝습니다.
다만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우리 반도체를 필요로 한다는 건 다행스러운 점입니다.
미국이 우리 주력 수출 품목에 돌아가며 관세 폭탄을 던지는 상황.
트럼프 전략이 과거처럼 '선 관세부과 후 협상'이라면 향후 개별 협상 과정이 중요합니다.
정부와 기업인들은 다음 주 미국을 방문합니다.
KBS 뉴스 박경준입니다.
영상편집:이웅/그래픽:고석훈 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엎친 데 덮친’ 관세…주력 산업 돌아가며 ‘초긴장’
-
- 입력 2025-02-11 21:21:54
- 수정2025-02-11 22:09:16
![](/data/news/2025/02/11/20250211_YtjdQe.jpg)
[앵커]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 관세 대상으로 언급한 자동차와 반도체는 우리 대표 품목이죠.
현실화되면 철강과 알루미늄보다 피해가 훨씬 클 걸로 예상됩니다.
업계는 말그대로 좌불안석입니다.
박경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자동차 열 대 만들면 아홉 대 가까이 미국에 수출하는 한국GM.
덕분에 영업 이익이 2년 연속 1조 원을 넘겼지만, 예고된 관세 부과에 수출길이 막히게 생겼습니다.
다른 기업처럼 한국 공장을 미국으로 옮기기도 어려워 난처한 상황입니다.
[주원/현대경제연구원 실장 : "그러면(공장이 문을 닫으면) 엄청난 타격이에요. 이게 수출 문제가 아니고 일자리가 그냥 날아가 버려요."]
지난해 자동차 수출액은 707억 달러.
이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미국으로 갔습니다.
미국 차의 대한국 수출액의 약 17배.
그만큼 미국은 적자입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자동차는 매우 큰 문제이자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될 것이며, 미국은 그 어느 때보다 강해질 것입니다."]
트럼프는 미국에 와서 투자하라는 건데 일부 기업은 미리 움직였습니다.
미국 내에 공장을 짓고 현지 생산을 늘리려는 노력에 대해 백악관도 모범 사례로 언급했습니다.
문제는 시간입니다.
[조성대/한국무역협회 통상연구실장 : "한 몇 달 만에 뚝딱 짓는 게 아니지 않습니까? 그래서 (수출에) 상당 부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 같아요."]
지목된 또 다른 품목 반도체.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에 납품하는 고대역폭메모리 등 미국 수출이 전체 매출의 60%에 가깝습니다.
다만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우리 반도체를 필요로 한다는 건 다행스러운 점입니다.
미국이 우리 주력 수출 품목에 돌아가며 관세 폭탄을 던지는 상황.
트럼프 전략이 과거처럼 '선 관세부과 후 협상'이라면 향후 개별 협상 과정이 중요합니다.
정부와 기업인들은 다음 주 미국을 방문합니다.
KBS 뉴스 박경준입니다.
영상편집:이웅/그래픽:고석훈 박미주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 관세 대상으로 언급한 자동차와 반도체는 우리 대표 품목이죠.
현실화되면 철강과 알루미늄보다 피해가 훨씬 클 걸로 예상됩니다.
업계는 말그대로 좌불안석입니다.
박경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자동차 열 대 만들면 아홉 대 가까이 미국에 수출하는 한국GM.
덕분에 영업 이익이 2년 연속 1조 원을 넘겼지만, 예고된 관세 부과에 수출길이 막히게 생겼습니다.
다른 기업처럼 한국 공장을 미국으로 옮기기도 어려워 난처한 상황입니다.
[주원/현대경제연구원 실장 : "그러면(공장이 문을 닫으면) 엄청난 타격이에요. 이게 수출 문제가 아니고 일자리가 그냥 날아가 버려요."]
지난해 자동차 수출액은 707억 달러.
이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미국으로 갔습니다.
미국 차의 대한국 수출액의 약 17배.
그만큼 미국은 적자입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자동차는 매우 큰 문제이자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될 것이며, 미국은 그 어느 때보다 강해질 것입니다."]
트럼프는 미국에 와서 투자하라는 건데 일부 기업은 미리 움직였습니다.
미국 내에 공장을 짓고 현지 생산을 늘리려는 노력에 대해 백악관도 모범 사례로 언급했습니다.
문제는 시간입니다.
[조성대/한국무역협회 통상연구실장 : "한 몇 달 만에 뚝딱 짓는 게 아니지 않습니까? 그래서 (수출에) 상당 부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 같아요."]
지목된 또 다른 품목 반도체.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에 납품하는 고대역폭메모리 등 미국 수출이 전체 매출의 60%에 가깝습니다.
다만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우리 반도체를 필요로 한다는 건 다행스러운 점입니다.
미국이 우리 주력 수출 품목에 돌아가며 관세 폭탄을 던지는 상황.
트럼프 전략이 과거처럼 '선 관세부과 후 협상'이라면 향후 개별 협상 과정이 중요합니다.
정부와 기업인들은 다음 주 미국을 방문합니다.
KBS 뉴스 박경준입니다.
영상편집:이웅/그래픽:고석훈 박미주
-
-
박경준 기자 kjpark@kbs.co.kr
박경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