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메뉴판이 복잡할 때, 순대국 먹고 후식으로 마신다는 커피,
이런 노랫말이 유행할 정도로 커피는 이제 없으면 허전한 일상 음료가 됐죠,
그런데 같은 커피도 가격은 천차만별입니다.
이소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도심 한복판, 커피를 손에 든 사람이 넘쳐납니다.
지난 한해 우리 국민이 마신 커피는 한 사람 평균 4백50잔!
커피 전문점도 한 집 건너 한 개꼴입니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의 커피 전문점은 9천500개 안팎으로 추산됩니다.
업체별로 커피 값도 천차만별입니다.
커피 한 잔에 들어가는 원두를 10그램으로 계산했을 때 포장재까지 합쳐도 커피 한 잔의 원재료값은 4백 원 안팎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임대료와 인건비 부담에다 커피 회사들이 가맹점에 원두를 비싸게 공급하면서 판매가는 열 배까지 치솟습니다.
<녹취> 커피전문점 운영자(음성변조):"(회사가 원두 1kg을)7천 원에 수입했다면 가맹점에 2만 5천 원에 충분히 줄 수 있는 거죠. 콩 장사하기 좋은 거죠."
여기에 업체별로 제각각, 상표 값까지 추가됩니다.
최근 9개 대형 커피전문점의 판매 가격을 조사해봤더니 그린티라떼 경우 가장 비싼 곳과 싼 곳의 차이가 2700원이나 났습니다.
가장 많이 팔리는 아메리카노 역시 1500원이나 차이가 났습니다.
<인터뷰> 양성현(대학생):"브랜드 가격도 있는 것 같고, 합리적인 가격이라고 생각되진 않아요."
소비자들이 원하는 건 커피 산업의 외형적인 성장에 걸 맞는 합리적인 품질과 가격입니다.
KBS 뉴스 이소정입니다.
메뉴판이 복잡할 때, 순대국 먹고 후식으로 마신다는 커피,
이런 노랫말이 유행할 정도로 커피는 이제 없으면 허전한 일상 음료가 됐죠,
그런데 같은 커피도 가격은 천차만별입니다.
이소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도심 한복판, 커피를 손에 든 사람이 넘쳐납니다.
지난 한해 우리 국민이 마신 커피는 한 사람 평균 4백50잔!
커피 전문점도 한 집 건너 한 개꼴입니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의 커피 전문점은 9천500개 안팎으로 추산됩니다.
업체별로 커피 값도 천차만별입니다.
커피 한 잔에 들어가는 원두를 10그램으로 계산했을 때 포장재까지 합쳐도 커피 한 잔의 원재료값은 4백 원 안팎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임대료와 인건비 부담에다 커피 회사들이 가맹점에 원두를 비싸게 공급하면서 판매가는 열 배까지 치솟습니다.
<녹취> 커피전문점 운영자(음성변조):"(회사가 원두 1kg을)7천 원에 수입했다면 가맹점에 2만 5천 원에 충분히 줄 수 있는 거죠. 콩 장사하기 좋은 거죠."
여기에 업체별로 제각각, 상표 값까지 추가됩니다.
최근 9개 대형 커피전문점의 판매 가격을 조사해봤더니 그린티라떼 경우 가장 비싼 곳과 싼 곳의 차이가 2700원이나 났습니다.
가장 많이 팔리는 아메리카노 역시 1500원이나 차이가 났습니다.
<인터뷰> 양성현(대학생):"브랜드 가격도 있는 것 같고, 합리적인 가격이라고 생각되진 않아요."
소비자들이 원하는 건 커피 산업의 외형적인 성장에 걸 맞는 합리적인 품질과 가격입니다.
KBS 뉴스 이소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커피전문점 커피 한잔 최대 2700원 차이”
-
- 입력 2011-08-28 21:49:28

<앵커 멘트>
메뉴판이 복잡할 때, 순대국 먹고 후식으로 마신다는 커피,
이런 노랫말이 유행할 정도로 커피는 이제 없으면 허전한 일상 음료가 됐죠,
그런데 같은 커피도 가격은 천차만별입니다.
이소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도심 한복판, 커피를 손에 든 사람이 넘쳐납니다.
지난 한해 우리 국민이 마신 커피는 한 사람 평균 4백50잔!
커피 전문점도 한 집 건너 한 개꼴입니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의 커피 전문점은 9천500개 안팎으로 추산됩니다.
업체별로 커피 값도 천차만별입니다.
커피 한 잔에 들어가는 원두를 10그램으로 계산했을 때 포장재까지 합쳐도 커피 한 잔의 원재료값은 4백 원 안팎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임대료와 인건비 부담에다 커피 회사들이 가맹점에 원두를 비싸게 공급하면서 판매가는 열 배까지 치솟습니다.
<녹취> 커피전문점 운영자(음성변조):"(회사가 원두 1kg을)7천 원에 수입했다면 가맹점에 2만 5천 원에 충분히 줄 수 있는 거죠. 콩 장사하기 좋은 거죠."
여기에 업체별로 제각각, 상표 값까지 추가됩니다.
최근 9개 대형 커피전문점의 판매 가격을 조사해봤더니 그린티라떼 경우 가장 비싼 곳과 싼 곳의 차이가 2700원이나 났습니다.
가장 많이 팔리는 아메리카노 역시 1500원이나 차이가 났습니다.
<인터뷰> 양성현(대학생):"브랜드 가격도 있는 것 같고, 합리적인 가격이라고 생각되진 않아요."
소비자들이 원하는 건 커피 산업의 외형적인 성장에 걸 맞는 합리적인 품질과 가격입니다.
KBS 뉴스 이소정입니다.
-
-
이소정 기자 sojeong2@kbs.co.kr
이소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