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놀이터·산책로 탄성 포장재 대부분 ‘불량’
입력 2012.09.10 (22:03)
수정 2012.09.10 (22: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서울시내 어린이 놀이터와 공원 산책로 등에 푹신한 고무 재질의 탄성 포장재가 많이 쓰이는데요.
이들 포장재 대부분이 기준 품질에 못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효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소공원.
놀이터 바닥 곳곳이 움푹 패이고 찢어져 들떠 있습니다.
<인터뷰> 최항식(서울시 연희동) : "어린 아이들이 놀다가 걸려 넘어지면 굉장히 불안하죠."
바닥의 겉과 속이 각각의 인장 강도를 갖고 단단히 맞물려 있어야 하지만, 맨손으로도 쉽게 뜯겨 나갈 정돕니다.
<인터뷰> 이기강(서울시 기술감사팀 감사관) : "이렇게 찢어지면 안 되는데 찢어지는 상황이고, 이 부분들이 손으로 긁어도 패일 정도의 강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것은 부실시공입니다."
실제로 완공 1년이 안 된 놀이터 등 140여 곳을 감사한 결과 인장강도 기준에 미달한 곳이 무려 96%에 달했습니다.
충격 흡수율도 크게 떨어져 완공 2년 미만의 놀이터를 대상으로 추락시 머리를 다치는 정도를 측정한 결과 27%가 기준치를 초과했습니다.
<인터뷰> 안종하(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선임연구원) : "한계치 1000을 초과한다는 것은 이용자가 머리에 치명적인 상해를 입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 두께 등 규격 미달과 공사비 과다지급 등 60여 건도 적발됐습니다.
<인터뷰> 전영주(서울시 기술감사팀장) : "업체들이 난립을 하다 보니 그에 대한 관리가 좀 소홀한 면이 있었고, 담당 직원도 전문성이 좀 부족해서..."
서울시는 기준치에 못 미치는 놀이터 등에 대해 시정 조치를 내리고 관련 공무원 47명을 문책했습니다.
KBS 뉴스 이효용입니다.
서울시내 어린이 놀이터와 공원 산책로 등에 푹신한 고무 재질의 탄성 포장재가 많이 쓰이는데요.
이들 포장재 대부분이 기준 품질에 못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효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소공원.
놀이터 바닥 곳곳이 움푹 패이고 찢어져 들떠 있습니다.
<인터뷰> 최항식(서울시 연희동) : "어린 아이들이 놀다가 걸려 넘어지면 굉장히 불안하죠."
바닥의 겉과 속이 각각의 인장 강도를 갖고 단단히 맞물려 있어야 하지만, 맨손으로도 쉽게 뜯겨 나갈 정돕니다.
<인터뷰> 이기강(서울시 기술감사팀 감사관) : "이렇게 찢어지면 안 되는데 찢어지는 상황이고, 이 부분들이 손으로 긁어도 패일 정도의 강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것은 부실시공입니다."
실제로 완공 1년이 안 된 놀이터 등 140여 곳을 감사한 결과 인장강도 기준에 미달한 곳이 무려 96%에 달했습니다.
충격 흡수율도 크게 떨어져 완공 2년 미만의 놀이터를 대상으로 추락시 머리를 다치는 정도를 측정한 결과 27%가 기준치를 초과했습니다.
<인터뷰> 안종하(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선임연구원) : "한계치 1000을 초과한다는 것은 이용자가 머리에 치명적인 상해를 입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 두께 등 규격 미달과 공사비 과다지급 등 60여 건도 적발됐습니다.
<인터뷰> 전영주(서울시 기술감사팀장) : "업체들이 난립을 하다 보니 그에 대한 관리가 좀 소홀한 면이 있었고, 담당 직원도 전문성이 좀 부족해서..."
서울시는 기준치에 못 미치는 놀이터 등에 대해 시정 조치를 내리고 관련 공무원 47명을 문책했습니다.
KBS 뉴스 이효용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 놀이터·산책로 탄성 포장재 대부분 ‘불량’
-
- 입력 2012-09-10 22:03:23
- 수정2012-09-10 22:22:25

<앵커 멘트>
서울시내 어린이 놀이터와 공원 산책로 등에 푹신한 고무 재질의 탄성 포장재가 많이 쓰이는데요.
이들 포장재 대부분이 기준 품질에 못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효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소공원.
놀이터 바닥 곳곳이 움푹 패이고 찢어져 들떠 있습니다.
<인터뷰> 최항식(서울시 연희동) : "어린 아이들이 놀다가 걸려 넘어지면 굉장히 불안하죠."
바닥의 겉과 속이 각각의 인장 강도를 갖고 단단히 맞물려 있어야 하지만, 맨손으로도 쉽게 뜯겨 나갈 정돕니다.
<인터뷰> 이기강(서울시 기술감사팀 감사관) : "이렇게 찢어지면 안 되는데 찢어지는 상황이고, 이 부분들이 손으로 긁어도 패일 정도의 강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것은 부실시공입니다."
실제로 완공 1년이 안 된 놀이터 등 140여 곳을 감사한 결과 인장강도 기준에 미달한 곳이 무려 96%에 달했습니다.
충격 흡수율도 크게 떨어져 완공 2년 미만의 놀이터를 대상으로 추락시 머리를 다치는 정도를 측정한 결과 27%가 기준치를 초과했습니다.
<인터뷰> 안종하(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선임연구원) : "한계치 1000을 초과한다는 것은 이용자가 머리에 치명적인 상해를 입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 두께 등 규격 미달과 공사비 과다지급 등 60여 건도 적발됐습니다.
<인터뷰> 전영주(서울시 기술감사팀장) : "업체들이 난립을 하다 보니 그에 대한 관리가 좀 소홀한 면이 있었고, 담당 직원도 전문성이 좀 부족해서..."
서울시는 기준치에 못 미치는 놀이터 등에 대해 시정 조치를 내리고 관련 공무원 47명을 문책했습니다.
KBS 뉴스 이효용입니다.
서울시내 어린이 놀이터와 공원 산책로 등에 푹신한 고무 재질의 탄성 포장재가 많이 쓰이는데요.
이들 포장재 대부분이 기준 품질에 못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효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소공원.
놀이터 바닥 곳곳이 움푹 패이고 찢어져 들떠 있습니다.
<인터뷰> 최항식(서울시 연희동) : "어린 아이들이 놀다가 걸려 넘어지면 굉장히 불안하죠."
바닥의 겉과 속이 각각의 인장 강도를 갖고 단단히 맞물려 있어야 하지만, 맨손으로도 쉽게 뜯겨 나갈 정돕니다.
<인터뷰> 이기강(서울시 기술감사팀 감사관) : "이렇게 찢어지면 안 되는데 찢어지는 상황이고, 이 부분들이 손으로 긁어도 패일 정도의 강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것은 부실시공입니다."
실제로 완공 1년이 안 된 놀이터 등 140여 곳을 감사한 결과 인장강도 기준에 미달한 곳이 무려 96%에 달했습니다.
충격 흡수율도 크게 떨어져 완공 2년 미만의 놀이터를 대상으로 추락시 머리를 다치는 정도를 측정한 결과 27%가 기준치를 초과했습니다.
<인터뷰> 안종하(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선임연구원) : "한계치 1000을 초과한다는 것은 이용자가 머리에 치명적인 상해를 입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 두께 등 규격 미달과 공사비 과다지급 등 60여 건도 적발됐습니다.
<인터뷰> 전영주(서울시 기술감사팀장) : "업체들이 난립을 하다 보니 그에 대한 관리가 좀 소홀한 면이 있었고, 담당 직원도 전문성이 좀 부족해서..."
서울시는 기준치에 못 미치는 놀이터 등에 대해 시정 조치를 내리고 관련 공무원 47명을 문책했습니다.
KBS 뉴스 이효용입니다.
-
-
이효용 기자 utility@kbs.co.kr
이효용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