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변화와 함께 ‘주목받는’ 직업군!
입력 2013.02.06 (06:49)
수정 2013.02.06 (07: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지난달 졸업한 사법연수원생 10명 가운데 6명이 취업을 하지 못할 만큼 전문 직종 선망의 시대도 이젠 옛말이 되고 있습니다.
반면 첨단과학기술과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새로운 직업이 생겨나기도 했는데요.
시대변화와 함께 주목받는 직업군을 김민회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출범한 세종 특별자치시.
6급 변호사 1명 채용에, 10명의 지원자가 몰렸습니다.
과거 3급이나 4급, 최하 5급이던 변호사 처우를 6급으로 낮췄는데도 경쟁률이 10대 1에 이른 겁니다.
로스쿨 도입 후 한해 배출되는 변호사는 2천5백 명.
새로운 영역을 찾아 활로 개척에 나선 변호사들도 있습니다.
<인터뷰>이보람(로스쿨 1기 출신 변호사) : "문턱을 낮추고 다가가는 변호사, 혹은 생활속에서 내가 필요한 일들을 법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변호사가 있다면, 사람들이 일을 맡겨주지 않을까.."
의사나 한의사도 힘들기는 마찬가지.
기술 변화 등에 따라 직업 사전에서 매년 30여 개 직종이 없어질 정도로 그 변화는 빨라지고 있습니다.
반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해 마케팅을 하는 '디지털 마케터' 등 두 분야 이상을 융합한 직업, 또 환경문제에 대처하는 녹색 직업 등이 미래 각광받을 분야로 꼽힙니다.
국내 최초의 이 로봇공연기획자는 미디어 아트를 전공하고도 새로운 길을 선택했습니다.
<인터뷰>이진경(로봇공연기획자) : "생명이 없는 기계, 로봇이 감정을 갖고 인간과 교감을 하는 것이 어떤 부분인지 궁금하구요."
하지만, 뛰어난 개인이 혼자서 새로운 직업을 개척하기보다는 이제 교육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인터뷰>김병숙(경기대 직업학과 교수) : "(미래 직업은) 아주 다양한 층위를 알 수 있는 고도의 지식을 갖고, 기술을 갖는 그런 인재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청년실업 100만 시대, 미래직업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민회입니다.
지난달 졸업한 사법연수원생 10명 가운데 6명이 취업을 하지 못할 만큼 전문 직종 선망의 시대도 이젠 옛말이 되고 있습니다.
반면 첨단과학기술과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새로운 직업이 생겨나기도 했는데요.
시대변화와 함께 주목받는 직업군을 김민회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출범한 세종 특별자치시.
6급 변호사 1명 채용에, 10명의 지원자가 몰렸습니다.
과거 3급이나 4급, 최하 5급이던 변호사 처우를 6급으로 낮췄는데도 경쟁률이 10대 1에 이른 겁니다.
로스쿨 도입 후 한해 배출되는 변호사는 2천5백 명.
새로운 영역을 찾아 활로 개척에 나선 변호사들도 있습니다.
<인터뷰>이보람(로스쿨 1기 출신 변호사) : "문턱을 낮추고 다가가는 변호사, 혹은 생활속에서 내가 필요한 일들을 법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변호사가 있다면, 사람들이 일을 맡겨주지 않을까.."
의사나 한의사도 힘들기는 마찬가지.
기술 변화 등에 따라 직업 사전에서 매년 30여 개 직종이 없어질 정도로 그 변화는 빨라지고 있습니다.
반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해 마케팅을 하는 '디지털 마케터' 등 두 분야 이상을 융합한 직업, 또 환경문제에 대처하는 녹색 직업 등이 미래 각광받을 분야로 꼽힙니다.
국내 최초의 이 로봇공연기획자는 미디어 아트를 전공하고도 새로운 길을 선택했습니다.
<인터뷰>이진경(로봇공연기획자) : "생명이 없는 기계, 로봇이 감정을 갖고 인간과 교감을 하는 것이 어떤 부분인지 궁금하구요."
하지만, 뛰어난 개인이 혼자서 새로운 직업을 개척하기보다는 이제 교육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인터뷰>김병숙(경기대 직업학과 교수) : "(미래 직업은) 아주 다양한 층위를 알 수 있는 고도의 지식을 갖고, 기술을 갖는 그런 인재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청년실업 100만 시대, 미래직업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민회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시대변화와 함께 ‘주목받는’ 직업군!
-
- 입력 2013-02-06 06:51:22
- 수정2013-02-06 07:25:16

<앵커 멘트>
지난달 졸업한 사법연수원생 10명 가운데 6명이 취업을 하지 못할 만큼 전문 직종 선망의 시대도 이젠 옛말이 되고 있습니다.
반면 첨단과학기술과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새로운 직업이 생겨나기도 했는데요.
시대변화와 함께 주목받는 직업군을 김민회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출범한 세종 특별자치시.
6급 변호사 1명 채용에, 10명의 지원자가 몰렸습니다.
과거 3급이나 4급, 최하 5급이던 변호사 처우를 6급으로 낮췄는데도 경쟁률이 10대 1에 이른 겁니다.
로스쿨 도입 후 한해 배출되는 변호사는 2천5백 명.
새로운 영역을 찾아 활로 개척에 나선 변호사들도 있습니다.
<인터뷰>이보람(로스쿨 1기 출신 변호사) : "문턱을 낮추고 다가가는 변호사, 혹은 생활속에서 내가 필요한 일들을 법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변호사가 있다면, 사람들이 일을 맡겨주지 않을까.."
의사나 한의사도 힘들기는 마찬가지.
기술 변화 등에 따라 직업 사전에서 매년 30여 개 직종이 없어질 정도로 그 변화는 빨라지고 있습니다.
반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해 마케팅을 하는 '디지털 마케터' 등 두 분야 이상을 융합한 직업, 또 환경문제에 대처하는 녹색 직업 등이 미래 각광받을 분야로 꼽힙니다.
국내 최초의 이 로봇공연기획자는 미디어 아트를 전공하고도 새로운 길을 선택했습니다.
<인터뷰>이진경(로봇공연기획자) : "생명이 없는 기계, 로봇이 감정을 갖고 인간과 교감을 하는 것이 어떤 부분인지 궁금하구요."
하지만, 뛰어난 개인이 혼자서 새로운 직업을 개척하기보다는 이제 교육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인터뷰>김병숙(경기대 직업학과 교수) : "(미래 직업은) 아주 다양한 층위를 알 수 있는 고도의 지식을 갖고, 기술을 갖는 그런 인재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청년실업 100만 시대, 미래직업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민회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