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객 제발 그만”…앞다퉈 ‘오버투어리즘’ 대책 [뉴스in뉴스]

입력 2024.04.24 (12:38) 수정 2024.04.24 (13: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제 슬슬 여름휴가 계획 세우시는 분들 계실 텐데요.

베네치아, 프라하, 발리.

생각만으로 설레는 곳들이죠.

하지만 현지 주민 입장에선 넘쳐나는 관광객들이 꼭 반가운 일만은 아닐 텐데요.

그래서 이제 좀 적당히 오라며 관광객을 제한하는 곳이 최근 급격히 늘고 있습니다.

이른바 '오버투어리즘' 문제, 박현진 해설위원과 살펴보겠습니다.

'오버투어리즘', 관광객이 지나치게 많다는 거죠?

[기자]

네, 어느 지역에 관광객이 수용 범위를 넘어 너무 몰려서 현지 주민들의 삶을 위협하는 상황에까지 이르게 된 걸, 보통 과잉 관광, 오버투어리즘이라고 하죠.

[앵커]

최근에 이 문제로 화제가 된 곳이 있었죠?

[기자]

네, 우리나라에서도 한 예능프로그램에 나와서 많이 알려진 관광지인데요.

스페인 카나리아 제도입니다.

이곳 주민들이 지난 주말, 관광객을 좀 막아달라면서 시위를 벌였는데요.

시위대는 "우리 땅을 좀 존중해달라", "우리 섬이 죽는 걸 보고 싶지 않다", "이건 약탈이다" 이런 플래카드를 들고 거리 곳곳을 행진했습니다.

이들은 관광객이 넘쳐나면서 시끄러워지고 지저분해지고, 물가와 부동산 가격이 오르면서 정작 자신들은 더 열악한 곳으로 내몰리고 있다.

이러면서 정부 대책을 요구했습니다.

[카나리아 제도 주민 : "이 섬은 포화 상태입니다. 우리는 관광이 우리의 생물 다양성을 어떻게 파괴하고 있는지를 보고 있습니다."]

[카나리아 제도 주민 : "우리는 과밀화와 부당한 대우, 낮은 임금, 유산 파괴에 지쳤습니다. 우리는 살 집이 없는데 외국인들은 땅을 사는 것에도 신물이 납니다."]

[앵커]

사실 이 오버투어리즘 문제, 어제오늘 일이 아니잖아요?

[기자]

네, 오버투어리즘이라는 말이 본격적으로 사용된 건 2010년대 중반부텁니다.

당시 유럽의 여러 도시들이 급증하는 관광객 문제를 고민하면서 만들어 쓰게 된 용어인데요.

이후 코로나19로 주춤하다가 팬데믹이 끝나고 지난해부터 다시 여행 수요가 폭발했잖아요.

그러면서 여행지에 쓰레기, 소음 공해, 물가 상승, 환경 파괴 문제 등이 다시금 불거진 거죠.

[앵커]

이미 관광객 제한 정책을 쓰고 있는 곳들도 많잖아요.

어떤 방식입니까?

[기자]

네, 관광세같은 세금을 매긴다거나, 숙박 허용 일수를 제한한다거나 하는 방법을 쓰고 있는데요.

먼저 '오버투어리즘' 하면 떠오르는 이탈리아 베네치아 얘기를 해보면요.

관광객들이 많이 가는 베네치아 구도심은 인구가 5만 명 정도 되는데요.

그런데 이곳을 찾는 관광객, 한 해 3천만 명에 달합니다.

당연히 도시 훼손 우려가 제기됐고요.

그래서 그동안 숙박객들에겐 세금을 부과해 왔는데요.

내일부터는 당일치기로 방문하더라도 관광세를 내야 합니다.

5.5 유로, 우리 돈 8천 원 정도를 웹사이트를 통해 미리 지불하고 가야하는 건데요.

만약 이걸 내지 않고 돌아다니다가 적발되면 과태료를 최고 3백 유로, 44만 원까지 물 수 있습니다.

또 오는 6월부터는 단체 관광객 수도 그룹당 25명으로 제한하고요.

관광 가이드가 확성기 사용도 못하도록 했습니다.

[앵커]

네, 관광세 8천 원으로 실효성이 있을까도 싶은데요.

비슷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유럽 다른 도시들도 많다고요?

[기자]

네, 스페인 바로셀로나 체코 프라하, 오스트리아 할슈타트.

이런 유명 여행지의 경우, 이미 관광세를 물리고 있습니다.

특히 오는 7,8월 올림픽 기간 역대급 관광객이 몰릴 것으로 보이는 프랑스 파리의 경우, 기존에 호텔 숙박객들에게 부과하던 관광세를 올 초부터 최대 3배 올렸습니다.

이런 세금 부과 방식 말고도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같은 경우, 지난주에 새로운 관광객 제한 정책을 발표했는데요.

기존 호텔이 문을 닫지 않는 이상, 새 호텔 신축을 못하게 했고요.

암스테르담으로 들어오는 유람선 숫자도 줄이기로 했습니다.

[앵커]

가까운 아시아 국가들도 예외는 아닌 것 같아요?

최근엔 일본도 이런 움직임에 적극적이네요?

[기자]

네, 요즘 엔화 약세로 일본 여행 가시는 분들 많은데요.

도쿄를 포함해서 오사카나 교토 등에서는 이미 숙박세를 걷고 있고요.

겨울철 인기 관광지인 홋카이도는 오는 11월부터 1박당 약 만 8천 원의 관광세를 물리기로 했습니다,

이 외에 인도네시아 발리도 지난 2월부터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관광세 만 3천 원을 부과하기 시작했는데요.

이 정도 돈이 관광객 수를 제한하는 데 무슨 효과가 있겠냐 싶지만, 이렇게 걷은 세금으로 부족한 인프라를 채우고, 망가진 문화재나 시설들도 보수하고, 환경 보호 사업 등에 쓰겠다는 게 이들 도시들의 계획입니다.

[앵커]

이제 여행 가려면 관광세도 확인해봐야 하는 걸까요.

그런데 현지 주민 입장에서요.

관광객이 또 너무 줄어도 안되는 거 아닌가요?

[기자]

네, 그게 딜레마죠.

유명 관광지의 경우 관광 산업이 그 나라 국내총생산 GDP에 기여하는 부분이 엄청난데요.

그만큼 관광으로 먹고사는 주민들이 많다는 건데, 만약 관광객이 줄어든다면 일자리도 줄고 수입도 타격을 받겠죠.

실제 팬데믹 당시에 경험을 했고요.

그래서 아시아의 관광대국이죠.

태국 같은 경우, 지난해 관광세를 도입하려고 했다가 이런 부작용을 우려해 연기했고요.

페루 마추픽추는 하루 입장객 수를 지난해까지 3천 8백 명으로 제한하다가, 올해 초부터 최대 5천 6백 명까지로 오히려 늘렸습니다.

관광객들이 너무 많이 와도 문제, 너무 줄어도 문제인 그런 상황인데, 그래서 그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맞추기 위한 시도들도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너무 특정 지역으로만 몰리는 관광객들을 주변 다른 명소를 개발해 분산시킨다거나, 관광 휴일을 지정해서 관광지에 쉬는 시간을 주는 거, 또 넓은 지역을 천천히 탐방하는 슬로우트래블, 느린 관광 상품을 만들어 적극 알리는 노력 같은 것들입니다.

[앵커]

네, 관광객과 지역 주민이 두루 만족할 수 있는 상생의 방안을 찾는 노력, 중요하겠네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관광객 제발 그만”…앞다퉈 ‘오버투어리즘’ 대책 [뉴스in뉴스]
    • 입력 2024-04-24 12:38:43
    • 수정2024-04-24 13:52:10
    뉴스 12
[앵커]

이제 슬슬 여름휴가 계획 세우시는 분들 계실 텐데요.

베네치아, 프라하, 발리.

생각만으로 설레는 곳들이죠.

하지만 현지 주민 입장에선 넘쳐나는 관광객들이 꼭 반가운 일만은 아닐 텐데요.

그래서 이제 좀 적당히 오라며 관광객을 제한하는 곳이 최근 급격히 늘고 있습니다.

이른바 '오버투어리즘' 문제, 박현진 해설위원과 살펴보겠습니다.

'오버투어리즘', 관광객이 지나치게 많다는 거죠?

[기자]

네, 어느 지역에 관광객이 수용 범위를 넘어 너무 몰려서 현지 주민들의 삶을 위협하는 상황에까지 이르게 된 걸, 보통 과잉 관광, 오버투어리즘이라고 하죠.

[앵커]

최근에 이 문제로 화제가 된 곳이 있었죠?

[기자]

네, 우리나라에서도 한 예능프로그램에 나와서 많이 알려진 관광지인데요.

스페인 카나리아 제도입니다.

이곳 주민들이 지난 주말, 관광객을 좀 막아달라면서 시위를 벌였는데요.

시위대는 "우리 땅을 좀 존중해달라", "우리 섬이 죽는 걸 보고 싶지 않다", "이건 약탈이다" 이런 플래카드를 들고 거리 곳곳을 행진했습니다.

이들은 관광객이 넘쳐나면서 시끄러워지고 지저분해지고, 물가와 부동산 가격이 오르면서 정작 자신들은 더 열악한 곳으로 내몰리고 있다.

이러면서 정부 대책을 요구했습니다.

[카나리아 제도 주민 : "이 섬은 포화 상태입니다. 우리는 관광이 우리의 생물 다양성을 어떻게 파괴하고 있는지를 보고 있습니다."]

[카나리아 제도 주민 : "우리는 과밀화와 부당한 대우, 낮은 임금, 유산 파괴에 지쳤습니다. 우리는 살 집이 없는데 외국인들은 땅을 사는 것에도 신물이 납니다."]

[앵커]

사실 이 오버투어리즘 문제, 어제오늘 일이 아니잖아요?

[기자]

네, 오버투어리즘이라는 말이 본격적으로 사용된 건 2010년대 중반부텁니다.

당시 유럽의 여러 도시들이 급증하는 관광객 문제를 고민하면서 만들어 쓰게 된 용어인데요.

이후 코로나19로 주춤하다가 팬데믹이 끝나고 지난해부터 다시 여행 수요가 폭발했잖아요.

그러면서 여행지에 쓰레기, 소음 공해, 물가 상승, 환경 파괴 문제 등이 다시금 불거진 거죠.

[앵커]

이미 관광객 제한 정책을 쓰고 있는 곳들도 많잖아요.

어떤 방식입니까?

[기자]

네, 관광세같은 세금을 매긴다거나, 숙박 허용 일수를 제한한다거나 하는 방법을 쓰고 있는데요.

먼저 '오버투어리즘' 하면 떠오르는 이탈리아 베네치아 얘기를 해보면요.

관광객들이 많이 가는 베네치아 구도심은 인구가 5만 명 정도 되는데요.

그런데 이곳을 찾는 관광객, 한 해 3천만 명에 달합니다.

당연히 도시 훼손 우려가 제기됐고요.

그래서 그동안 숙박객들에겐 세금을 부과해 왔는데요.

내일부터는 당일치기로 방문하더라도 관광세를 내야 합니다.

5.5 유로, 우리 돈 8천 원 정도를 웹사이트를 통해 미리 지불하고 가야하는 건데요.

만약 이걸 내지 않고 돌아다니다가 적발되면 과태료를 최고 3백 유로, 44만 원까지 물 수 있습니다.

또 오는 6월부터는 단체 관광객 수도 그룹당 25명으로 제한하고요.

관광 가이드가 확성기 사용도 못하도록 했습니다.

[앵커]

네, 관광세 8천 원으로 실효성이 있을까도 싶은데요.

비슷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유럽 다른 도시들도 많다고요?

[기자]

네, 스페인 바로셀로나 체코 프라하, 오스트리아 할슈타트.

이런 유명 여행지의 경우, 이미 관광세를 물리고 있습니다.

특히 오는 7,8월 올림픽 기간 역대급 관광객이 몰릴 것으로 보이는 프랑스 파리의 경우, 기존에 호텔 숙박객들에게 부과하던 관광세를 올 초부터 최대 3배 올렸습니다.

이런 세금 부과 방식 말고도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같은 경우, 지난주에 새로운 관광객 제한 정책을 발표했는데요.

기존 호텔이 문을 닫지 않는 이상, 새 호텔 신축을 못하게 했고요.

암스테르담으로 들어오는 유람선 숫자도 줄이기로 했습니다.

[앵커]

가까운 아시아 국가들도 예외는 아닌 것 같아요?

최근엔 일본도 이런 움직임에 적극적이네요?

[기자]

네, 요즘 엔화 약세로 일본 여행 가시는 분들 많은데요.

도쿄를 포함해서 오사카나 교토 등에서는 이미 숙박세를 걷고 있고요.

겨울철 인기 관광지인 홋카이도는 오는 11월부터 1박당 약 만 8천 원의 관광세를 물리기로 했습니다,

이 외에 인도네시아 발리도 지난 2월부터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관광세 만 3천 원을 부과하기 시작했는데요.

이 정도 돈이 관광객 수를 제한하는 데 무슨 효과가 있겠냐 싶지만, 이렇게 걷은 세금으로 부족한 인프라를 채우고, 망가진 문화재나 시설들도 보수하고, 환경 보호 사업 등에 쓰겠다는 게 이들 도시들의 계획입니다.

[앵커]

이제 여행 가려면 관광세도 확인해봐야 하는 걸까요.

그런데 현지 주민 입장에서요.

관광객이 또 너무 줄어도 안되는 거 아닌가요?

[기자]

네, 그게 딜레마죠.

유명 관광지의 경우 관광 산업이 그 나라 국내총생산 GDP에 기여하는 부분이 엄청난데요.

그만큼 관광으로 먹고사는 주민들이 많다는 건데, 만약 관광객이 줄어든다면 일자리도 줄고 수입도 타격을 받겠죠.

실제 팬데믹 당시에 경험을 했고요.

그래서 아시아의 관광대국이죠.

태국 같은 경우, 지난해 관광세를 도입하려고 했다가 이런 부작용을 우려해 연기했고요.

페루 마추픽추는 하루 입장객 수를 지난해까지 3천 8백 명으로 제한하다가, 올해 초부터 최대 5천 6백 명까지로 오히려 늘렸습니다.

관광객들이 너무 많이 와도 문제, 너무 줄어도 문제인 그런 상황인데, 그래서 그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맞추기 위한 시도들도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너무 특정 지역으로만 몰리는 관광객들을 주변 다른 명소를 개발해 분산시킨다거나, 관광 휴일을 지정해서 관광지에 쉬는 시간을 주는 거, 또 넓은 지역을 천천히 탐방하는 슬로우트래블, 느린 관광 상품을 만들어 적극 알리는 노력 같은 것들입니다.

[앵커]

네, 관광객과 지역 주민이 두루 만족할 수 있는 상생의 방안을 찾는 노력, 중요하겠네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