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프랑스 최고 갑부인 루이뷔통 그룹 회장이 부자 증세를 피해 벨기에 국적을 신청했습니다.
반대 여론이 심해지자 세금은 계속 내겠다고 뒤늦게 해명했습니다.
파리에서 박상용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프랑스 부자의 상징 인물, 루이뷔통 그룹의 베르나르 아르노 회장이 이웃나라 벨기에 국적을 신청했습니다.
46조 원 재산가.
사회당 정부의 부자 증세안이 나온 직후입니다.
<인터뷰> 비아흐(파리 시민) : "세금을 피하기위해 국적을 변경한다는 건 충격적인 일이죠."
좌파 정치인들은 강도를 더 높였습니다.
<녹취> 멜랑숑(좌파 정치인) : "도대체 돈을 벌기 위해 벨기에 국적을 받는 이런 기회주의적인 벨기에인을 저희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죠?"
올랑드 대통령은 아르노 회장에게 애국심을 가지라며 부자 증세는 한치도 양보할 수 없다고 못박았습니다.
<녹취> 올랑드(프랑스 대통령) : "연소득 백만 유로(14억원)이상 고소득자에 대한 (최고 세율 75%) 세금부과에는 어떤 예외도 없습니다."
부자 증세안에 반대해온 야당은 정부 정책 때문에 이런 일이 벌어졌다면서도 은행계좌에만 관심을 보인 아르노의 결정이 수치스럽다며 개탄했습니다.
파문이 확산되자 아르노 회장은 프랑스에서 세금을 계속 낼 거라고 뒤늦게 해명했습니다.
경제난 속에 터져나온 최고 부자의 외국 국적 신청이 오히려 부자 증세에 대한 찬성 여론을 높일 거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파리에서 KBS 뉴스 박상용입니다.
프랑스 최고 갑부인 루이뷔통 그룹 회장이 부자 증세를 피해 벨기에 국적을 신청했습니다.
반대 여론이 심해지자 세금은 계속 내겠다고 뒤늦게 해명했습니다.
파리에서 박상용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프랑스 부자의 상징 인물, 루이뷔통 그룹의 베르나르 아르노 회장이 이웃나라 벨기에 국적을 신청했습니다.
46조 원 재산가.
사회당 정부의 부자 증세안이 나온 직후입니다.
<인터뷰> 비아흐(파리 시민) : "세금을 피하기위해 국적을 변경한다는 건 충격적인 일이죠."
좌파 정치인들은 강도를 더 높였습니다.
<녹취> 멜랑숑(좌파 정치인) : "도대체 돈을 벌기 위해 벨기에 국적을 받는 이런 기회주의적인 벨기에인을 저희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죠?"
올랑드 대통령은 아르노 회장에게 애국심을 가지라며 부자 증세는 한치도 양보할 수 없다고 못박았습니다.
<녹취> 올랑드(프랑스 대통령) : "연소득 백만 유로(14억원)이상 고소득자에 대한 (최고 세율 75%) 세금부과에는 어떤 예외도 없습니다."
부자 증세안에 반대해온 야당은 정부 정책 때문에 이런 일이 벌어졌다면서도 은행계좌에만 관심을 보인 아르노의 결정이 수치스럽다며 개탄했습니다.
파문이 확산되자 아르노 회장은 프랑스에서 세금을 계속 낼 거라고 뒤늦게 해명했습니다.
경제난 속에 터져나온 최고 부자의 외국 국적 신청이 오히려 부자 증세에 대한 찬성 여론을 높일 거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파리에서 KBS 뉴스 박상용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프랑스 루이뷔통 회장, ‘세금 회피’ 국적 변경?
-
- 입력 2012-09-10 22:03:25

<앵커 멘트>
프랑스 최고 갑부인 루이뷔통 그룹 회장이 부자 증세를 피해 벨기에 국적을 신청했습니다.
반대 여론이 심해지자 세금은 계속 내겠다고 뒤늦게 해명했습니다.
파리에서 박상용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프랑스 부자의 상징 인물, 루이뷔통 그룹의 베르나르 아르노 회장이 이웃나라 벨기에 국적을 신청했습니다.
46조 원 재산가.
사회당 정부의 부자 증세안이 나온 직후입니다.
<인터뷰> 비아흐(파리 시민) : "세금을 피하기위해 국적을 변경한다는 건 충격적인 일이죠."
좌파 정치인들은 강도를 더 높였습니다.
<녹취> 멜랑숑(좌파 정치인) : "도대체 돈을 벌기 위해 벨기에 국적을 받는 이런 기회주의적인 벨기에인을 저희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죠?"
올랑드 대통령은 아르노 회장에게 애국심을 가지라며 부자 증세는 한치도 양보할 수 없다고 못박았습니다.
<녹취> 올랑드(프랑스 대통령) : "연소득 백만 유로(14억원)이상 고소득자에 대한 (최고 세율 75%) 세금부과에는 어떤 예외도 없습니다."
부자 증세안에 반대해온 야당은 정부 정책 때문에 이런 일이 벌어졌다면서도 은행계좌에만 관심을 보인 아르노의 결정이 수치스럽다며 개탄했습니다.
파문이 확산되자 아르노 회장은 프랑스에서 세금을 계속 낼 거라고 뒤늦게 해명했습니다.
경제난 속에 터져나온 최고 부자의 외국 국적 신청이 오히려 부자 증세에 대한 찬성 여론을 높일 거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파리에서 KBS 뉴스 박상용입니다.
-
-
박상용 기자 miso@kbs.co.kr
박상용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