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파에 채소·생선 껑충…식탁물가 ‘빨간불’
입력 2013.01.04 (21:17)
수정 2013.01.04 (22: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혹한 때문에 서민들의 장바구니 물가에도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신선 채소류의 가격이 최대 세 배 가까이 치솟았고 수산물 가격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정수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창 수확철을 맞은 하우스 딸기가 얼핏 봐도 썩 좋아 보이지 않습니다.
절반은 발육이 부진하거나 병에 걸렸습니다.
요 며칠새 불어닥친 한파때문입니다.
<인터뷰> 박우천(경기도 수원시 입북동) : "병이 다 와 가지고 잿빛곰팡이 병이 와 가지고, 수확을 못해서 폐기 처분해야 할 입장입니다."
자연, 공급이 줄었고 딸기 도매 가격이 지난해 이맘 때보다 20% 넘게 올랐습니다.
추위에 약한 잎 채소류 값은 더 뛰었습니다.
배추와 무는 각각 290%와 157%씩 폭등했고 상추는 70% 가까이 깻잎도 54%나 올랐습니다.
신선 채소와 과일 뿐 아니라 수산물 가격마저도 혹한의 영향으로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갈치는 지난 해보다 37% 비싸졌고 굴과 오징어도 평년보다 높은 값입니다.
고등어와 대구 가격은 지난 해와 비슷하지만 추위로 공급이 줄 지 우려됩니다.
<인터뷰> 김덕호(서울 노량진수산시장) : "자연산 광어나 꽃게같은 경우가 조업하기가 굉장히 힘들어집니다. 그러면 아무래도 들어오는 입하량이나 물동량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달 하순까지 한파가 계속되면 농수산물 가격 상승은 다음 달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정수영입니다.
혹한 때문에 서민들의 장바구니 물가에도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신선 채소류의 가격이 최대 세 배 가까이 치솟았고 수산물 가격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정수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창 수확철을 맞은 하우스 딸기가 얼핏 봐도 썩 좋아 보이지 않습니다.
절반은 발육이 부진하거나 병에 걸렸습니다.
요 며칠새 불어닥친 한파때문입니다.
<인터뷰> 박우천(경기도 수원시 입북동) : "병이 다 와 가지고 잿빛곰팡이 병이 와 가지고, 수확을 못해서 폐기 처분해야 할 입장입니다."
자연, 공급이 줄었고 딸기 도매 가격이 지난해 이맘 때보다 20% 넘게 올랐습니다.
추위에 약한 잎 채소류 값은 더 뛰었습니다.
배추와 무는 각각 290%와 157%씩 폭등했고 상추는 70% 가까이 깻잎도 54%나 올랐습니다.
신선 채소와 과일 뿐 아니라 수산물 가격마저도 혹한의 영향으로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갈치는 지난 해보다 37% 비싸졌고 굴과 오징어도 평년보다 높은 값입니다.
고등어와 대구 가격은 지난 해와 비슷하지만 추위로 공급이 줄 지 우려됩니다.
<인터뷰> 김덕호(서울 노량진수산시장) : "자연산 광어나 꽃게같은 경우가 조업하기가 굉장히 힘들어집니다. 그러면 아무래도 들어오는 입하량이나 물동량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달 하순까지 한파가 계속되면 농수산물 가격 상승은 다음 달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정수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파에 채소·생선 껑충…식탁물가 ‘빨간불’
-
- 입력 2013-01-04 21:19:04
- 수정2013-01-04 22:17:57

<앵커 멘트>
혹한 때문에 서민들의 장바구니 물가에도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신선 채소류의 가격이 최대 세 배 가까이 치솟았고 수산물 가격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정수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창 수확철을 맞은 하우스 딸기가 얼핏 봐도 썩 좋아 보이지 않습니다.
절반은 발육이 부진하거나 병에 걸렸습니다.
요 며칠새 불어닥친 한파때문입니다.
<인터뷰> 박우천(경기도 수원시 입북동) : "병이 다 와 가지고 잿빛곰팡이 병이 와 가지고, 수확을 못해서 폐기 처분해야 할 입장입니다."
자연, 공급이 줄었고 딸기 도매 가격이 지난해 이맘 때보다 20% 넘게 올랐습니다.
추위에 약한 잎 채소류 값은 더 뛰었습니다.
배추와 무는 각각 290%와 157%씩 폭등했고 상추는 70% 가까이 깻잎도 54%나 올랐습니다.
신선 채소와 과일 뿐 아니라 수산물 가격마저도 혹한의 영향으로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갈치는 지난 해보다 37% 비싸졌고 굴과 오징어도 평년보다 높은 값입니다.
고등어와 대구 가격은 지난 해와 비슷하지만 추위로 공급이 줄 지 우려됩니다.
<인터뷰> 김덕호(서울 노량진수산시장) : "자연산 광어나 꽃게같은 경우가 조업하기가 굉장히 힘들어집니다. 그러면 아무래도 들어오는 입하량이나 물동량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달 하순까지 한파가 계속되면 농수산물 가격 상승은 다음 달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정수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기상ㆍ재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