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계엄 사후결재 가능”…“간담회 말 안돼” 반박도
입력 2025.02.11 (21:08)
수정 2025.02.11 (21: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비상계엄 선포 직전 열린 회의의 성격을 놓고도 공방이 이어졌습니다.
윤 대통령은 절차적 정당성을 가진 국무회의였음을 거듭 주장했습니다.
한덕수 총리 등 일부 참석자들의 기존 진술과는 차이가 컸습니다.
최유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비상계엄 선포 당일, 국무회의 심의가 제대로 이뤄졌는지는 이번 탄핵 심판의 핵심 쟁점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국무회의에 절차적 흠결이 없었다고 거듭 주장했습니다.
국무회의 문서에 서명 절차가 생략된 데 대해선 보안이 필요할 경우, 사후에 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 "도대체 국무위원이 대통령실에 그러면 간담회 하러 오거나 놀러 왔다는 것은 말이 안 되는 얘기입니다."]
이상민 전 행안부 장관은 한발 더 나아가, 1분 만에 끝난 계엄 해제 국무회의보다 선포 전 회의가 훨씬 '실질'이 있었다고 평가했습니다.
개회 선언은 없었지만, 다들 안건은 알고 있었다고도 했습니다.
[이상민/전 행정안전부 장관 : "국무회의를 100번 훨씬 넘게 참석했습니다. 이번 국무회의처럼 실질적으로 국무위원들끼리 열띤 토론이나 의사 전달이 있었던 것은 처음이었고요."]
이는 한덕수 국무총리 등 일부 국무회의 참석자들의 진술과는 다른 입장입니다.
한덕수 총리는 "간담회 정도 되는 것 같다", 최상목·오영주 장관은 "국무회의라고 생각하지 않았다"고 각각 수사기관에 진술했습니다.
재판관도 이 부분을 지적했습니다.
[김형두/헌법재판관 : "참석하시는 분들이 '아, 내가 지금 국무회의를 하고 있구나' 이런 생각을 못 하셨던 것 같거든요. 근데 증인께서는 이게 지금 국무회의라고 생각하셨던 건가요? (그렇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에 대해, 조사 과정에서 "'계엄은 내란'이라는 프레임으로 묻다 보니 일부 국무위원이 그렇게 답변한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 류재현/영상편집:한찬의/그래픽:김지혜
비상계엄 선포 직전 열린 회의의 성격을 놓고도 공방이 이어졌습니다.
윤 대통령은 절차적 정당성을 가진 국무회의였음을 거듭 주장했습니다.
한덕수 총리 등 일부 참석자들의 기존 진술과는 차이가 컸습니다.
최유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비상계엄 선포 당일, 국무회의 심의가 제대로 이뤄졌는지는 이번 탄핵 심판의 핵심 쟁점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국무회의에 절차적 흠결이 없었다고 거듭 주장했습니다.
국무회의 문서에 서명 절차가 생략된 데 대해선 보안이 필요할 경우, 사후에 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 "도대체 국무위원이 대통령실에 그러면 간담회 하러 오거나 놀러 왔다는 것은 말이 안 되는 얘기입니다."]
이상민 전 행안부 장관은 한발 더 나아가, 1분 만에 끝난 계엄 해제 국무회의보다 선포 전 회의가 훨씬 '실질'이 있었다고 평가했습니다.
개회 선언은 없었지만, 다들 안건은 알고 있었다고도 했습니다.
[이상민/전 행정안전부 장관 : "국무회의를 100번 훨씬 넘게 참석했습니다. 이번 국무회의처럼 실질적으로 국무위원들끼리 열띤 토론이나 의사 전달이 있었던 것은 처음이었고요."]
이는 한덕수 국무총리 등 일부 국무회의 참석자들의 진술과는 다른 입장입니다.
한덕수 총리는 "간담회 정도 되는 것 같다", 최상목·오영주 장관은 "국무회의라고 생각하지 않았다"고 각각 수사기관에 진술했습니다.
재판관도 이 부분을 지적했습니다.
[김형두/헌법재판관 : "참석하시는 분들이 '아, 내가 지금 국무회의를 하고 있구나' 이런 생각을 못 하셨던 것 같거든요. 근데 증인께서는 이게 지금 국무회의라고 생각하셨던 건가요? (그렇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에 대해, 조사 과정에서 "'계엄은 내란'이라는 프레임으로 묻다 보니 일부 국무위원이 그렇게 답변한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 류재현/영상편집:한찬의/그래픽:김지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윤 “계엄 사후결재 가능”…“간담회 말 안돼” 반박도
-
- 입력 2025-02-11 21:08:30
- 수정2025-02-11 21:19:00
![](/data/news/2025/02/11/20250211_aiDfzz.jpg)
[앵커]
비상계엄 선포 직전 열린 회의의 성격을 놓고도 공방이 이어졌습니다.
윤 대통령은 절차적 정당성을 가진 국무회의였음을 거듭 주장했습니다.
한덕수 총리 등 일부 참석자들의 기존 진술과는 차이가 컸습니다.
최유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비상계엄 선포 당일, 국무회의 심의가 제대로 이뤄졌는지는 이번 탄핵 심판의 핵심 쟁점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국무회의에 절차적 흠결이 없었다고 거듭 주장했습니다.
국무회의 문서에 서명 절차가 생략된 데 대해선 보안이 필요할 경우, 사후에 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 "도대체 국무위원이 대통령실에 그러면 간담회 하러 오거나 놀러 왔다는 것은 말이 안 되는 얘기입니다."]
이상민 전 행안부 장관은 한발 더 나아가, 1분 만에 끝난 계엄 해제 국무회의보다 선포 전 회의가 훨씬 '실질'이 있었다고 평가했습니다.
개회 선언은 없었지만, 다들 안건은 알고 있었다고도 했습니다.
[이상민/전 행정안전부 장관 : "국무회의를 100번 훨씬 넘게 참석했습니다. 이번 국무회의처럼 실질적으로 국무위원들끼리 열띤 토론이나 의사 전달이 있었던 것은 처음이었고요."]
이는 한덕수 국무총리 등 일부 국무회의 참석자들의 진술과는 다른 입장입니다.
한덕수 총리는 "간담회 정도 되는 것 같다", 최상목·오영주 장관은 "국무회의라고 생각하지 않았다"고 각각 수사기관에 진술했습니다.
재판관도 이 부분을 지적했습니다.
[김형두/헌법재판관 : "참석하시는 분들이 '아, 내가 지금 국무회의를 하고 있구나' 이런 생각을 못 하셨던 것 같거든요. 근데 증인께서는 이게 지금 국무회의라고 생각하셨던 건가요? (그렇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에 대해, 조사 과정에서 "'계엄은 내란'이라는 프레임으로 묻다 보니 일부 국무위원이 그렇게 답변한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 류재현/영상편집:한찬의/그래픽:김지혜
비상계엄 선포 직전 열린 회의의 성격을 놓고도 공방이 이어졌습니다.
윤 대통령은 절차적 정당성을 가진 국무회의였음을 거듭 주장했습니다.
한덕수 총리 등 일부 참석자들의 기존 진술과는 차이가 컸습니다.
최유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비상계엄 선포 당일, 국무회의 심의가 제대로 이뤄졌는지는 이번 탄핵 심판의 핵심 쟁점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국무회의에 절차적 흠결이 없었다고 거듭 주장했습니다.
국무회의 문서에 서명 절차가 생략된 데 대해선 보안이 필요할 경우, 사후에 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 "도대체 국무위원이 대통령실에 그러면 간담회 하러 오거나 놀러 왔다는 것은 말이 안 되는 얘기입니다."]
이상민 전 행안부 장관은 한발 더 나아가, 1분 만에 끝난 계엄 해제 국무회의보다 선포 전 회의가 훨씬 '실질'이 있었다고 평가했습니다.
개회 선언은 없었지만, 다들 안건은 알고 있었다고도 했습니다.
[이상민/전 행정안전부 장관 : "국무회의를 100번 훨씬 넘게 참석했습니다. 이번 국무회의처럼 실질적으로 국무위원들끼리 열띤 토론이나 의사 전달이 있었던 것은 처음이었고요."]
이는 한덕수 국무총리 등 일부 국무회의 참석자들의 진술과는 다른 입장입니다.
한덕수 총리는 "간담회 정도 되는 것 같다", 최상목·오영주 장관은 "국무회의라고 생각하지 않았다"고 각각 수사기관에 진술했습니다.
재판관도 이 부분을 지적했습니다.
[김형두/헌법재판관 : "참석하시는 분들이 '아, 내가 지금 국무회의를 하고 있구나' 이런 생각을 못 하셨던 것 같거든요. 근데 증인께서는 이게 지금 국무회의라고 생각하셨던 건가요? (그렇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에 대해, 조사 과정에서 "'계엄은 내란'이라는 프레임으로 묻다 보니 일부 국무위원이 그렇게 답변한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 류재현/영상편집:한찬의/그래픽:김지혜
-
-
최유경 기자 60@kbs.co.kr
최유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윤석열 대통령 구속기소…헌정 최초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